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각사등록으로부터 복원한 측우기 자료에 의한 우택 강우량 관측자료 단위 환산
Conversion of the Unit of Wootaek Rainfall Data With the Chugugi Data in 「Gaksa-deungnok」 During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7 no.2, 2017년, pp.151 - 162  

조하만 (조선대학교) ,  김상원 (한국기상전문인협회) ,  전영신 (기상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infall amount data measured by 'Wootaek', a method of measuring how far the moisture had absorbed into the soil when it rai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stimated with the Chugugi data in the 12 sites where both the 'Wootaek' and 'Chugugi' data are available. Excluding the 5 sites (Gangh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각사등록」으로부터 복원된 자료 가운데 우택 관측이 함께 이루어진 측우기 관측소 중 자료가 남아있는 12개 관측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택 우량 관측자료의 측우기 단위 환산을 시도함으로써 우택 자료의 강우량을 산정하고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우택 자료가 측우기 자료에 비해 다소 정확도는 떨어지나 이번 연구를 통해 우택 관측자료의 개략적인 강우량 값을 추정케함으로써, 352소에 이르는 우택 관측자료의 가치를 높이고 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사등록은 어떤 책인가? 한편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시대 각 관아에서 수수하였던 문서를 편철하여 영인 간행한 「각사등록(各司謄錄)」이라는 책자가 있다. 「각사등록」에는 조선 시대 각 지방 관아에서 중앙에 보고한 경제, 사회, 군사문제 등 다양한 문서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농사 관련 자료와 함께 상당한 양의 측우기와 우택 우량 관측자료 등 기상관측 자료들이 담겨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등 기상 관측자료를 포함한 조선시대의 주요 간행물들이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작성한 자료인데 비해, 지방 관아의 문서들을 편철한 「각사등록」에 포함된 기상관측 자료들은 지방에서 관측된 자료라는 점에서 「각사등록」이 가지는 의미는 대단히 크다 하겠다.
우택 관측자료의 정확도가 측우기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조에 의해 재건된 우량관측망은 측우기 관측지점 14소(후에 20소까지 증가), 우택 관측지점 352소 등 모두 약 370여 소에 이른다. 한편 조선 초 실록에 남아있는 우택 관측자료들을 보면 ‘척(尺)’, ‘촌(寸)’, ‘분(分)’의 단위로 기록되고 있으나, 1770년 영조에 의해 재건된 우택 관측자료의 단위는 ‘리(犁)’ 또는 ‘서(鋤)’이다. ‘척’, ‘촌’, ‘분’은 주척(周 尺)으로 잰 값으로 각각 약 200 mm, 20 mm, 2 mm 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우택관측은 젖은 흙의 깊이를 쟁기나 호미의 길이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리’와 ‘서’는 각각 쟁기와 호미의 길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택 관측자료의 정확도가 측우기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으나, 우택 관측이 352소에 이르는 전국적 관측망에서 이루어졌고 현재 상당량의 자료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한반도의 강우 패턴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매우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
우택 관측자료의 단위는 조선시대에 어떻게 변화했는가? 영조에 의해 재건된 우량관측망은 측우기 관측지점 14소(후에 20소까지 증가), 우택 관측지점 352소 등 모두 약 370여 소에 이른다. 한편 조선 초 실록에 남아있는 우택 관측자료들을 보면 ‘척(尺)’, ‘촌(寸)’, ‘분(分)’의 단위로 기록되고 있으나, 1770년 영조에 의해 재건된 우택 관측자료의 단위는 ‘리(犁)’ 또는 ‘서(鋤)’이다. ‘척’, ‘촌’, ‘분’은 주척(周 尺)으로 잰 값으로 각각 약 200 mm, 20 mm, 2 mm 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o, K.-O., W.-T. Kwon, S.-W. Kim, and H.-J. Lee, 2006: Restoration of 18 years rainfall measured by Chugugi in Gongju, Korea during the 19th century. Atmosphere, 16, 343-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H.-K., and I.-S. Nha, 1979: Climatic variations in Korea in the eighteenth century - rainfall. J. Korean Studies, 22, 83-103 (in Korean). 

