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OMI 위성자료를 활용한 서울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 추정 연구
Estimation of surface nitrogen dioxide mixing ratio in Seoul using the OMI satellite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2, 2017년, pp.135 - 147  

김대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홍현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최원이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박준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양지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류재용 (경남대학교 도시환경공학과) ,  이한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한반도 서울지역에서 OMI (Ozone Monitoring Instrument) 센서로 관측된 대류권 이산화질소 칼럼농도를 이용하여 OMI 센서의 관측시간인 13:45에서의 월 평균 및 일별 위성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회귀모델들이 이용되었다. 첫 번째 회귀모델(M1)은 OMI 대류권 이산화질소 칼럼농도와 지점 측정값과의 선형회귀를 통한 회귀계수로 구성되어있다. 두번째 회귀모델(M2)은 OMI 대류권 이산화질소 칼럼농도와 AIRS (Atmospheric Infrared Sounder) 센서로 관측한 행성경계층 높이, 온도, 압력 자료 모두가 반영된 회귀모델이다. 세 번째 회귀모델(M3M, M3D)은 다중회귀모델로서 앞서 고려된 이산화질소 칼럼농도와 행성경계층 높이와 다양한 기상변수를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회귀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서 2011년까지를 회귀모델의 훈련기간으로 하여서 각 회귀식의 회귀계수를 도출하였으며 2012년도는 검증기간으로서 훈련기간에 도출된 회귀모델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회귀모델들로 추정된 월 평균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지점 관측소에서 지점 측정장비로 측정된 월평균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가장 높은 상관성(avg. R = 0.77)을 보이는 회귀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방법(M3M)이다. 또한, 회귀모델들로 추정된 13:45에서의 일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지점 관측소에서 지점장비로 측정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가장 좋은 상관성(avg. R = 0.55)을 보인 것도 다중회귀분석방법(M3D)이다. 회귀모델들로 추정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는 지점 측정값에 비해 과소추정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회귀모델들로 추정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평가하기 위해 지점 측정값과의 RMSE (Root Mean Square Error), mean bias, MAE (Mean Absolute Error), percent difference와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위성을 통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 산출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for the first time, estimated daily and monthly surface nitrogen dioxide ($NO_2$) volume mixing ratio (VMR) using three regression models with $NO_2$ tropospheric vertical column density (OMIT-rop $NO_2$ VCD) data obtained from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OMI 이산화질소 대류권 칼럼농도를 활용하여 월 평균과 일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처음으로 추정함을 통하여 위성자료를 통하여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 산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위성자료와 지점 측정 자료와의 이산화질소 측정의 공간적인 범위에 차이에서 오는 값의 차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서 OMI 센서로 관측된 이산화질소 칼럼농도를 활용하여 2가지의 선형회귀분석 방법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시간(local time; LT) 13:45에서의 월평균, 일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처음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러한 세가지 방법으로 추정된 지표면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지점측정 장비로 측정된 지표면 이산화질소 혼합비와의 비교를 통해 각 회귀분석 방법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회귀모델들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질소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무엇인가? 따라서 이산화질소는 대기환경과 국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체로서 측정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산화질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있으며 지표에 존재하는 이산화질소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화학발광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 지점에서의 지표 이산화질소 농도 정보만을 측정할 수 있다.
인체가 장기적으로 이산화질소에 노출될 경우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낮 시간에 광분해 작용을 통하여 대류권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의 전구 물질이다. 인체가 장기적으로 이산화질소에 노출되는 경우 폐 기능 저하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 할 수 있다(AckermannLiebrich et al., 1997; Schindler et al.
화학발광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렇기 때문에 이산화질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있으며 지표에 존재하는 이산화질소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화학발광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 지점에서의 지표 이산화질소 농도 정보만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표면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광범위한 지역에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지점 측정 장비의 운용이 필요하지만 높은 운용비용으로 인하여 지점 측정 장비를 이용한 지표면 이산화질소 농도 관측이 어렵다. 최근에 들어서 넓은 범위를 짧은 시간 내에 관측할 수 있는 위성을 통한 이산화질소 칼럼농도 측정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ckermann-Liebrich, U., P. Leuenberger, J. Schwartz, C. Schindler, C. Monn, G. Bolognini, J.P. Bongard, O. Brandli, G. Domenighetti, S. Elsasser, and L. Grize, 1997. Lung function and long term exposure to air pollutants in Switzerland. Study on Air Pollution and Lung Diseases in Adults (SAPALDIA) Team.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55(1), pp.122-129. 

