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 앙와위 자세시간과 수면관련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al Analysis of Supine Position Time and Sleep-related Variabl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1, 2017년, pp.32 - 37  

김시영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과) ,  박두흠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과) ,  유재학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과) ,  유승호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과) ,  하지현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에서 앙와위는 비앙와위보다 수면무호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앙와위 자세시간(supine position time, SPT)과 OSAS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의 관련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SPT가 OSAS에서 어떤 변수의 영향을 받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OSAS에서 수면다원검사상 어떤 변수가 SPT과 관련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방 법 : 수면다원검사로 진단된 치료받지 않은 365 명의 OSAS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SPT($276.4{\pm}92.3$ 분)가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 수면구조 관련변수, OSAS 관련변수 및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SPT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PT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의 상관분석에서 SPT는 총수면시간(total sleep time, TST) (r = 0.443, p < 0.001)과 수면 효율(r = 0.300, p < 0.001)과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코골이 시간(r = 0.238, p < 0.001), 산소포화도 90 % 미만시간(r = 0.188, p < 0.001), AHI (r = 0.180, p = 0.001), 산소탈포화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r = 0.149, p = 0.004), NN50 count(r = 0.137, p = 0.036)와 SPT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SPT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TST (t = 7.781, p < 0.001), 코골이 시간(t = 3.794, p < 0.001), AHI (t = 3.768, p < 0.001), NN50 count (t = 1.993, p = 0.047)가 있었다. 결 론 : SPT는 OSAS 관련변수보다 수면구조 관련변수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SPT는 TST과 AHI 뿐만 아니라 NN50 count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것은 SPT가 OSAS의 심각도뿐만 아니라 수면구조와 심박변이도에 의해서도 결정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supine sleep position increases sleep apneas compared to non-supine position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However, supine position time (SPT) is not highly associated with apnea-hypopnea index (AHI) in OSAS.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among sleep-related variabl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OSA 환자에서 호흡 장애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으로 거론되어온 앙와위 수면자세에 대해서, 기존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수면다원검사의 여러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SPT가 AHI에 영향을 주듯이 AHI에 의해서 SPT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과 OSAS관련 변수뿐만 아니라 HRV와 SPT의 상관관계도 관찰할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OSAS에서 AHI 외의 어떤 변수가 SPT와 관련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다중회귀분석하여 SPT이 어떤 변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무호흡 및 저 호흡으로 인해수면의 분절이 발생하며, 심혈관계 합병증 및 주간 졸림 등의 일상생활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OSAS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면 중 호흡 곤란의 양과 지속시간은 수면자세와 수면 단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twright 1984).
수면 무호흡을 증가시키는 수면자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OSAS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면 중 호흡 곤란의 양과 지속시간은 수면자세와 수면 단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twright 1984). 수면 자세 중에서, 앙와위는 비앙와위에 비해혀와 하악의 구조상 상기도를 허탈시켜 수면 동안 발생하는여러 호흡 관련 변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수면무호흡을 증가시킨다(Richard 등 2006).
OSAS의 호흡 곤란 양과 지속시간은 어떤 요인의 영향을 받는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무호흡 및 저 호흡으로 인해수면의 분절이 발생하며, 심혈관계 합병증 및 주간 졸림 등의 일상생활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OSAS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면 중 호흡 곤란의 양과 지속시간은 수면자세와 수면 단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twright 1984). 수면 자세 중에서, 앙와위는 비앙와위에 비해혀와 하악의 구조상 상기도를 허탈시켜 수면 동안 발생하는여러 호흡 관련 변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수면무호흡을 증가시킨다(Richard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idarian-monir, Nilsson M, Rasmusson L, Attia J, Ejnell H. The effect of the prone sleeping position on obstructive sleep apnoea. Acta Oto-Laryngologica. 2015;135:79-84. 

  2. Cartwright RD. Effect of sleep position on sleep apnea severity. Sleep 1984;7:110-114. 

  3. Yalciner G, Babademez MA, Gul F. Association of sleep time in supine position with apnea-hypopnea index as evidenced by successive polysomnography. Sleep Breath 2017;21:289-294. 

  4. Hori T, Sugita Y, Koga E, Shirakawa S, Inoue K, Uchida S, et al. Proposed supplements and amendments to 'A Manual of Standardized Terminology, Techniques and Scoring System for Sleep Stages of Human Subjects', the Rechtschaffen & Kales (1968) standard. Psychiatry Clin Neurosci 2001;55:305-310. 

  5. Iber C, Ancoli-Israel S, Chesson AL Jr, Quan SF.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Westchester, IL: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2007. 

  6. Kleiger RE, Stein PK, Bosner MS, Rottman JN. Time domain measurements of heart rate variability. Cardiol Clin 1992;10:487-98. 

  7. Leppanen T, Toyras J, Muraja-Murro A, Kupari S, Tiihonen P, Mervaala E, et al. Length of individual apnea events is increased by supine position and modulated by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Disorders 2016;2016:9645347. 

  8. Mador MJ, Kufel TJ, Magalang UJ, Rajesh SK, Watwe V, Grant BJ. Prevalence of positional sleep apnea in patients undergoing polysomnography. Chest 2005;128:2130-2137. 

  9. Menon A, Kumar M. Influence of body position on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ISRN Otolaryngol 2013;2013:670381. 

  10. Nakano H, Ikeda T, Hayashi M, Ohshima E, Onizuka A. Effects of body position on snoring in apneic and nonapneic snorers. Sleep 2003;2:169-172. 

  11. Oksenberg A, Silverberg D, Offenbach D, Arons E. Positional therap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a 6-month follow-up study. Laryngoscope 2006;116:1995-2000. 

  12. Oksenberg A, Gadoth N. Are we missing a simple treatment for most adult sleep apnea patients? The avoidance of the supine sleep position. J Sleep Res 2014;23:204-210. 

  13. Pevernagie DA, Shepard JW Jr. Relations between sleep stage, posture and effective nasal CPAP levels in OSA. Sleep 1992;15: 162-167. 

  14. Richard W, Kox D, Herder CD, Laman M, van Tinteren H, de Vries N. The role of sleep posi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6;263:946-950. 

  15. Silber MH, Ancoli-Israel S, Bonnet MH, Chokroverty S, Grigg-Damberger MM, Hirshkowitz M, et al. The visual scoring of sleep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7;3:121-131. 

  16. Song MK, Ha JH, Ryu SH, Yu JH, Park DH. The effect of aging and severity of sleep apnea on heart rate variability indi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sychiatry Investig 2012;9: 65-72. 

  17. Sunnergren O, Brostrom A, Svanborg E. Positional sensitivity as a confounder in diagnosis of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13;17:173-179. 

  18. Tabata R, Yin M, Nakayama M, Ikeda M, Hata T, Shibata Y, et al. A preliminary study on the influ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upon cumulative parasympathetic system activity. Auris Nasus Larynx 2008;35:242-246. 

  19. Yamakoshi S, Kasai T, Tomita Y, Takaya H, Kasagi S, Kawabata M,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men and women with sleep apnea. J Thorac Dis 2016;8:145-1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