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 경남 및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역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 경남 및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역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preferen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preference of location factor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by individual location factors. Secon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also elucidated that the preferred location factor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the location factors of the household are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location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preference of location factor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by individual location factors. Secon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also elucidated that the preferred location factor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sidential area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the location factors of the household are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3단계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주거 입지요인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적 인적 특성을 종합하고, 이를 통해 지역적 인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주거입지 전략 및 주택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단계에서는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응답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별로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를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거주지역별 인적 특성별 입지요인 선호도의 차별성과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의 바탕 하에 주거입지 요인을 경제적 요인(주택가 격, 시세차익), 지역환경 요인(학군, 생활환경, 자연환경, 지역명성, 안전성), 접근성 요인(대중교통 접근성, 자가용교통 접근성, 직주근접), 주택의 물리적 여건 요인(주택 내부시설, 단지편의시설, 주차장, 조망·일조권) 등 1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입지요인에 대한 리커트 척도를 측정한다.
3단계에서는, 역시 설문자료를 토대로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별로 영향력이 차별적인 입지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1∼3단계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주거 입지요인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적 인적 특성을 종합하고, 이를 통해 지역적 인적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주거입지 전략 및 주택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이항로짓모형의 종속변수로는 ① 거주지역 변수(더미수도권, 더미대구·경 북, 더미부산·경남), ② 인적 특성 변수(더미50대이상, 더미남자, 더미기혼), ③ 재무적 특성 변수 (더미소득6천만원이상, 더미근로소득, 더미자산5억 이상, 더미주택소유)4) 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의 바탕 하에 주거입지 요인을 경제적 요인(주택가 격, 시세차익), 지역환경 요인(학군, 생활환경, 자연환경, 지역명성, 안전성), 접근성 요인(대중교통 접근성, 자가용교통 접근성, 직주근접), 주택의 물리적 여건 요인(주택 내부시설, 단지편의시설, 주차장, 조망·일조권) 등 1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입지요인에 대한 리커트 척도를 측정한다.
1단계에서는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응답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별로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를 비교·분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해당 사례지역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 입지요인 선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주거 입지요인별 선호도를 분석하고, 둘째로, 설문결과를 토대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셋째로, 개별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차별적인 주거입지 전략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사례지역을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으로 선정한 것은 이들 지역이 국내 주택시장을 대표하는 지역이기 때문인데, 이를 통해 주거입지의 수도권과 지방간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보편적인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기반 하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단편적인 변수가 아닌 가구의 지역적 인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주거입지의 선호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을 통한 회귀모형 및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쌍방향 분석을 활용 하였다.
둘째로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을 통한 회귀모형 및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쌍방향 분석을 활용 하였다. 즉, 회귀모형과 로짓모형을 통해 가구의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가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적으로 분석1) 함으로, 주거입지 선호 및 주택수요 규명에 대한 입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2단계에서는 설문자료를 토대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구의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가구의 인적 특성과 거주지역에 따라 차별적인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개별 입지요인을 종속변수로, 거주지역과 인적 특성요인과 관련된 변수를 독립변수으로 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규명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자료를 활용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사례지역으로 선정된 수도권, 부산·경남, 대구·경북 가구를 대상으로 대인면접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 수도권 134부, 부산·경남 104부, 대구·경북 197부 등 총 43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했다. 본 설문내용은 응답자의 인적 및 재무적 특성에 관한 사항과 주거 입지요인별 응답자의 선호도에 대한 리커트 척도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2단계에서는 가구의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가구의 거주지역과 인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다중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는 개별 주거입지 요인이, 독립변수는 거주지역과 인적 특성요인과 관련된 변수가 된다.
다중회귀모형의 독립변수로는 응답자의 인적 특성 변수(더미30대 이하, 더미40대, 더미50대, 더미남성, 더미기혼), 재무적 특성 변수(가구소득, 자산규모, 더미근로소득, 더미주택소유), 응답자의 거주지역 변수(더미수도권, 더미부산경남)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과 인적 특성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확인2) 할 수 있다.
