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심상 기법을 이용한 단축발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hort Foot Exercise Using an Imagery Technique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2, 2017년, pp.1 - 10  

이동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지성하 (중앙생한방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gating the effect of short foot exercise(SFE) using an imagery technique on chronic ankle instability(CAI). Methods : Twenty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were selected by using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축발 운동에 심상 기법을 적용하고 만성 발목 불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심상 기법이 근골격계 치료 및 중재 방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SFE에 심상 기법을 적용하고 만성 발목 불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심상 기법이 근골격계 치료 및 중재 방법에 효과적임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대조군인 SFE 그룹, 실험군인 심상 기법 그룹으로 구분하여 6주간 진행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AIT, 균형, 진동감각을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근골격계 손상인 발목염좌와 그로 인한 만성 발목 불안정성 치료를 위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가 입증된 단축발 운동에 심상 기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심상 기법의 근골격계 치료 및 중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상 기법은 어디에 사용되고 있나? 또한 심상 기법은 환자치료나 재활에서도 적용되어 왔는데,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Page 등, 2001), 하지의 보행능력 증진(Kim 등, 2011), 일어나고 앉기 동작 증진(Oh 등, 2010), 대뇌피질의 흥분성 증가(Decety 등, 1994), 균형능력 향상(Yoo & Chung, 2006) 등의 신경계 재활과 치료 그리고 운동손상 후 회복 향상(Tod 등, 2015), 단기간 고정 후 근기능 회복과 앞십자인대 기능회복(Clark 등, 2014; Frenkel 등, 2014)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심상이란 무엇인가? 심상(imagery)은 모든 감각들을 사용해 마음 속에서 경험을 창조하거나 재창조하는 것이라고 정의되며(Cumming & Williams, 2014; Vealey & Walter, 1993), 심상 기법 (imagery technique)은 신체의 움직임 없이 심상을 통하여 훈련하는 기법을 의미한다(Guillot & Collet, 2005; Solodkin 등, 2004). 이러한 심상 기법은 경기력 향상 등을 위해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Cumming & Williams, 2014; Slimani 등, 2016).
심상 기법과 관련된 많은 선행 연구에서 심상 기법의 효과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고 설명하는데 이 심리적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나? 심리적 요인들로는 동기부여(Slimani 등, 2016), 자기효능감과 자신감(Slimani 등, 2016) 등이 있으며 생리학적인 면에서 심상 기법이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Guillot 등(2007)은 심상 기법이 실제 운동에서 사용되는 중추신경계를 활성화하여 근육과 신경을 촉진시켜 운동학습 능력을 향상시킨다 하였고 Yao 등(2013)은 EMG와 EMG 측정을 통해 심상 기법이 특정운동과 관련된 뇌영역과 신경계를 활성화시키고 특정 운동 시 작용하는 근육에 강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결과를 토대로 심상 기법이 근력강화에 효과적이며 추후 fMRI나 PET 등의 추가적인 측정이 필요할 것이라 하였다. Slimani 등(2016)은 심상 기법이 반복적인 심상의 사용을 통해 운동프로그램을 조직화시키고 운동명령을 담당하는 다양한 뇌영역의 뉴런을 활성화시켜서 학습과 운동수행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순희(2016). 가상현실 기반 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2), 1-11. 

  2. 신원섭, 최호석(2016). 3D 모션입력장치를 이용한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4), 41-51. 

  3. 심은결(2009). 편마비 환자의 온도감각 및 진동감각 역치에 대한 정량적 감각 검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윤홍규(2013). 단하지보조기와 발목관절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균형운동이 편마비환자의 보행속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은상(2015). 발내재근 훈련이 만성 발목염좌환자의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이현주, 이승주, 태기식 등(2010). 신발 굽 높이와 착용습관화에 따른 균형 능력 비교. 대한의용생체공학회지, 31(2), 106-113. 

  7. 이효정(2016).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및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4), 53-65. 

  8. 임인수(2001). 무용학습자의 심상훈련이 불안 및 알레마나 동작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Best R, Mauch F, Bauer G(2013). Evidence for treatment of acute syndesmosis injuries in sports. Unfallchirurg, 116(6), 504-511. 

  10. Clark BC, Mahato NK, Nakazawa M, et al(2014). The power of the mind: the cortex as a critical determinant of muscle strength/weakness. J Neurophysiol, 112(12), 3219-3226. 

  11. Cumming J, Williams SE(2014). Imagery. In: Encyclopedia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Ed: Eklund R.C., Tenenbuam G. Los Angeles: Sage, pp.369-373. 

  12. Daniel CR, Brower JD, Pearson JE, et al(1977). Vibrometry and neuropathy. J Miss State Assoc, 18(2), 30-32. 

  13. Decety J, Perani D, Jeannerod M, et al(1994). Mapping motor representat ions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ature, 371(6498), 600-602. 

  14. Delahunt E, O'Driscoll J, Moran K(2009). Effects of taping and exercise on ankle joint movement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rch Phys Med Rehabil, 90(8), 1418-1422. 

  15. De Ruiter CJ, Hutter V, Icke C, et al(2012). The effects of imagery training on fast isometric knee extensor torque development. J Sports Sci, 30(2), 166-174. 

  16. Dishman RK(1982). Contemporary sport psychology. Exerc Sport Sci Rev, 10(1), 120-159. 

  17. Driskell JE, Copper C, Moran A(1994). Does mental practice enhance performance?. J Appl Psychol, 79(4), 481-492. 

  18. Frenkel MO, Herzig DS, Gebhard F, et al(2014). Mental practice maintains range of motion despite forearm immobilization: a pilot study in healthy persons. J Rehabil Med, 46(3), 225-232. 