  2. Aumann, H.H., M.T. Chahine, C. Gautier, M.D. Goldberg, E. Kalnay, L.M. McMillin, H. Revercomb, P.W. Rosenkranz, W.L. Smith, D.H. Staelin, and L.L. Strow, 2003. AIRS/AMSU/HSB on the Aqua mission: Design, science objectives, data products, and processing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1(2), pp.253-264. 

  3. Boersma, K.F., H.J. Eskes, and E.J. Brinksma, 2004. Error analysis for tropospheric NO2 retrieval from spa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9(D4). 

  4. Boersma, K.F., H.J. Eskes, J.P. Veefkind, E.J. Brinksma, R.J. Van Der A, M. Sneep, G.H.J. Van Der Oord, P.F. Levelt, P. Stammes, J.F. Gleason, and E.J. Bucsela, 2006. Near-real time retrieval of tropospheric NO 2 from OMI.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Discussions, 6(6), pp.12301-12345. 

  5. Bucsela, E.J., E.A. Celarier, M.O. Wenig, J.F. Gleason, J.P. Veefkind, K.F. Boersma, and E.J. Brinksma, 2006. Algorithm for NO2 vertical column retrieval from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 1245-1258. 

  6. Chahine, M.T., T.S. Pagano, H.H. Aumann, R. Atlas, C. Barnet, J. Blaisdell, L. Chen, M. Divakarla, E.J. Fetzer, M. Goldberg, and C. Gautier, 2006. AIRS: Improving weather forecasting and providing new data on greenhouse gas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7(7), pp.911-926. 

  7. James Gauderman, W., R.O.B. McConnell, F. Gilliland, S. London, D. Thomas, E. Avol, H. Vora, K. Berhane, E.B. Rappaport, F. Lurmann, and H.G. Margolis, 2000.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lung function growth in southern California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2(4), pp.1383-1390. 

  8. Kharol, S.K., R.V. Martin, S. Philip, B. Boys, L.N. Lamsal, M. Jerrett, M. Brauer, D.L. Crouse, C. McLinden, and R.T. Burnett, 2015. Assessment of the magnitude and recent trends in satellitederived ground-level nitrogen dioxide over North America. Atmospheric Environment, 118, pp.236-245. 

  9. Leue, C., M. Wenig, T. Wagner, O. Klimm, U. Platt, and B. Jahne, 2001. Quantitative analysis of NOx emissions from Global Ozone Monitoring Experiment satellite image sequen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6(D6), pp.5493-5505. 

  10. Levelt, P.F., E. Hilsenrath, G.W. Leppelmeier, G.H. van den Oord, P.K. Bhartia, J. Tamminen, J.F. de Haan, and J.P. Veefkind, 2006. Science objectives of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5), pp.1199-1208. 

  11. Martin, R.V., K. Chance, D.J. Jacob, T.P. Kurosu, R.J. Spurr, E. Bucsela, J.F. Gleason, P.I. Palmer, I. Bey, A.M. Fiore, and Q. Li, 2002. An improved retrieval of tropospheric nitrogen dioxide from GOM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07(D20). 

  12. Ordonez, C., A. Richter, M. Steinbacher, C. Zellweger, H. Nu $\ss$ , J.P. Burrows, and A.S.H. Pevot, 2006. Comparison of 7 years of satellite-borne and ground-based tropospheric NO2 measurements around Milan, Ital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1(D5). 

  13. Panella, M., V. Tommasini, M. Binotti, L. Palin, and G. Bona, 2000. Monitoring nitrogen dioxide and its effects on asthmatic patients: Two different strategies compare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63(3), pp.447-458. 

  14. Richter, A. and J.P. Burrows, 2002. Tropospheric NO2 from GOME measurements. Advances in Space Research, 29(11), pp.1673-1683. 

  15. Schindler, C., U. Ackermann-Liebrich, P. Leuenberger, C. Monn, R. Rapp, G. Bolognini, J.P. Bongard, O. Brandli, G. Domenighetti, W. Karrer, and R. Keller, 1998. Associations between Lung Function and Estimated Average Exposure to NO2 in Eight Areas of Switzerland. Epidemiology, 9(4), pp.405-411. 

  16. Smith, B.J., M. Nitschke, L.S. Pilotto, R.E. Ruffin, D.L. Pisaniello, and K.J. Willson, 2000. Health effects of daily indoor nitrogen dioxide exposure in people with asthma.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6(5), pp.879-885. 

  17. Xue, D. and J. Yin, 2014. Meteorological influence on predicting surface SO2 concentration from satellite remote sensing in Shanghai, Chin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6(5), pp.2895-29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