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단독주택 공간배치 변화 - 1980년 이후 단독주택 중 유명건축가의 작품과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
The Change of Space Arrangement of Korea Detached House by Space Syntax - A Focusing on the Detached Houses which were Designed by Famous Architects after 1980s'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3 = no.122, 2017년, pp.63 - 70  

황용운 (동양대학교 건축실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ner space of detached houses from 1980 to 2016. It was used 'space syntax program' for analysis and analyzed with intervals of 10 years as 1980~1990, 1990~2000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all, all inner space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대상의 포괄적인 범위설정에서는 주택의 여러 유형 중에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단독주택의 외형과 형태 등에 대한 내용은 이미 이선민 외 1인5)에 의해 연구가 이루어져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간략히 기술하고 주택내부의 각 소요공간 배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사례의 기간적 범위는 서론에서도 언급되었듯이 1980년 이후 86아시아, 88올림픽게임 등으로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우리 주거생활 환경에 큰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기에 1980년부터 현재 2016년 까지 약 35여 년 동안의 대표적인 단독주택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 이와 함께 국내의 현대 주택의 디자인 역시 선진외국건축의 영향을 받아 왔고 또한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주택 내의 공간배치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은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내부 공간에 국내의 전통적인 공간배치를 반영하는 등 우리들만의 공간계획이 우리 주택의 변화 양상에 표현되기도 했다. 이런 의미에서 8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현재까지의 대표적인 단독주택들의 내부 공간배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고, 그리고 분석결과를 통하여 단독주택 내에는 어떤 한국적 정서가 담겨져 있고, 발전 변형되어 왔는지를 재인식하여 국내의 주거 건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7) 즉 1)에서와 같이 공동생활공간은 통합적(Integration)성격이 강한 공간으로, 2)와 같은 개인 생활공간은 주거공간 내에서 어느 정도 독립성과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분리된 분격성(Segregation) 공간으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3)과 같은 가사노동공간도 통합성보다 분격성 공간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조사사례 평면도에서 거실, 식당(+부엌), 가족실, 복도 등(전이공간), 침실, 욕실(화장실) 등의 공간배치 특성을 기준으로 시대별로 공간 배치계획의 특성을 j-map과 볼록공간 분석(Convex Analysis)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류·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0년부터 2016년까지의 단독주택을 분석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단독주택의 외형과 형태 등에 대한 내용은 이미 이선민 외 1인5)에 의해 연구가 이루어져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간략히 기술하고 주택내부의 각 소요공간 배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사례의 기간적 범위는 서론에서도 언급되었듯이 1980년 이후 86아시아, 88올림픽게임 등으로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우리 주거생활 환경에 큰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기에 1980년부터 현재 2016년 까지 약 35여 년 동안의 대표적인 단독주택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사례주택의 선정은 기존에 검정이 이루어진 이선민 외 1인의 연구 “1980년대 이후 한국 단독주택 공간형태 변화 연구”에서 선정한 주택사례6)와 2010년 이후의 작품들을 일부 추가하여 선정하였다.
1980년부터 현재의 주택에 이르기 까지 내부 공간이 통합성 공간의 성격을 가진 공간이 증가하고, 분격성 공간의 성격을 가진 공간의 수가 감소하는 것이 보여주는 것은? 그리고 각 공간에 속한 공간의 수를 전체공간 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여 종합적으로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그림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1980년 이후 현재의 주택에 이르기까지 내부 공간은 통합성 공간의 성격을 가진 공간의 수가 증가하였고 분격성 공간의 성격을 가진 공간의 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통합성공간이 증가하였다는 의미는 예전의 권위적인 가족구성의 의미가 반영된 공간계획에서 가족 간의 친밀감을 우선시되는 현대의 가족관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가족중심의 사회문화가 지속된다면 단독주택의 공간은 통합성 공간이 증가하는 건축 공간계획으로 변화할 것이라 판단된다.
아모스 라포포트는 주거 형태를 무엇이라고 했는가? 이 관계는 어떤 특정한 장소에 대한 소속감이라는 측면에서 정체성의 작용으로 구성된다.2) 아모스 라포포트(Amos Rapoport)는 주거 형태는 단순히 물리적인 힘이나 어느 하나의 요소에 의한 물리적인 결과가 아니라 포괄적인 의미의 사회 문화적 요소의 산물이라고 하였다.3) 따라서 우리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삶을 반영하는 거울로서 주거 공간을 파악할 수 있고, 특정 시대의 주거 공간을 이해함으로써 당시의 사회,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고세범, 안건혁, 우리나라 주택유형의 비율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10 

  2. 김영주 외 3인,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주거문화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8 

  3. 유해연, 심우갑, 도시형 생활주택의 계획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5 

  4. 이선민 외 1인, 1980년대 이후 한국 단독주택 공간 형태 변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2.10 

  5. 장성준, 최두원, 공간통사에서의 볼록공간의 문제;4개 모델주택 평면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6.4 

  6. 황용운,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어촌 시범타운 시범사업 지구내의 주택평면 공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10 

  7. 최재필, 한국 현대 사회의 주생활양식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6.9 

  8.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2002 

  9. 김태현, 월간 건축, 가족과 주거건축, 1993.7 

  10. 이중근, 한국 주거문화사, 우정문고, 2014 

  11.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스페이스 타임, 2003 

  12. Amos Rapoport, House Form and Culture, 주거형태와 문화, 이규목 역, 열화당, 1985 

  13. Bill Hiller & Julienne Hanson,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4. C.N.Schulz, The Concept of Dwelling, 거주의 개념, 이재훈 역, 태림문화사, 1991 

  15.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