$\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Z 인근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대성산, 주파령)의 식물상 및 식생군집분석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19 - 41  

손호준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영설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치호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과 군집분류를 통해 민간인통제선 내 산림의 교란정도와 임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8과 311속 507종 6아종 65변종 10품종 총 588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92과 290속 459종 6아종 58변종 9품종 총 532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94과 259속 364종 6아종 50변종 8품종 총 428종류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21종류,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14종류가 생육하고 있었다. 희귀식물은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26종류,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10종류가 확인되었다.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각각 58개의 표준지에서 조사된 식생 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성산 지역에서는 중생혼합림, 신갈나무-당단풍나무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으로 총 3개의 대표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주파령 지역에서는 신갈나무-활엽수림군집, 물푸레나무-활엽수림군집, 신갈나무군집, 참나무류군집으로 총 4개의 대표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군집들이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군집보다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성산 지역에서는 중생혼합림의 종다양성지수가 1.5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파령 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활엽수림군집의 종다양성지수가 1.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향후 비무장지대와 그 인근지역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FGRR) at Mt. Daeseng and Juparyeong to understand the degree of disturbance and the state of forest stand development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reserv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과 군집분류를 통해 민간인통제선 내의 산림의 교란의 정도와 임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과 군집분류를 통해 민간인통제선 내의 산림의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교란의 정도와 임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상 수종들이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선구수종들은 매년 많은 양의 가벼운 종자를 생산하여 멀리 산포하며, 가용 광선이 많은 공한지나 산림의 가장자리에서 쉽게 정착할 수 있는 번식전략을 가진다. 반면에 서어 나무, 까치박달, 고로쇠나무 등과 같은 극상 수종들은 앞에서 열거한 속성과는 반대 현상을 보이는데, 빠른 생장 보다는 강한 내음성과 긴 수명을 바탕으로 생존과 개체 유지에 주력하는 경향이 강하다(Kim, 1993; Lee et al., 2011).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통제구역은 어떤 지역인가?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통제구역은 매우 특수한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다른 지역과 달리 휴전협정 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구역이며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 제한되는 지역이다. 비무장지대는 군사분계선 남북으로 각각 2 km 내의 지역을 말하고, 민간인통제 구역은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으로부터 남쪽으로 5~20 km 에 이르는 구역으로 총면적은 약 1,528 km 2 (강원도 1,048 km2, 경기도 480 km2)에 이른다.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통제구역의 정밀한 조사가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이러한 비무장지대및 민간인통제구역 내의 자연환경은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잘 보존되어 왔으며, 한반도의 주축을 이루는 백두 대간과는 달리 거대한 동서 생태축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생태계의 보고로 인식되어 자연, 인문지리학적인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뢰지역, 군사시설 등으로 인한 군부대의 통제로 인하여 생태 및 환경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zzaz, F.A. 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10: 351-371. 

  2. Braun-Blanquet, J. 1964. Pflazensoziologie, grundzud der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pp. 865. 

  3. Braun, E.L. 1950. Deciduous forests of eastern north america. Blakiston Company, Philadelphia, PA. pp. 596. 

  4. Barbour, M.G. and Billings, W.D. 1988. North american terrestrial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434. 

  5. Everitt, B. 1973. Cluster Analysis. Jhon Wiley & Sons, Inc., New York. 

  6. Hartigan, J.A. 1975. Clustering algorithm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7.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ogy 31: 434-455. 

  8. Kim, J.H. 1993. The estimation of climax index for broad leaved tree species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propertie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2: 176-187. 

  9. Kim J.H. 2002. Community ecological view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in Korea. In: Ecology of Korea. Bumwoo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p. 93-104. 

  10.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b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pp. 534.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pp. 205. 

  12.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ocheon. pp. 332 

  13. Lee, C.H., Shin, H.T., Kwon, Y.H., Yi, M.H., Yoon, J.W., Kim, G.S., Park, G.H., and Sung, J.W. 2013.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6: 31-81. 

  14. Lee, Y.M., Park, S.H., Ji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15. Loucks, O. 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American Zoologist 10: 17-25. 

  16. Oh, B.U., D.G. Cho, Kim, K.S., and Jang, C.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205. 

  17. Orloci, L. 1967. An agglomerative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Journal of Ecology 55: 193-206. 

  18. Pielou, E.C. 1975. Ecology Diversity. John Wiely & Sons, New York. pp. 168. 

  19.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Routledge 164: 262-270. 

  20. Shannon, C.E. and Wien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117. 

  21. Vankat, J.L. 1979. The natural vegetation of North America.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61. 

  22. Yang, H.M., Kang, S.K., and Kim, J.H. 2001. Selection of desirable species and estimation of composition ratio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0: 465-475. 

  23. Yun, J.W., Han, S.S., and Kim, J.H. 1987. Structure and environment conditions in a virgin forest. Research bulletin of the experiment fores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7: 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