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열매 및 종자 형태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Korean Ranuncul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2, 2017년, pp.137 - 153  

정우철 (춘천 Jade Botanical Garden) ,  허권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 20속 36종에 대하여 열매 및 종자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먼저 열매는 수과(achene)와 장과(berry) 및 골돌과(follicle)로 분류되었고, 수과를 갖는 분류군에서는 과피 표면에 모용(trichome)의 발달유무, 기공(stoma)의 존재여부, 그리고 과피 해부형태에서는 내과피가 한 층의 후벽세포로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이 식별 유용형질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골돌과를 갖는 분류군은 종피의 구성(양주피 vs. 단주피), 종피 표면의 형태, 모용의 발달 유무, 종피 type 등이 분류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된 열매 및 종자 형질에 기초하여, 복수초속(Adonis)은 양주피성 배주를 가지므로 단주피성 배주 유집군인 미나리아재비아과(Ranunculoideae)에서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다. 또한 나도바람꽃속(Enemion)의 나도바람꽃은 단주피성 배주와 종피구조(non-sclereid exotesta) 형질에서 만주바람꽃이나 매발톱꽃, 개구리발톱과는 다른 너도바람꽃속(Eranthis)과 유사하여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 매화바람꽃속(Callianthemum)과 유일한 장과 속인 노루삼속(Actaea)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uit and se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36 taxa of 20 genera of Korean Ranunculaceae. As a result, fruits were classified as the achene, berry, or follicle type. In the taxa with achene, the presence of trichomes and stoma on the surface of the fruit and a feature in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 전체분류군을 대상으로 열매 및 종자의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선발하고 선발된 형질들을 기반으로 분류체계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미나리아재비과는 몇 속, 몇 종이 자생하는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는 전 세계적으로 약 56 속 2,100여종이 북반구 온대와 한대지방에 분포하고, 일부 종이 남반구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Mabberley, 2008), 그 중 44속이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Tamura, 1993). 우리나라에는 20속 104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et al., 2007).
미나리아재비과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는 전 세계적으로 약 56 속 2,100여종이 북반구 온대와 한대지방에 분포하고, 일부 종이 남반구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Mabberley, 2008), 그 중 44속이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Tamura, 1993). 우리나라에는 20속 104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et al.
큰제비고깔의 종자는 어떤 모양인가? ): 큰제비고깔(D. maackianum)의 종자는 길이 약 2 mm, 폭은 약 1.5 mm로 타원형이며, 전체에 막으로 이루어진 작은 날개로 되어 있고, 날개는 주름형태로 미세돌기가 존재한다(Figs. 3A,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i, Y., S. Li, Y. Liu, S. Quan, M. Chen, Y. Xie, H. Jiang, E. Wei, N. Yin, L. Wang, R. Zhang, C. Huang, X. He and M. Jiang. 2009. Molecular phylogeny of Ranunculaceae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8: 5215-5224. 

  2. Cai, Y., S. Li, M. Chen, M. Jiang, Y. Liu, Y. Xie, Q. Sun, H. Jiang, N. Yin, L. Wang, R. Zhang, C. Huang and K. Lei. 2010. Molecular phylogeny of Ranunculaceae based on rbcL sequences. Biologia 65: 997-1003. 

  3. Compton, J. A., A. Culham and S. L. Jury. 1998. Reclassification of Actaea to include Cimicifuga and Souliea (Ranunculaceae): Phylogeny inferred from morphology, nrDNA ITS, and cpDNA trnL-F sequence variation. Taxon 47: 593-634. 

  4. Corner, E. J. H. 1976. The Seeds of Dicotyledons. 2 v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Vol. 1, 311 pp, Vol. 2, 552 pp. 

  5. Hegnauer, R. 1966. Comparative phytochemistry of alkaloids. In Comparative Phytochemistry. Swain T. (ed.), Academic Press, London. Pp. 211-230. 

  6. Heo, K. and Y. Suh. 2008. Taxonomic implications of seed coat in the subtribe Calthinae (Ranuncul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8: 1-16. 

  7. Hoot, S. B. 1991. Phylogeny of the Ranunculaceae based on epidermal microcharacters and macromorphology. Systematic Botany 16: 741-755. 

  8. Hoot, S. B. 1995. Phylogeny of the Ranunculaceae based on preliminary atpB, rbcL and 18S nuclear ribosomal DNA sequence data.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Supplement] 9: 241-251. 

  9. Johansson, J. T. 1995. A revised chloroplast DNA phylogeny of the Ranuncul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Supplement] 9: 253-261. 

  10. Johansson, J. T. and R. K. Jansen. 1993. Chloroplast DNA variation and phylogeny of the Ranuncul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187: 29-49. 

  11. Jung, W.-C., D.-Y. Shin and K. Heo. 2010. Comparative seed morphology of Korean Eranthis (Ranuncul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05-107. (in Korean) 

  12. Langlet, O. 1932. Uber chromosomenverhaltnisse und systematik der Ranunculaceae. Svensk Botanisk Tidskrift 26: 381-400. 

  13. Lee, C., S. Lee, Y. Suh, S.-H. Yeah and N. S. Lee. 2003. A morphological reexamination on the genus Adonis L. sensu lato (Ranuncul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3: 435-454. (in Korean) 

  14. Mabberley, D. J. 2008. Mabberley's Plant-Book. A Portable Dictionary of Plants, Their Classification and Uses. 3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040 pp. 

  15. Nowicke, J. W. and J. J. Skvarla. 1979. Pollen morphology: the potential influence in high order systematics. Annals of Missouri Botanical Garden 66: 633-700. 

  16. Park, C. W., S. H. Yeau, C. S. Chang, H. Y. Lee and B. Y. Sun. 2007. Ranunculaceae Jus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65-205. 

  17. Park, S.-J. and S.-J. Park. 2008.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8: 433-458. (in Korean) 

  18. Son, D. C. and S. C. Ko. 2013. Aggregated achenes and achene morphology of the Korean Adonis L. and its related taxa in East Asi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3: 312-318. (in Korean) 

  19. Spjut, R. W. 1994. A systematic treatment of fruit types. Memoirs of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70: 1-182. 

  20. Tamura, M. 1993. Ranuncul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II. Flowering Plant . Dicotyledons: Magnoliid, Hamamelid and Caryophyllid Families. Kubitzki, K., J. G. Rohwer and V. Bittrich (eds.), Springer-Verlag, Berlin. Pp. 563-583. 

  21. Wang, W., H. Hu, X.-G. Xiang, S.-X. Yu and Z.-D. Chen. 2010. Phylogenetic placements of Calathodes and Megaleranthis (Ranunculaceae): Evidence from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Taxon 59: 1712-17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