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의 가중치 조정에 따른 결과 비교 검토 - 해수면 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Results of Adjusting Weight in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 Focused on Sea-level Rise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3, 2017년, pp.171 - 180  

김지숙 (부산대학교) ,  김호용 (동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에 도입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은 현재 지침 제정으로 도시방재정책을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분석시 분석과정의 구조로 인하여 분석 지표의 가중치 불균형 및 지표의 다중 적용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제도 도입시 전문가를 통해 도시 계획적 연관성이 높은 지표들이 선정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이러한 문제점들은 분석구조에 기인하여 지표들의 영향력이 반영되지 못한다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구조를 살펴보고, 변수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평준화시켰을 때 현 지침상의 분석결과와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나타난 재해취약 정도가 두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가중치 평준화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방식인 지침을 따를 때보다 재해취약지역이 더 넓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분석의 구조적 틀을 개선하고 분석결과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has been used as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rban policies of disaster prevention since 2012. However, some problems have occurred due to the structure of vulnerability analysis, such as overweighted variables and duplicated applic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지표의 타당성과 분석의 틀 안에서 사용되는 지표 간 가중치의 합리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분석지표의 적용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점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행 지침 방식의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와 지표의 가중치를 평준화하였을 때의 분석결과를 실증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현 제도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이 도입된 계기는 무엇인가? 3mm씩 꾸준히 상승하여 1993년 평균과 비교하면 70mm가 높아진 상태이며,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속도가 기존의 예측보다 훨씬 빨라 당장 이번 세기말에 저지대 해안도시가 침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DeConto & Pollard 2016).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대응이 요구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우면산 산사태와 강남역 주변 침수 등을 계기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시계획수립지침의 개정을 통해 2012년에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을 도입하였다.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의 의의는 무엇인가? 그러나 매뉴얼이 도입된 이후에도 여전히 재해취약성 분석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분석지표, 분석의 공간단위, 재해유형 등 분석방법의 고도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Lee 2016), 매뉴얼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고 구체화한 지침에서도 그러한 논의는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제정된 지침은 분석과정 및 행정절차 관련 부분을 구체화하고 결과의 검증과 정보관리 및 교육 등의 사항을 추가하는 등, 재해취약성 분석제도를 정착시키고 실무적용 과정에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내용적 보완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재해취약성 분석결과 활용을 위해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분석지표의 객관성 확보 방안과 분석절차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지침상의 분석구조상 부여되는 가중치들이 실제 분석결과를 왜곡시킬 소지가 있는 이유는? 이러한 결과는 분석의 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분석지표에 있어서도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현행 지침상의 분석구조상 부여되는 가중치들은 실제 분석결과를 왜곡시킬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분석구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분석지표의 누락과 중복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락된 지표를 대체할 수 있는 대리지표의 선정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lunden J, Arndt DS. State of the Climate in 2015.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6, 97(8): Si-S275. 

  2. Choi JR, Jee YK, Park IC.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methodology of integrated urban climate and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debris flow damage. J of Korean Soc. Hazard Mitig. 14(6): 185-192. [Korean Literature] 

  3. DeConto RM, Pollard D. 2016. Contribution of Antarctica to past and future sea-level rise. Nature. 531.7596: 591-597. 

  4. Hong JJ, Lim HJ, Ham YH, Lee BJ. 2015, Grid unit based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vulnerability in urban area. J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67-75. [Korean Literature] 

  5. Ionescu C, Klein RJT. Hinkel J, Kumar KSK, Klein R. 2009. Towards a formal framework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Environ Model Assess. 14: 1-16. 

  6. Kang JE, Lee MJ.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 119-136. [Korean Literature] 

  7. Kim JS, Kim HY, Lee SH. 2014. A review on improv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focusing on sea level rise disaster.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 50-60. [Korean Literature] 

  8. Lee BJ. 2016.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in urban area. National Land Policy Brief. 575: 1-8. [Korean Literature] 

  9. Lee TK. 2017. A study on improve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focused on heat wave. Master's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10. Lee WW. 2017. Relative assessment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indicator from climate change of heavy rain. Master's Dissert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Korean Literature] 

  11. Lissner TK, Holsten A, Walther C, Kropp JP. 2012. Towards sectoral and standardise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 example of heatwave impacts on human health. Climate Change. 112: 687-708. 

  12. National Urban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enter. 2013. The manual for vulnerability analysis of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er.3.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