각각의 다중회귀모형에서 회귀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활용하였다. 여기에 독립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14개 입지요인별 척도점수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입지요인간의 공통적인 성질을 가진 입지요인들을 유형 분류하여 집단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요인을 추출3) 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새로운 요인들은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짓분석을 위한 독립변수(종속변수)로 사용된 다.
이항로짓모형의 종속변수로는 ① 거주지역 변수(더미수도권, 더미대구·경 북, 더미부산·경남), ② 인적 특성 변수(더미50대이상, 더미남자, 더미기혼), ③ 재무적 특성 변수 (더미소득6천만원이상, 더미근로소득, 더미자산5억 이상, 더미주택소유)4) 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선정된 종속변수 개수만큼 이항로짓로형을 구축 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독립변수는 앞서 도출한 4개의 입지요인(요인1-주택여건, 요인2-지역환 경,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이 된다.
한편, 각각의 이항로짓모형에서 회귀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활용하였다. 여기에 Hosmer와 Lemeshow 검정결과와 독립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지금까지 수도권, 부산·경남 및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 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쌍방향으로 상호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 수도권 134부, 부산·경남 104부, 대구·경북 197부 등 총 43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했다.
이를 위해, 연구 사례지역으로 선정된 수도권, 부산·경남, 대구·경북 가구를 대상으로 대인면접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첫째로, 단편적인 변수가 아닌 가구의 지역적 인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주거입지의 선호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으로 리커트 척도 설문을 통한 회귀모형 및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쌍방향 분석을 활용 하였다. 즉, 회귀모형과 로짓모형을 통해 가구의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가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적으로 분석1) 함으로, 주거입지 선호 및 주택수요 규명에 대한 입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론/모형
각각의 다중회귀모형에서 회귀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활용하였다. 여기에 독립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새로운 요인들은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짓분석을 위한 독립변수(종속변수)로 사용된 다. 요인추출 방법은 주성분 분석, 요인 회전 방법은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모형이 이항로짓모형인 만큼, 종속변수 의 값은 0과 1의 더미변수 값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각각의 이항로짓모형에서 회귀모형에 포함될 독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활용하였다. 여기에 Hosmer와 Lemeshow 검정결과와 독립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성능/효과
따라서 대구·경북 거주자들은 경제성 입지요인은 차별적으로 선호하지만, 주택여건 입지요인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대구·경북에 거주할 승산이 경제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2배 높아지며, 주택여건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0.78배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대구·경북 거주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3-경제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부산·경남에 거주할 승산이 접근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0.78배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부산·경남 거주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자산이 많은 부자일수록 생활환경, 자연환경, 치안·안전성과 같은 지역환경과 관련된 입지요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응답자의 인적 재무적 특성을 종합하면, 응답자의 절대다수는 30∼50대의 기혼이며, 가구소득이 3천만∼1억 원이고, 봉급생활을 하고, 자가 주택을 보유한 중산층임을 볼 수 있다.
