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에 대한 인지기능, 통증 및 신체상의 영향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Pain, and Body Image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20 no.1, 2017년, pp.33 - 41  

김미령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  서연옥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body image and pai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daily life performance of brain injured pat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19 inpatients with brain injury who gave informed cons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손상이 확인된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 신체상, 통증간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뇌손상 후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회복하도록 돕기 위하여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환자의 재활과정에 적용한다면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 신체상, 통증 및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관련하여 인지기능, 통증, 신체상 변화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상생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뇌손상 환자 간호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인지기능, 신체상 및 통증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초기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관련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함으로써 뇌손상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에 도움이 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뇌손상 환자가 가장 많이 접하는 임상간호사들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한 재활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 2006), 통증(Ha, 2015)에 대해 각각의 영향을 보고하고 있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신체상, 통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어서 이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인지기능, 신체상, 통증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서 일상 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에 의한 뇌 손상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뇌손상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의 주요 요인이 되는 동시에 생존하는 경우에도 신체적 장애로 일상생활 수행을 스스로 하기 어려운 질환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Abubakar & Isezuo, 2012; Kwen, 2014). 뇌졸중에 의한 뇌 손상은 응급 처치와 초기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인다 하더라도 운동, 감각, 인지, 지각, 언어 등 다양한 이상 증상을 보이며 (Kang, Lee, & Kim, 2015), 일상생활활동의 참여 제한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동반하여 정상적인 사회의 일원으로 돌아가는 데 제한점을 갖게 된다(Oh, Kim, Seo, & Suh, 2005).
뇌손상이란 무엇인가? 뇌손상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의 주요 요인이 되는 동시에 생존하는 경우에도 신체적 장애로 일상생활 수행을 스스로 하기 어려운 질환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Abubakar & Isezuo, 2012; Kwen, 2014). 뇌졸중에 의한 뇌 손상은 응급 처치와 초기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인다 하더라도 운동, 감각, 인지, 지각, 언어 등 다양한 이상 증상을 보이며 (Kang, Lee, & Kim, 2015), 일상생활활동의 참여 제한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동반하여 정상적인 사회의 일원으로 돌아가는 데 제한점을 갖게 된다(Oh, Kim, Seo, & Suh, 2005).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활동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일상생활수행능력은 공통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으로서 독립적으로 자기 스스로를 유지하며, 도구적 일상생활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들은 기능장애에 의하여 독립적인 기능이 상실되어 자신감을 잃게 되고, 뇌졸중의 후유증으로 인해 효과적인 재활이 어려워지며 재원기간 연장, 경제적 부담감, 부양 부담감, 피로도 증가, 우울, 삶의 질 저하 등이 나타난다(Hadidi, Treat-Jacobson, & Lindquist, 2009). 이러한 문제들은 일상활동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이 밖의 다른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ubakar, S., & Isezuo, S. (2012).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Experience of a stroke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8(3), 183-187. 

  2. Bae, J. H., Lee, T. Y., & Kang, D. H. (2012). Impact of pain catastrophizing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4), 57-68. 

  3. Cela, M. V., Alvarez, A. A., Bouza, M. D., & Breen, P. E. (2014). Perception of body schem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ve on people with acquired brain injur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32, 135-141.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4.289 

  4. Ha, J. H. (2015). The correlations of fatigue, pain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post-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 Hadidi, N., Treat-Jacobson, D. J., & Lindquist, R. (2009). Poststroke depression and functional outcome: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Heart & lung, 38(2), 151-162. https://doi.org/10.1016/j.hrtlng.2008.05.002 

  6. Hafen, K., Jastrebow, J., Nbling, R., & Bengel, J. (2001). Development of a patient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PAREMO). Die Rehabilitation, 40(1), 3-11. 

  7. Harrison, R. A., & Field, T. S. (2015). Post stroke pain: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therapy. Cerebrovascular Diseases, 39(3-4), 190-201. 

  8. Hong, M. S., Nam, M. R., Lee, J. H., & Jeong, K. I. (2006).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ability, cognitive disorder and body image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1), 34-41. 

  9. Jang, Y. J., & Jeon, S. S. (2012).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patients with strok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3), 305-316. 

  10. Jonsson, A. C., Lindgren, I., Hallstrom, B., Norrving, B., & Lindgren, A. (2006). Prevalence and intensity of pain after stroke: A population based study focusing on patients' perspective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77(5), 590-595. https://doi.org/10.1136/jnnp.2005.079145 

  11. Kang, T. W., Lee, E. J., & Kim, T. Y. (2015). Pain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5(2), 60-72. 

  12. Kang, Y. W., Na, D. Y., & Ha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2), 300-308. 

  13. Kim, J., Kim, M., Hwang, B., & Jang, C. (2014). The effec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1), 1-14. https://doi.org/10.15268/ksim.2014.2.1.001 

  14. Kim, S. Y., Park, H. J., & Shim, S. M. (2011). Prevalence of pain in hemiplegic patients.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1(1), 43-49. 

  15. Klit, H., Finnerup, N. B., & Jensen, T. S. (2009). Central poststroke pain: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The Lancet Neurology, 8(9), 857-868. https://doi.org/10.1016/S1474-4422(09)70176-0 

  16. Kwen, C. S. (2014). Factors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e Korean Academy of Neural Rehabilitation, 4(1), 21-29. 

  17. Lee, D. O., Kim, K. S., Chae, H. S., Choi, D. Y., Lee, J. D., Lee, Y. H., et al. (2002). Effectiveness of pain management for central poststroke pain on rehabilitation. The Korean Journal of Pain, 15(1), 63-68. 

  18. Lee, H. Y., & Sa, K. B. (2015). The effect of home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mong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275-291. https://doi.org/10.15870/jsers.2015.09.54.3.275 

  19. Lee, J. M. (2012).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1(1), 71-79. 

  20. Lee, M. W., & Song, M. S. (2002).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5(1), 49-59. 

  21. McCaffery, M., & Beebe, A. (1989). Pain: Clinical manual for nursing practice. Baltimore: V.V. Mosby. 

  22. Oh, E. M. (2010).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daily living activitie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suffering from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3. Oh, E. Y., Kim, M. S., So, H. Y., & Jeong, M. S. (2013). The impacts of cognitive function, disease severity, and disability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6(2), 90-99. https://doi.org/10.7587/kjrehn.2013.90 

  24. Oh, H. S., Kim, Y. R., Seo, W. S., & Suh, Y. O. (2005).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brain injured patients in the post-acute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270-282. 

  25.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6. Rubio, K. B., & Van Deusen, J. (1995). Relation of perceptual and body image dysfunc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ersons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6), 551-559. 

  27. Salter, K., Jutai, J., Hartley, M., Foley, N., Bhogal, S., Bayona, N., et al. (2006). Impact of early vs delayed admission to rehabilitation on functional outcomes in person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8(2), 113-117. https://doi.org//10.1080/16501970500314350 

  28. Scott, J., & Huskisson, E. (1979). Vertical or horizontal visual analogue scale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38(6), 560. 

  29. Shin, M. J., Park, J. E., Kang, D. L., & Kim, N. R. (2015).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in brain Injury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4(1), 5-23. 

  30. Van Vliet, P., Lincoln, N., & Foxall, A. (2005). Comparison of Bobath based and movement science based treatment fo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76(4), 503-508. https://doi.org//10.1136/jnnp.2004.0404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