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출 방법에 따른 해빙 자료 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0-2010년 북극 지역의 EUMETSAT OSI SAF, NASA Team(NT)의 해빙 농도와 해빙 면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자료의 해빙 농도와 해빙 면적이 계절별, 해역별로 다른 일관성을 보였다. 계절별로는 OSI SAF의 해빙 농도가 전체적으로 0.85 %, 봄 0.48 %, 여름 0.97 %, 가을 1.38 %, 겨울 0.66 % 높게 나타났다. 해역별로는 북극해에서 OSI SAF의 해빙 농도가 2.7 %, 해빙 면적이 19.8만 $km^2$ 높았으나 링컨해 일부에서는 해빙 농도가 2.3 %, 해빙 면적이 2만 $km^2$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mpared sea ice concentration(SIC) and sea ice extent(SIE) using EUMETSAT Ocean and Sea Ice Satellite Application Facilities(OSI SAF) and NASA Team(NT) sea ice algorithm in the Arctic during 1980-2010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ea ice data applied different algorithms. SIC and SI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0), 산출 방법에 따른 해빙 농도의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자료의 장기간 해빙 농도와 해빙 면적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기후 예측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인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NASA Team(NT) 알고리즘과 OSI SAF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1980-2010년의 해빙 농도의 비교를 통하여 같은 센서로 관측된 자료가 알고리즘의 차이로 인해 해빙 농도와 해빙 면적이 계절, 구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빙 농도란 무엇인가? , 2013). 해빙 농도란 픽셀 내에서 해빙이 차지하는 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일반적으로 해빙 농도가 15 % 이상인 곳을 해빙이 덮인(ice covered sea) 지역이라 한다. 해빙 농도는 센서의 종류와 산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자료가 존재하며, 자료의 선택에 따라 기후 예측 모델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수 있으므로 자료의 특성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을철 북극 해빙의 감소가 우리나라에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해빙의 변화는 북극뿐만 아니라 전지구 기후에 영향을 끼치므로 기후 변화 예측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Comiso, 2010). 해빙은 계절적 특성을 가지며 특히 가을철 북극 해빙의 감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위도권에 겨울철 폭설과 이상한파를 야기한다(Honda et al., 2009).
해빙의 지속적이고 정확한 관측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해빙의 변화는 북극뿐만 아니라 전지구 기후에 영향을 끼치므로 기후 변화 예측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Comiso, 2010). 해빙은 계절적 특성을 가지며 특히 가을철 북극 해빙의 감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위도권에 겨울철 폭설과 이상한파를 야기한다(Honda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dersen, S., R. T. Tonboe and L. Kaleschke, 2006. Artic Sea Ice Thickness: Past, Present and Future, Proc.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Arctic Sea Ice Thickness : Past, Present and future, Rungsted, Denmark, Nov. 8-9, pp. 104-112. 

  2. Bjorgo, E., O. M. Johannessen, and M. W. Miles, 1997. Analysis of merged SMMR?SSMI time series of Arctic and Antarctic sea ice parameters 1978-1995,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4(4): 413-416. 

  3. Cavalieri, D. J., J. P. Crawford, M. R. Drinkwater, D. T. Eppler, L. D. Farmer, R. R. Jentz and C. C. Wackerman, 1991. Aircraft active and passive microwave validation of sea ice concentration from the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C12): 21989-22008. 

  4. Comiso, J. C., 2010. Variability and trends of the global sea ice cover, Sea ice, 2: 205-246. 

  5. Comiso, J. C., and F. Nishio, 2008. Trends in the sea ice cover using enhanced and compatible AMSR-E, SSM/I, and SMMR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3(C2). 

  6. Deser, C., and H. Teng, 2008. Evolution of Arctic sea ice concentration trends and the role of atmospheric circulation forcing, 1979-2007,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2). 

  7. Eastwood, S., T. Lavergne, and R. Tonboe, 2014.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for the OSI SAF global reprocessed sea ice concentration product, EUMETSAT Network Satellite Application Facilities. 

  8. Gloersen, P. and D. J. Cavalieri, 1986. Reduction of weather effects in the calculation of sea ice concentration from microwave radian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91(C3): 3913-3919. 

  9. Honda, M., J. Inoue and S. Yamane, 2009. Influence of low Arctic sea-ice minima on anomalously cold Eurasian winte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8). 

  10. Liu, J., J. A. Curry, H. Wang, M. Song and R. M. Horton, 2012. Impact of declining Arctic sea ice on winter snowfall, Proc.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11): 4074-4079. 

  11. Lupkes, C., T. Vihma, G. Birnbaum, and U. Wacker, 2008. Influence of leads in sea ice on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during polar ni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3). 

  12. Parkinson, C. L., D. Rind, R. J. Healy, and D. G. Martinson, 2001. The impact of sea ice concentration accuracies on climate model simulations with the GISS GCM, Journal of Climate, 14(12): 2606-2623. 

  13. Uiboupin, R., L. Axell, U. Raudsepp, and L. Sipelgas, 2010. Comparison of operational ice charts with satellite based ice concentration products in the Baltic Sea, Proc. of 2010 IEEE/OES US/EU Baltic International Symposium (BALTIC), Riga, Latvia, Aug. 25-27, pp. 1-8. 

  14. Vancoppenolle, M., K. M. Meiners, C. Michel, L. Bopp, F. Brabant, G. Carnat, B. Delille. D. Lannuzel, G. Madec, S. Moreau J. L. Tison and P. Merwe, 2013. Role of sea ice i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emerging views and challenges, Quaternary science reviews, 79: 207-2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