우선, 주거입지 가구의 주거입지를 선택할 때 선호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김재홍(2006), 이백진 외(2012), 박원석(2010, 2014), 한영은·이승철(2012), 성현곤(2012), 전희정(2015), Bayoh, Irwin and Haab(2006) Frenkel, Bendit and Kaplan(2013), Vejlin(2013) 등이 대표 적이다. 이들 연구를 종합하면, 주거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들로는 첫째로, 주택가격, 임대료, 정부 재정지원과 같은 경제적 요인, 둘째로, 생활환경, 자연환경, 학군, 안전성과 같은 지역환경 요인, 셋째로, 교통여건, 직주근접과 같은 접근성 요인, 넷째로, 주택 내부시설, 주차장, 조망권, 일조권과 같은 주택의 물리적 여건 요인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원석, 2015a).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가구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입지요인으로는 경제적 요인, 지역환경 요인, 접근성 요인, 주택의 물리적 여건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입지요인의 선호도는 가구의 인적 특성과 거주지역에 따라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기반 하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85)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 따라서 주택소유 형태에 따라 응답자들의 입지요인 선호도가 차별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자가 주택을 보유한 응답자의 경우 경제성을, 임대주택 거주자는 거주의 편의성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표 4와 같다. 첫째로, 요인 1-주택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변수는 없는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주택여건과 관련된 입지요인의 경우, 응답자의 거주지역이나 인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선호 특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로, 요인2-지역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자산규모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 된다. 따라서 자산이 많은 부자일수록 생활환경, 자연환경, 치안·안전성과 같은 지역환경과 관련된 입지요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자산이 많은 부자일수록 생활환경, 자연환경, 치안·안전성과 같은 지역환경과 관련된 입지요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로, 요인3-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더미남성, 더미주택소유, 더미수도권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주택을 소유한 집단, 여성,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경우, 주택가격 및 시세차익과 같은 경제성과 관련된 입지 요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로, 요인3-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더미남성, 더미주택소유, 더미수도권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주택을 소유한 집단, 여성,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경우, 주택가격 및 시세차익과 같은 경제성과 관련된 입지 요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주택의 투자가치에 대한 관심은 유주택자, 여성, 비수도권 거주자들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는데, 특히 비수도권 거주자의 경우 수도권보다 주택가격 수준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주택투자를 통한 자산형성과 경제적 계층상승의 욕구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로, 요인4-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더미남성, 더미기혼, 더미주택소유, 더미수도권, 자산규모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여성, 기혼자, 주택소유자, 수도권 거주자, 자산규모가 적은 집단의 경우, 대중교통, 자가용 교통과 같은 접근성과 관련된 입지요 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넷째로, 요인4-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더미남성, 더미기혼, 더미주택소유, 더미수도권, 자산규모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여성, 기혼자, 주택소유자, 수도권 거주자, 자산규모가 적은 집단의 경우, 대중교통, 자가용 교통과 같은 접근성과 관련된 입지요 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교통수단 등 접근성에 대한 관심은 여성과 저자산보유자 등 교통약자 집단에서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수도권 거주자에 서도 접근성에 대한 선호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거주지역의 경우, 경제성 요인과 접근성 요인에서는 차별성이 나타나지만, 주택여건 요인과 지역환경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별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우선, 응답자의 거주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표 5와 같다. 첫째로, 수도권 거주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수도권에 거주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
다음으로, 응답자의 인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표 6과 같다. 첫째로, 50대 이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50대 이상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
둘째로, 남성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남성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경제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0.
둘째로, 남성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남성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경제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0.79배로 낮아지며, 접근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0.74 배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남성은 여성보다 경제성 요인과 접근성 요인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다시 말하면 여성들이 주거입지 선택시 투자가치와 접근성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로, 기혼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기혼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경제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재무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표 7과 같다. 첫째로, 가구소득 6천만원 이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3-경제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가구소득 6천만원 이상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경제성 입지 요인을 선호할수록 1.
둘째로, 근로소득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 에서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근로소득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접근성 요인을 선호할수록 1.
셋째로, 자산 5억 이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3-경제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자산 5 억 이상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
셋째로, 자산 5억 이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3-경제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자산 5 억 이상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3배 높아지며, 경제성 입지요인을 선호할수록 1.5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주택소유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주택소유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 요인을 선호할수록 1.
