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반보강용 수용성파우치(PVP)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ater Souuble Pouch for Ground Reinforcement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6 no.2, 2017년, pp.121 - 129  

정동호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ang Univ.) ,  김기호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 Materials Science, Chung-ang Univ.) ,  김주헌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 Materials Science, Chung-ang Univ.) ,  한중근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ban Design and Study, Chung-Ang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노후화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파손사례가 점차 증가하면서 지반함몰발생도 크게 증가하고 있고 도시과밀화에 따른 건설과 굴착공사들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도심에서는 lifeline이 지하화 되면서 지중에서 굴착과 되메움에 따라 원지반의 안정상태가 불안정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양호한 토사다짐이나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보강법이 적용되고 있지만 지하매설물의 파손에 따른 시기를 예측키 어렵고, 지반내 구조물의 탐사방법도 한계가 있어 지반함몰과 같은 위험요소를 해결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개발된 빈배합상태의 혼화재를 포함한 수용성폴리머파우치에 대해 지반보강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대기속에 보관가능한 파우치의 특성과 지하수위내부에서의 수용성 및 일정시간내 융해됨에 따른 보강강도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하수도관 매설시 뒤채움재에 혼합매설하는 경우, 지반내 물의상태에 따라 지반의 연약화를 방지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water and sewer pipe breakdown reports followed by ground subsidence. Also, the excavating works for construction due to overcrowding of city have been common. Particularly, in urban areas ground becomes unstable because of the lowered lifeline sinkage followed excav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된 빈배합상태의 혼화재를 포함한 수용성 폴리머 파우치에 대해 지반보강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대기중에 보관 가능한 파우치의 특성과 지하수위 내부에서의 수용성 및 일정시간내 융해됨에 따른 보강강도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장에서는 최종 상용 제품 개발에 앞서 폴리머 파우치의 내습성 평가를 통해 파우치의 보관 가능시간 및보관 가능한 최대습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그리하여 본 장에서는 실제 현장과 비슷한 조건으로 실내모형 토조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시험을 통해 지하수 흐름에 따른 파우치의 변화특성과 강도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 즉, 빈배합 상태의 혼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의 대기상에서의 존재상태, 지하수 흐름이 있는 경우 파우치의 시간의존적 수용성 및 경화, 경화 후 일정강도의 유지등의 문제점에 대해 사전연구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방법들에 대해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개발된 재료의 경우 수용성에 있어서 시간의존성을 가지므로 당초 지하매설물의 뒤채움재에 혼합하여 다짐 매설되는 경우 지하수, 우수 및 관로 파손에 의한 유출수 등에 선제적으로 반응하여 지반의 연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수용성폴리머파우치의 시공방법, 시공조건, 보관 조건 등을 고려하는 재료적측면의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빈배합 상태의 혼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의 대기상에서의 존재상태, 지하수 흐름이 있는 경우 파우치의 시간의존적 수용성 및 경화, 경화 후 일정강도의 유지등의 문제점에 대해 사전연구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방법들에 대해 조사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흐름이 있는 지반공동에 긴급 뒤채움을 하거나 지반함몰이 발생하기 전의 현장에서 사전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수용성 폴리머 파우치의 활용성에 대해 모형시험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빈배합상태의 혼화재를 포함한 수용성 폴리머 파우치에 대해 지반보강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대기중에 보관 가능한 파우치의 특성과 지하수위 내부에서의 수용성 및 일정시간내 융해됨에 따른 보강강도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 , 1999). 이에 PVP의 수용해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PVP 및 LDPE의 다양한 혼합비에 따른 블렌딩 및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는 지반함몰이나 도로함 몰등의 주 원인을 무엇으로 구분하는가? 도심지에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이나 도로함 몰등의 주 원인을 구분하며 서울시(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에서 관거유입형, 매설관하부 공간유 입형, 매립재의 공간유입형 및 굴착공사장 배면유입형으로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함 몰의 경우 지표면에서부터 지하1.
블랜드 재료로 LDPE를 선정한 이유는? 따라서 높은 강도를 갖는 LDPE를 블랜드 재료로 선정하였다. LDPE는 녹는점이 130°C로 PVP의 녹는점(120°C)과 유사 하며 용융상 점도가 낮아 블렌딩 및 파우치 성형하기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Forster et al., 2001). 또한 매우 높은 충격강도를 가지고 있어 지반보강용 폴리머 파우치를 원하는 강도로 제작하기 용이하다. Fig.
PVP가 가진 특성은? 본 연구에 사용된 폴리머는 Low Density Polyethylene (이하 LDPE, Sigma Aldrich, Korea, Mw=35000)와 Polyvinylpyrrolidone (이하 PVP, Daejung Chemical, Korea, Mw=20000, 40000, 120000) 을 사용하였다. PVP는 상온의 물속에서 쉽게 용해되는 고분자 일뿐만 아니라 가격이 매우 저렴한 열경화성 고분자로 대량생산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Ahlneck and Zografi, 1990). 하지만 지반 보강용 파우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입기의 압력을 견딜수 있는 강도가 필요하며, 지하 공동안에서 깨지지 않고 파우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hlneck, C. and Zografi, G. (1990). The molecular basis of moisture effect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of drugs in the solid 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62(2-3), 87-95. 

  2. Drabik, M., Mojumdar, S. C., and Galikova, L. (2001). Changes of thermal events of macrodefect-free (MDF) cements due to the deterioration in the moist atmosphe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5), 743-747. 

  3. Forster, A., Hempenstall, J., and Rades, T. (2001). Characterization of glass solutions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produced by melt extrusion with hydrophilic amorphous polymers.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53(3), 303-315. 

  4. Geng, Y. H., Sun, Z. C., Li, J., Jing, X. B., Wang, X. H., and Wang, F. S. (1999). Water soluble polyaniline and its blend films prepared by aqueous solution casting. Polymer, 40(20), 5723-5727. 

  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4), Research on Causes and Policy Suggestions by Sinkhole Type, Research report. 

  6. Young-Nam Kim, Young-Su Chae, and Kang-Il Lee (2013), Experimental Study of Down-Scaled Model Slope on the Variation of the Ground Water Level of Drainable Soil Nailing, J.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2, No. 1, pp.39-50. 

  7. M. Teresa Marin, M. Victoria Margarit, Gloria E. Salcedo (2002), Characterization and solubility study of solid dispersions of flunarizine and polyvinylpyrrolidone, Il Farmaco, Vol.57, pp.723-727. 

  8.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ewer Pipe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Waterworks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10. Shaun Fitzpatrick, James F. McCabe, Catherine R. Petts, and Steven W. Booth (2002), Effect of moisture on polyvinylpyrrolidone in accelerated stability te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246, pp.143-151.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Seoul road sinking management policy and action manual, Seoul Road Manage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