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울릉도)의 1신종: 울릉바늘꽃
A new species of Epilobium (Onagr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Epilobium ulleungensi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2, 2017년, pp.100 - 105  

정재민 (국립수목원) ,  신재권 (국립수목원) ,  선은미 (국립수목원) ,  김회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바늘꽃과 바늘꽃속의 신종인 울릉바늘꽃(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을 발견하여 기재 및 도해하였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바늘꽃속 4분류군(바늘꽃, E. pyrricholophum; 돌바늘꽃,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큰바늘꽃, E. hirsutum; 울릉바늘꽃, E. ulleungensis)중에서 울릉바늘꽃의 주두는 4각형으로서 곤봉형인 바늘꽃 또는 두상형인 돌바늘꽃과 4개로 깊게 갈라지는 큰바늘꽃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중요하게도, 울릉바늘꽃은 200 cm 이상의 큰 키와 비스듬히 누운 줄기, 잎의 형태, 식물체 전체의 짧은 밀모, 그리고 꽃의 크기와 진분홍색 또는 붉은 자주색의 꽃 색은 울릉도에 분포하는 다른 3분류군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주두의 형태와 다른 분류학적 형질들에 의해 울릉바늘꽃은 큰바늘꽃과 바늘꽃 또는 돌바늘꽃과의 잡종으로 추정되었다. 신종의 자생지가 울릉도인 점을 고려하여 'ulleungensis'이라 신칭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species, 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 (Onagraceae Juss), from Ulleungdo Island (South Korea) was described and illustrated. Among four taxa native to Ulleungdo Island (E. amurense Hausskn. subsp. cephalostigma (Hausskn.) C. J. Chen, Hock & P. H. Raven, E. hirsutum L., E. pyrricholophum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5 m long. Stigma clavate or capitate ··································································· 3

    3. Leaves ovate or broadly oblong to lanceolate, sharply serrulate. Stigma clavate ······························································· E.

  • 3. Leaves ovate to oblong-lanceolate, apex acute or acuminate. Stigma capitate···········································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um, D. A., K. J. Systsma and P. C. Hoch. 1994. A phylogenetic analysis of Epilobium (Onagr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sequences. Systematic Botany 19: 363-388. 

  2. Chen, C.-J., P. C. Hoch and P. H. Raven. 1992. Systematics of Epilobium (Onagraceae) in China. Systematic Botany Monographs 34: 1-209. 

  3. Chen, C. J., P. C. Hoch and P. H. Raven. 2007. Epilobium L. In Flora of China, Vol. 13.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400-419. 

  4. Chung, J. M., U. T. Kang, K. W. Park, M. S. Kim and B. C. Lee. 2011. A Checklist of the Native Vascular Plants of Ulleung Island, Korea. Samsung Adcom, Seoul. Pp. 43-99. 

  5. Chung, T. H. 1957. Korean Flora, Part 2,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Pp. 431-439. (in Korean) 

  6. Hoch, P. C. and P. H. Raven. 1980. A new combination in Epilobium (Onagraceae). Madrono 27: 146. 

  7. Keating, R. C., P. C. Hoch and P. H. Raven. 1982. Perennation in Epilobium (Onagraceae) and its relation to classification and ecology. Systematic Botany 7: 379-404. 

  8. Kitchener G. D. 2003. A new Epilobium (Onagraceae) hybrid: Epilobium brunnescens (Cockayne ) Raven & Engelhorn x Epilobium parviflorum Schreber (E. x argillaceum). Watsonia 24: 519-523. 

  9. Krahulec F. 1999. Two new hybrids of Epilobium ciliatum (Onagraceae). Preslia, Praha 71: 241-248. 

  10. Kurabayashi, M., H. Lewis and P. H. Raven. 1962. A comparative study of mitosis in the Onargr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49: 1003-1026. 

  11. Lee, S., K.-I. Heo, S. Lee, M. Yoo, Y. Kim, J. S. Lee and S.-C. Kim. 2013. Taxonomic studies of tribe Epilobieae Endl. (Onagr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seed microstructur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3: 208-222. 

  12.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566-570. (in Korean) 

  13. Lee, W. C. and Y. 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412 pp. 

  14. Mckean D. R. 1999. A new Epilobium hybrid from Scotland, E. pedunculare A. Cunn. x E. montanum L. Watsonia 22: 417-419. 

  15. Nakai, T. 1909. Flora Koreana I. Journal of the College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26: 1-304. 

  16. Raven, P. H. 1976. Generic and sectional delimitation in Onagraceae, tribe Epilobi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63: 326-340. 

  17. Raven, P. H. 1988. Onagraceae as a model of plant evolution. In Plant Evolutionary Biology. Gottlieb, L. D. and S. K. Jain (eds.), Chapman and Hall, New York. Pp. 85-107. 

  18. Schmitz U. K. 1988. Dwarfism and male sterility in interspecific hybrids of Epilobium. 1. Expression of plastid genes and structure of the plastome.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75: 350-356. 

  19. Solomon, J. C. 1982. The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Epilobium (Onagraceae) in south Americ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69: 239-3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