넷째로, 주택소유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유의수준 5%에서 요인1-주택여건, 요인3-경제성, 요인4-접근성 변수가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도출된다. 따라서 주택소유 집단에 포함될 승산이 주택여건 입지 요인을 선호할수록 1.3배 높아지며, 경제성 입지 요인을 선호할수록 1.5배 높아지며, 접근성 입지 요인을 선호할수록 1.3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다. 따라서 자가주택을 소유한 집단의 경우, 주택 여건 요인, 경제성 요인, 접근성 요인을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3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다. 따라서 자가주택을 소유한 집단의 경우, 주택 여건 요인, 경제성 요인, 접근성 요인을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우선,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역시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 요인이 개별 주거 입지요인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별 입지요인별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입지요인의 선호도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거 입지요인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통해,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역시 차별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로, 주택시장 분석의 관점에서는 지역별로 가구의 인적 특성별로 차별적인 주택시장 구조를 반영한 분석이 감안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지역별로 그리고 인적 특성집단별로 차별적인 입지선호를 반영한다면, 주택시장은 지역별로 그리고 인적 특성집단별로 구분된 부분시장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후속연구
하지만 주거 입지요인과 지역적 인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이 개별 주거입지 선호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주거 입지요인이 지역적 인적 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도 아울러 쌍방향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지역별 집단별 주거입지 선호 특성 및 주택수요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로,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과 입지요인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최적 주거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감안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개별 입지요인의 관점에서는 이를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지역이나 인적 특성집단이 있으며, 개별 지역이나 인적 특성집단의 관점에서도 이들이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있다는 점이다.
즉, 개별 입지요인의 관점에서는 이를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지역이나 인적 특성집단이 있으며, 개별 지역이나 인적 특성집단의 관점에서도 이들이 차별적으로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입지요인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라면, 후자는 입지요인의 종합인 입지여건에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지요인에 대한 연구의 완결성이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입지요인과 입지여건의 관점을 종합하는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할 것이다.
전자는 입지요인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라면, 후자는 입지요인의 종합인 입지여건에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지요인에 대한 연구의 완결성이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입지요인과 입지여건의 관점을 종합하는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쌍방적 종합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수도권의 경우 대중교통과 생활편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역세권이나 기존 도심재생을 중심으로 한 주택공급 정책이 유효하고,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의 경우 시세차익에 대한 선호가 높기 때문에, 신도시 위주의 주택공급 정책이 유효(박원석, 2015b)할 것이다. 또한, 주택공급 정책을 시행할 시에 각각의 입지별로 가장 선호하는 표적집단을 면밀히 분석 하여 이를 반영하는 정책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입지 요인중 경제적 요인은?
이를 통해서 거주지역별 인적 특성별 입지요인 선호도의 차별성과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의 바탕 하에 주거입지 요인을 경제적 요인(주택가 격, 시세차익), 지역환경 요인(학군, 생활환경, 자연환경, 지역명성, 안전성), 접근성 요인(대중교통 접근성, 자가용교통 접근성, 직주근접), 주택의 물리적 여건 요인(주택 내부시설, 단지편의시설, 주차장, 조망·일조권) 등 1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입지요인에 대한 리커트 척도를 측정한다.
주거입지 선호는 무엇에 따라 차별될 수 있나?
그런데 지금까지 주거입지 선호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주거입지 선호는 연령, 소득, 교육수준, 직업 등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주거입지 선호 특성은 지역적으로도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의 주거입지에 관한 문제가 학술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된 이유는?
개인의 주거입지에 관한 문제는 학술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주거입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는 주거입지가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관건일 뿐만 아니라. 가구의 주택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주택정책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20)
김재홍, 2006, "명시선호실험을 이용한 소득계층별 주거입지 속성가치의 격차 분석", 지역연구 22(2), pp. 3-26.
김준형.한정훈, 2012, "은퇴 이후의 주거입지-서울거주 인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7(3), pp.159-173.
Bayoh, I., Irwin, E. G. and Haab, T., 2006, "Determinant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How Important Are Local Public Goods in Attracting Homeowners to Central City Location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6(1), pp.97-120.
Frenkel, A., Bendit, E. and Kaplan, S., 2013,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f knowledge-workers: The role of amenities, workplace and lifestyle", Cities 35, pp. 33-41.
Scott, D. M., Coomes, P. A. and Izyumove, A. I., 2005, "The Location Choice of Immigrants among U.S. Metro Area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5 (1), pp.113-145.
Vejlin, R., 2013, "Residential Location, Job Location, and Wages: Theory and Empirics", Review of Labour Economics & Industrial Relations 27(2), pp.115-13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