  19. Gimmon Y, Riemer R, Oddsson L, et al(2011). The effect of plantar flexor muscle fatigue on postural control. J Electromyogr Kinesiol, 21(6), 922-928. 

  20. Guillot A, Lebon F, Rouffet DS, et al(2007). Muscular responses during motor imagery as a function of muscle contraction types. Int J Psychophysiol, 66(1), 18-27. 

  21. Guillot A, Collet C, Nguyen VA, et al(2008). Functional neuroanatomical networks associated with expertise in motor imagery ability. Neuroimage, 41(4), 1471-1483. 

  22. Jordan D, Raugust B(2006). The effect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on peroneal reflex latency. University of Alberta Health Sciences, 3(1), 16-19. 

  23. Junge A, Engebretsen L, Mountjoy ML, et al(2009). Sports injuries during the Summer Olympic Games 2008. Am J Sports Med, 37(11), 2165-2167. 

  24. Hatzigeorgiadis A, Zourbanos N, Galanis, E, et al(2011). Self talk and sports performance: A meta analysis. Perspect Psychol Sci, 6(4), 348-356. 

  25. Hammoudi-Nassib S, Chtara M, Nassib S, et al(2014). Time interva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ng up and actual sprint performance. J Strength Cond Res, 28(11), 3245-3254. 

  26. Hubbard TJ, Kramer LC, Denegar CR, et al(2007). Contributing factors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8(3), 343-354. 

  27. Kim JS, Oh DW, Kim SY, et al(2011). Visual and kinesthetic locomotor imagery training integrated with auditory step rhythm for walking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Clin Rehabil, 25(2), 134-145. 

  28. Lynn SK, Padilla RA, Tsang KW(2012). Difference in static-balance and dynamic-balance task performance after 4 weeks of intrinsic-foot-muscle training : the short-foot exercise versus the towel-curl exercise. J Sport Rehabil, 21(4), 327-333. 

  29. Malouin F, Richards CL, Doyon J, et al(2004). Training mobility tasks after stroke with combined mental and physical practice: a feasibility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18(2), 66-75. 

  30. McCormick A, Meijen C, Marcora S(2015).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whole-body endurance performance. Sports Med, 45(7), 997-1015. 

  31. McKeon PO, Hertel J, Bramble D, et al(2014). The foot core system: a new paradigm for understanding intrinsic foot muscle function. Br J Sports Med, 49(5), 290. 

  32. Moon DC, Kim K, Lee SK(2014). Immediate effect of short-foot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subjects with excessively pronated feet. J Phys Ther Sci, 26(1), 117-119. 

  33. Nordin SM, Cumming J(2007). Professional dancers describe their imagery: Where, when, and how: a quantitative account of dance imagery. Res Q Exerc Sport, 78(4), 390-405. 

  34. Oh DW, Kim JS, Kim SY, et al(2010).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ymmetrical use of knee extensor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post-stroke hemiparesis. NeuroRehabilitation, 26(4), 307-315. 

  35. Page SJ, Levine P, Sisto SA, et al(2001). Mental practice combined with physical practice for upper-limb motor deficit in subacute stroke. Phys Ther, 81(8), 1455-1462. 

  36. Petersen W, Rembitzki IV, Koppenburg AG, et al(2013). Treatment of acute ankle ligament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Arch Orthop Trauma Surg, 133(8), 1129-1141. 

  37. Ranganathan VK, Siemionow V, Liu, JZ, et al(2004). From mental power to muscle power-gaining strength by using the mind. Neuropsychologia, 42(7), 944-956. 

  38. Ross SE, Linens SW, Wright CJ, et al(2011). Balance assessments for predicting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nd stable ankles. Gait Posture, 34(4), 539-542. 

  39. Sawkins K, Refshauge K, Kilbreath S, et al(2007). The placebo effect of ankle taping in ankle instability. Med Sci Sports Exerc, 39(5), 781-787. 

  40. Shackell EM, Standing LG(2007). Mind over matter: Mental training increases physical strength. N Am J Psychol, 9(1), 189-200. 

  41. Slimani M, Miarka B, Briki W, et al(2016). Comparison of mental toughness and power test performances in high-level kickboxers by competitive success. Asian J Sports Med, 7(2), e30840. 

  42. Slimani M, Tod D, Chaabene H, et al(2016). Effects of mental imagery on muscular strength in healthy and patient participants: A systematic review. J Sports Sci Medi, 15(3), 434-450. 

  43. Solodkin A, Hlustik P, Chen EE, et al(2004). Fine modulation in network activation during motor execution and motor imagery. Cereb Cortex, 14(11), 1246-1255. 

  44. Tod D, Edwards C, McGuigan M, et al(2015).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cognitive strategies on strength performance. Sports Med, 45(11), 1589-1602. 

  45. Vealey RS, Walter SM(1993). Imagery training for performance enhance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In J. M. Williama (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Mayfield, pp.200-224. 

  46. Smith D, Wakefield C(2013). A timely review of a key aspect of motor imagery: a commentary on Guillot et al. (2012). Front Hum Neurosci, 7, 761. 

  47. Yao WX, Ranganathan VK, Allexandre D, et al(2013). Kinesthetic imagery training of forceful muscle contractions increases brain signal and muscle strength. Front Hum Neurosci, 7, 561. 

  48. Yoo EY, Chung BI(2006).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plus mental practice on symmetrical weight-bearing training in people with hemiparesis. Clin Rehabil, 20(5), 38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