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장기요양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 개발
An indicator for managing the regional variations in approval rates of long-term care (LTC) servic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3, 2017년, pp.391 - 401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이정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박세영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장수목 (국민건강보험공단 급여보장실) ,  정인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격을 결정하는 장기요양 등급인정의 지역별 차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역별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별 인정률은 시군구 지역단위별로 설치된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등급판정자 대비 인정자 비율인 운영센터별 인정률로 정의하고, 등급판정을 받은 자(등급판정자)의 특성에 따라 장기요양 등급인정 여부가 결정되므로, 운영센터별 인정률은 등급판정자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운영센터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등급판정자 특성 요인을 고려하여 추정된 운영센터별 인정률은 표준인정률이라 정의하였고, 관찰된 인정률 간의 차이(오차)가 클수록 등급판정자의 특성 외의 요인이 인정률에 영향을 끼쳤다고 가정하여 이 지역의 등급인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리지표 개발을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등급판정이 완료된 433,115명의 인정조사 자료와 등급판정을 실시한 인정조사자 특성을 활용하였다. 운영센터별 관리지표 생산을 위해 분석대상자가 장기요양 등급을 부여 받은 운영센터를 기준으로 자료를 변환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등급판정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기요양 등급 재신청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운영센터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산출하였고, 인정의 차이 값이 전체 분포의 중앙95% 구간을 벗어난 운영센터를 등급인정에 오류가 있는 지역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별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통해 장기요양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 제고와 형평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an indicator to manage regional variations of approval rates for long-term care (LTC) service. We used LTC insurance data for grade assessment that include 433,155 applicants from 227 LTC centers across Korea in 2015. The approval rate for each center was defined as the propor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장기요양 등급판정의 지역별 인정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영센터의 등급판정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통계적 모형을 적용하여 관리지표를 개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앞으로 타당성 평가 연구를 통해 본 지표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인정의 차이가 발생한 운영센터를 중심으로 인정의 차이 발생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하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 본 연구는 지역별 인정률의 차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국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 장기요양 인정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운영센터 인정의차이 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운영센터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운영센터에서 관리 불가능한 외부요인과 관리 가능한 내부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요인들을 바탕으로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운영센터에서 관리가 불가능한 외부요인만을 활용하여 운영센터의 적정 인정률인 표준인정률을 정의하였고, 이를 근거로 인정의 차이가 발생하는 운영센터를 확인하기 위한 운영센터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별 인정률의 차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국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 장기요양 인정률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운영센터 인정의차이 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운영센터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운영센터에서 관리 불가능한 외부요인과 관리 가능한 내부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요인들을 바탕으로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즉, 실제 인정률과 추정 인정률 간의 차이가 클수록 외부요인이 아닌 내부요인에 영향을 받은 운영센터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인정률과 표준인정률 간의 차이를 운영센터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로 정하였다. 인정의 차이가 큰 운영센터 여부는 운영센터 인정의 차이 값의 분포를 확인하고 분포 95% 밖의 운영센터로 확인하였다.
  • 장기요양인정 업무의 객관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운영의 핵심이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된 2008년부터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학계전문가,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등으로 인정률편차관리TF를 구성하여 226개 장기요양운영센터별 인정률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별인정률 차이를 관리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Kang과 Han, 2009). Kang 등 (2011)의 연구에 따르면, 각 지역마다 지역사회 노인인구 및 장기요양 공급자 특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지역별 인정률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별 인정률의 차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국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인정의 차이에 대한 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관리지표는 지역별로 나타난 운영센터의 인정률을 단순 비교하여 인정의 차이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센터에 등급판정 신청을 하여 장기요양 등급판정을 받은 자(이하 등급판정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이를 근거로 운영센터의 인정에 대한 문제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점을 발굴하고 지역에 맞춘 인정의 차이에 대한 관리 및 지도점검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

가설 설정

  • 셋째, 전국 227개 운영센터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추정된 운영센터별 인정률은 표준인정률이라 정의하였다. 넷째, 등급판정자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센터의 인정률(표준인정률)과 관찰된 인정률 간의 차이(오차)가 클수록 등급판정자의 특성 외의 요인이 인정률에 영향을 끼쳤다고 가정하여 이 지역의 등급인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한다.
  • 227개 운영센터의 인정률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줄기-잎 그림과 정규 확률도, 정규성 검정(shapiro-wilktest)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정규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보다 낮아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 그러나 줄기-잎그림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인정률이 중앙에 많이 몰려있고, 좌우 대칭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정규 확률도에서도 인정률이 정규분포 형태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줄기-잎그림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인정률이 중앙에 많이 몰려있고, 좌우 대칭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정규 확률도에서도 인정률이 정규분포 형태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의 적용성과 해석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정규성 변환을 하지 않고, 227개 운영센터의 인정률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3.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인정이란? 5%로 등급에 대한 비율의 지역 간 차이도 나타난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a). 장기요양인정이란, 노인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하여 등급판정을 신청한 노인에 대해 인정조사를 실시하고 장기요양등급을 판정하는 절차를 말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등급판정을 통해 1{5등급으로 장기요양인정을 받은 자에 한해서만 서비스 이용 자격을 부여하기 때문에, 장기요양인정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수혜받기 위한 관문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목적은? 우리나라는 2008년 7월 다섯 번째 사회보험제도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도입하였다. 이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제도 도입 이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혜택을 받은 장기요양 인정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15년 말 기준 전체 467,752명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수 대비 7.
장기요양 등급 및 인정 여부가 어떻게 결정되는가?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은 지역의 장기요양운영센터에 등급판정을 신청하고 공단 직원의 가정방문을 통한 인정조사를 받아야 한다. 인정조사는 신체기능, 인지기능, 문제행동, 간호처치, 관절구축 5개 영역에 대하여 52개 항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 대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인정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등급판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장기요양 등급 및 인정 여부가 결정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역 간 인정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장기요양 인정 등급판정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지역별(운영센터별) 인정률을 산출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 등급판정 신청자 가운데 장기요양인정을 받은 자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a, H. S. (2015). Evalu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Seoul 

  2. Kang, I. O. and Han, E. J.(2009). Factors affecting regional approval rate and Improvement of regional variation of approval rate in LTC grad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eoul 

  3. Kang, I. O., Han, E. J., and Park, C. Y. (2011). Factors affecting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1, 381-396. 

  4. Kwon, S. M., Kim, H. S., Choi, S. J., and Kim, Y. H. (2015). Senior citizen Long-term care Budgetary projection model stud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Seoul 

  5. Medical Today (2015). Regional variation of approval rates in LTC grading...Seoul 81% Vs Jeollanam-do 53%, 2015.9.2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a). 2015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b). Internal report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