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험 청구액에 대한 새로운 복합분포
New composite distributions for insurance claim size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3, 2017년, pp.363 - 376  

정대현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  이지연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험 시장은 포화되고 그 성장 동력은 소진되어 보험 산업이 저성장에 머물러 있는 가운데 보험사들은 치열한 경쟁 환경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험 상품에 대한 보험수리적 계산의 기초가 되는 보험 청구액의 흐름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확률분포를 찾아내는 것은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보험 청구액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꼬리를 가지면서 왼쪽으로 치우친 로그정규분포나 파레토 분포로 잘 설명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기운 정규분포나 기운 t 분포가 보험 청구액 분포로 적절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Cooray와 Ananda (2005)는 로그정규분포와 파레토 분포의 장점을 모두 가진 로그정규-파레토 복합분포를 제시하고 단일분포보다 더 높은 적합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운 정규분포와 기운 t 분포를 머리 부분으로 결합한 새로운 복합분포를 소개하고 덴마크의 화재보험 청구액 데이터와 미국의 배상 지불금 데이터에 적용하여 기존의 다른 복합분포들을 포함하여 여러 단일분포들과 그 성능을 비교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surance market is saturated and its growth engine is exhausted; consequently, the insurance industry is now in a low growth period with insurance companies that face a fierce competitive environment. In such a situation, it will be an important issue to find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보험 청구액의 확률분포로서 기운(skewed) 분포를 결합한 새로운 복합분포를 제안하였다. 덴마크 화재보험 청구액 데이터와 미국 배상금 데이터를 통해 기운 t 분포를 머리 부분으로 결합한 복합분포가 단일분포로 사용될 때보다 크게 향상된 적합도를 가짐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험 청구액의 분포가 최근 어떠한 분포에 더 적절한가? 이러한 상황에서 보험 상품에 대한 보험수리적 계산의 기초가 되는 보험 청구액의 흐름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확률분포를 찾아내는 것은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보험 청구액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꼬리를 가지면서 왼쪽으로 치우친 로그정규분포나 파레토 분포로 잘 설명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기운 정규분포나 기운 t 분포가 보험 청구액 분포로 적절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Cooray와 Ananda (2005)는 로그정규분포와 파레토 분포의 장점을 모두 가진 로그정규-파레토 복합분포를 제시하고 단일분포보다 더 높은 적합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규모가 큰 사건은 청구액이 많은 반면 일어나는 빈도가 낮고 규모가 작은 사건에 대해서는 청구액이 작은 반면에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는 보험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포는? Lee와 Park (2012)은 보험의 특성상 규모가 큰 사건은 청구액이 많은 반면 일어나는 빈도가 낮고 규모가 작은 사건에 대해서는 청구액이 작은 반면에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포들로는 감마(gamma) 분포, 와이블(Weibull) 분포, 로그정규(lognormal) 분포, 파레토(Pareto) 분포 등이 있으며 특히 로그정규분포나 파레토 분포 등이 보험 청구액 데이터에 잘 적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urnecki 등, 2000).
파레토 분포는 어떤 형태를 가지는 보험 청구액 분포에 더 적절한가? Azzalini와 Capitanio (2003)은 일반 t 분포의 대칭성(symmetry)을 요란시켜 왜도(skewness)를 가지는 기운 t 분포(skew t distribution)의 특성을 소개하였고, Eling (2012)은 기운 t 분포가 보험 청구액 데이터에 좋은 적합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McNeil (1997)은 보험 청구액이 적은 경우가 빈번하면서 상대적으로 꼬리가 짧은 경우에는 로그정규분포가 더 적절하고, 파레토 분포는 오른쪽 꼬리가 매우 긴 형태를 가지는 보험 청구액 분포에 더 적절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Cooray와 Ananda (2005)는 앞쪽 머리 부분은 로그정규분포를 따르고 뒷쪽 꼬리 부분은 파레토 분포를 따르는 복합분포(composite distribution)를 소개하면서 McNeil (1997)이 지적한 보험 청구액의 분포 특성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Electronic Journal of Probability, 19, 716-723. 

  2. Azzalini, A. (1985). A class of distributions which includes the normal ones, Scandinavian Journal of Statistics, 12, 171-178. 

  3. Azzalini, A. (2016). The R package sn: The skew-normal and skew-t distributions (version 1.4-0), http://azzalini.stat.unipd.it/SN. 

  4. Azzalini, A. and Capitanio, A. (2003). Distributions generated by perturbation of symmetry with emphasis on a multivariate skew t distribut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65, 367-389. 

  5. Bakar, S., Hamzah, N. A., Maghsoudi, M., and Nadarajah, S. (2015). Modeling loss data using composite model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61, 146-154. 

  6. Bakar, S., Nadarajah, S., Adzhar, Z., Mohamed, I. (2016). Gendist: an R package for generated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PLOS ONE, 11, e0160903. 

  7. Burnecki, K., Kukla, G., and Weron, R. (2000). Property insurance loss distribution,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287, 269-278. 

  8. Cooray, K. and Ananda, M. M. (2005). Modeling actuarial data with a composite lognormal-pareto model,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2005, 321-334. 

  9. Davison, A. (2003). Statistical Mod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0. Davison, A. (2013). The R package SMPracticals: Practicals for use with Davison (2003) "Statistical Models"(version 1.4-2), http://CRAN.R-project.org/packageSMPracticals. 

  11. Eling, M. (2012). Fitting insurance claims to skewed distributions: are the skew-normal and skew student good models?, Insurance: Mathematics and Economics, 51, 239-248. 

  12. Embrechts, P., Kluppelberg, C., and Mikosch, T. (1997). Modelling Extremal Events for Insurance and Finance, Springer, Berlin. 

  13. Frees, E. W. and Valdez, E. A. (1998). Understanding relationships using copula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2, 1-25. 

  14. Hofert, M., Kojadinovic, I., Maechler, M., and Yan, J. (2013). The R package copula: Multivariate Dependence with Copulas(version 0.999-16), http://copula.r-forge.r-project.org/. 

  15. Klugman, S. A., Panjer, H. H., and Willmot, G. E. (2004). Loss Models: From Data to Decisions (2n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 Lee, K. and Park, H. C. (2012). Comparisons of the fitness for lognormal, Pareto and composite lognormal-Pareto distribution based on the insurance payments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163-172. 

  17. McNeil, A. I. (1997). Estimating the tails of loss severity distribution using extreme value theory, ASTIN Bulletin, 27, 117-137. 

  18. Nadarajah, S. and Bakar, S. (2014). New composite models for the Danish fire insurance data,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2014, 180-187. 

  19. Owen, D. (1956). Tables for computing bivariate normal probabilitie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27, 1075-1090. 

  20. Pigeon, M. and Denuit, M. (2011). Composite lognormal?Pareto model with random threshold,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2011, 177-192. 

  21. Preda, V. and Ciumara, R. (2006). Modeling with Weibull-Pareto model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16, 147. 

  22. Scollnik, D. P. M. (2007). On composite lognormal-Pareto models,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2007, 20-33. 

  23. Yun, S. H. et al. (2015). Insurance Industry Outlook and Issues 2015,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