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측우기 등장과 강우량 관측망에 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Review on the Introduction of Chugugi and the Rainfall Observation Network during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5 no.4, 2015년, pp.719 - 734  

조하만 (한국기상학회) ,  김상원 (한국기상학회) ,  전영신 (기상청) ,  박혜영 (한국기상학회) ,  강우정 (한국기상학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is one of the country with the world's oldest meteorological observation records. Starting with first meteorological record of fog in Goguryeo in the year of 34 BC, Korea had left a great deal of quantitative observation record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Goryeo to Joseon. During the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기상관측">기상 관측 장비가 발명되는 배경과 과정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세종시대에 측우사업을 시작할 때와 영조시대 측우사업 재건 이후로 나누어 전국적 우량관측망 구성 및 규모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특히 영조시대 이후 측우기와 우택 관측지점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여 조선시대 한반도의 전국적 우량 관측망 분포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날짜는 본 연구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 초측우기 등장 이전까지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관측 사례와 비나 눈이 내려 도로에 잠기거나 쌓인 깊이를 장(丈), 척(尺), 촌(寸)의 단위로 정량적으로 측정했던 사례들을 정리하고, 조선시대에 들면서 물이 땅에 스며든 입토심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우택관측의 제도화 과정 및 측우기라는 세계 최초의 기상 관측 장비가 발명되는 배경과 과정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세종시대에 후)측우기창시와">측우기 창시와 전국적 우량 관측망 구축은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 업적이 아닐 수 없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측우기 관측 등 삼국시대로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기까지 과거 우리나라의 우량 관측사업 추진 과정과 관측망 구축에 관한 사항들을 파악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우리 조상들의 훌륭한 과학적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기상관측 기록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습니까? 농업 중심의 국가에서 농작물의 파종과 수확 시기 등에 대한 정확한 결정은 국가 산업 및 국민생활과 직결될 수밖에 없으므로 농사와 관련되는 비, 눈, 우박, 서리 등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에 관심이 컸으며, 특히 하늘에서 내리는 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우리나라에서 기상관측 기록은 기원전 34년 삼국사기 (三國史記)에 수록된 안개 기록을 시작으로 많은 기상 및 기후관측 기록들을 삼국사기, 고려사(高麗史), 문헌비고(文獻備考)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편찬물에는 신라, 고구려, 백제 등 삼국시대 때부터 고려 시대에 이르기까지 도시의 거리가 빗물에 잠긴 깊이, 눈이 쌓인 깊이, 빗물이 땅에 스며든 깊이 등을 척, 촌의 단위로 측정한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
우리나라에서 강우량에 대한 정확한 정량적 관측은 언제이며 이것이 뜻하는바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에서 강우량에 대한 정확한 정량적 관측이 이루어진 것은 조선 초 1441년(세종 23년) 측우기 (測雨器)의 등장 이후부터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 93 권(1441년)에 문종이 세자시절 땅에 스며든 빗물의 깊이를 재던 방법을 개선하여 측우기라는 과학적 강우량 측정 장비를 개발하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기상관측 장비의 등장을 뜻한다. 이듬해 1442년(세종 24년)에는 측우기의 규격과 관측방법 등 관측제도를 확립하고 전국적인 관측망을 구축하였다.
삼국시대의 정량적 관측사례 내용은 어떠합니까? 삼국시대의 정량적 관측사례는 삼국사기로부터 모두 17건이다. 모두 대설에 관한 관측기록이고 강우는 AD 350년에 기록한 한 건에 불과하다. 삼국시대에는대체로 눈이 내린 경우는 쌓인 깊이를 자로 재었으나, 비로 오는 경우는 대우나 폭우 또는 대수(홍수) 등 정성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또 대체로 강수 관측시 주로 장이나 척의 단위를 주로 썼고, 그보다 작은 촌의 단위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부분 신라와 고구려에서 관측된 기록이고 백제는 한 건에 불과한데, AD 482년에 대설로 무려 1장 이상 쌓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의 관측사례는 문헌비고로부터 11건의 기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o, K.-O., W.-T. Kwon, S.-W. Kim, and H.-J. Lee, 2006: Restoration of 18 Years Rainfall Measured by Chugugi in Gongju, Korea during the 19th Century. Atmosphere, 16, 343-350. 

  2. Cho, H.-K., and I.-S. Nha, 1979: Climatic Variations in Korea in the Eighteenth Century-Rainfal-. J. Korean Studies, 22, 83-103. 

  3. Cho, H.-M., S.-W. Kim, J. Park, J.-A. Kim, and Y.-S. Chun, 2013: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for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1830-1893), Korea. Atmosphere, 23, 389-400. 

  4. Cho, H.-M., S.-W. Kim, J. Park, and Y.-S. Chun, 2014: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in Gaksa-deungnok for the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tmosphere, 24, 481-489. 

  5. Chun, Y.-S., and S.-W. Jeon, 2005: Chugugi, Supyo and Punggi, Meteorological instruments of the 15th centry in Korea. History Meteor., 2. 25-36. 

  6. Han, S.-B., 2010: Rainfall records since 1441 (Sejong) measured by Chugugi, Chugugi and Chugudae. Commemoration seminar collections for the 613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ong Sejong the Great, 187-196. 

  7. Jung, H.-S., and G.-H. Lim, 1994: On the Monthly Precipitation Amounts an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in Seoul, 1770-1907. Asia-Pac. J. Atmos. Sci., 30, 487-505. 

  8. Jhun, J.-G., and B.-K. Moon, 1997: Restorations and Analyses of Rainfall Amount Observed by Chukwookee. Asia-Pac. J. Atmos. Sci., 33, 691-707. 

  9. Jhun, S.-W., 1963: On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rainfall measurement of Joseon Dynasty. Japanese Studies History Sci., 66, 49-57. 

  10. Kim, C.-J., Q. Weihong, H.-S. Kang, and D.-K. Lee, 2010: Interdecadal Variability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over 220 Years (1777-1997). Advaces Atmos. Sci., 27, 253-264. 

  11. Kim, S.-S., 1988: Comments on the Chinese claim for the invention of Chukwookee. J. Korean Met. Soc., 24, 1-13. 

  12. Kim, S.-W., J.-S. Park, J. A Kim, and Y. Hong, 2012: Restoration of 19th-century Chugugi Rainfall Data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Korea. Atmosphere, 22, 129-135.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Meteorological, Astronomical, and Seismological Observations from Ancient Korea, Korean Meteorological Archives Series No. 4, 137 pp. 

  14.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0: A comprehensive planning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meteorology and climate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551 pp. 

  15.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1: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Gangwon-do, Hwanghae-do, Hamgyeong-do, 654 pp. 

  16.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2: Restoration of Gaksadeungnok rainfall data, Pyeongando, 797 pp. 

  17.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3: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Gyeongsang-do, 334 pp. 

  18. Korean Academy of Meteorology and Climate, 2014: Restoration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Jeolla-do, 293 pp. 

  19. Lee, H.-S., 2012: A Challange of Joseon to Climate-The Chugugi. Sowadang, 310 pp. 

  20. Wada, Y.-J., 1917: The report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cord of the Joseon ancien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Meteorological observator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200 pp. 

  21. Wang, B., Q. Ding, and J.-G. Jhun, 2006: Trends in Seoul (1778-2004) summer precipitation. Geophys. Res. Lett., 33, L15803. 

  22. Wang, B., J.-G. Jhun, and B.-K. Moon, 2007: Variability and Singularity of Seoul, South Korea, Rainy Season (1778-2004). J. Climate, 20, 2572-2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