  3. Cho, H.-M., S.-W. Kim, J. Park, J.-A. Kim, and Y.-S. Chun, 2013: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for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1830-1893), Korea. Atmosphere, 23, 389-400, doi: 10.14191/Atmos.2013.23.4.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M., S.-W. Kim, J. Park, and Y.-S. Chun, 2014: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in Gaksadeungnok for the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tmosphere, 24, 481-489, doi:10.14191/Atmos.2014.24.4.481 (in Korean with Ehglish abstract). 

  5. Cho, H.-M., S.-W. Kim, Y.-S. Chun, H.-Y. Park, and W.-J. Kang, 2015: A historical review on the introduction of Chugugi and the rainfall observation network during the Joseon dynasty. Atmosphere, 25, 719-734, doi:10.14191/Atmos.2015.25.4.7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 Y.-S., and S.-W. Jeon, 2005: Chugugi, Supyo and Punggi, Meteorological instruments of the 15th centry in Korea. Hist. Meteorol., 2, 25-36. 

  7. Han, S.-B., 2010: Rainfall records since 1441 (Sejong) measured by Chugugi, Chugugi and Chugudae. Commemoration seminar collections for the 613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ong Sejong the Great, 187-196. 

  8. Jhun, J.-G., and B.-K. Moon, 1997: Restorations and analyses of rainfall amount observed by Chukwookee. J. Korean Meteor. Soc., 33, 691-707. 

  9. Jhun, S.-W., 1963: On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rainfall measurement of Joseon dynasty. Japanese Studien Hist. Sci., 66, 49-57. 

  10. Jung, H.-S., and G.-H. Lim, 1994: On the monthly precipitation amounts an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in Seoul, 1770-1907. J. Korean Meteor. Soc., 30, 487-505. 

  11. Kim, C.-J., W. Qian, H.-S. Kang, and D.-K. Lee, 2010: Interdecadal variability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over 220 years (1777-1997). Adv. Atmos. Sci., 27, 253-264, doi:10.1007/s00376-009-8079-6. 

  12. Kim, S.-S., 1988: Comments on the Chinese claim for the invention of Chukwookee. J. Korean Met. Soc., 24, 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S.-W., J.-S. Park, J.-A. Kim, and Y. Hong, 2012: Restoration of 19th-century Chugugi rainfall data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Korea. Atmosphere, 22, 129-135, doi:10.14191/Atmos.2012.22.1.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0: A comprehensive planning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meteorology and climate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551 pp. 

  15.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1: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Gangwon-do, Hwanghae-do, Hamgyeong-do, 654 pp. 

  16.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2: Restoration of Gaksadeungnok rainfall data, Pyeongando, 797 pp. 

  17.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3: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Gyeongsang-do, 334 pp. 

  18.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4: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Jeolla-do, 293 pp.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Meteorological, Astronomical, and Seismological Observations from Ancient Korea. Korean Meteorological Archives Series No. 4, 137 pp. 

  20.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015: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Jeolla-do, 552 pp. 

  21. Lee, H.-S., 2012: A Challange of Joseon to Climate - The Chugugi. Sowadang, 310 pp. 

  22. Wada, Y.-J., 1917: The report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cord of the Joseon ancien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Meteorological observator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200 pp. 

  23. Wang, B., Q. Ding, and J.-G. Jhun, 2006: Trends in Seoul (1778-2004) summer precipitation. Geophys. Res. Lett., 33, L15803, doi:10.1029/2006GL026418. 

  24. Wang, B., J.-G. Jhun, and B.-K. Moon, 2007: Variability and singularity of Seoul, South Korea, rainy season (1778-2004). J. Climate, 20, 2572-2580, doi:10.1175/JCLI41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