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에 의한 스트로브잣나무의 생장 및 생리반응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inus strobus to CaCl2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1 - 8  

제선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염화칼슘이 스트로브잣나무(Pinus strobus)의 생장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중 염화칼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염화칼슘에 처리에 대한 스트로브잣나무의 가시적 피해, 근원경 생장, 식물체 내 수분함수량, 엽록소함량과 구성, 광계 II의 최대 활성, 전자전달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염화칼슘 처리는 개엽하기 전에 염화칼슘 0.5, 1.0, 3.0% 수용액을 근권부에 관수하였다. 염화칼슘 처리에 의한 가시적 피해로 잎의 갈변과 탈락, 잎 마름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피해 양상은 염화칼슘 농도가 높고,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중되어 나타났다. 근원경(밑둥지름) 생장량 그리고 잎의 수분함수량의 감소는 염화칼슘 1.0%와 3.0% 처리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광색소인 총엽록소함량, 광계 II의 최대 활성, 전자전달율은 염화칼슘 3.0% 처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염화칼슘 처리는 엽 내 수분상태에 영향을 주었고, 광수확 능력과 광화학반응 능력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한, 염화칼슘 농도와 생장 및 생리반응 변수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잎의 수분함수량과 엽록소 a와 b의 비율의 회귀식 결정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 스트로브잣나무의 염화칼슘 피해 수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chloride($CaCl_2$)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inus strobus and the variables that are sensitive to $CaCl_2$. Thus, changes in the visible damage, growth of root collar diameter, plant water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침엽수종의 경우, 불건전한 환경조건에서 생리적인 스트레스 수준이 심화되더라도 가시적인 피해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어, 피해의 진단이 용이하지 않다. 이 연구는 침엽 가로수종인 스트로브잣나무를 대상으로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가시적 피해, 생장, 식물체 내 수분함수량, 광색소 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분석을 통해 염 스트레스에 대한 피해 반응과 염화칼슘 피해 수준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생장 및 생리적 반응변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침엽 가로수종인 스트로브잣나무의 염화칼슘에 의한 피해 반응과 피해 수준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생장 및 생리적 반응 변수를 구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가시적 피해 현상 및 생장과 생리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적 피해 현상으로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지고,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잎의 갈변과 탈락, 잎 마름 현상이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설제로 인해 생기는 가로수의 피해는? , 2001), 둘째, 고농도 염 이온이식물체 내 축적되어 이온독성 및 필수영양분의 흡수장해와 이온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Goodrich and Jacobi, 2012). 제설제로 인한 가로수의 피해 현상으로는 잎의 갈변현상, 생중량감소, 조기낙엽 등이 있으며, 극심한 경우에는 식물의 고사를초래할 수 있다(Czerniawska-Kusza et al., 2004; Galuszka et al.
제설제의 종류로는 어떤 게 있는가? 제설제의 종류로는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칼슘(CaCl2) 그리고 염화칼륨(KCl)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염화칼슘은 주로 우리나라에서 제설제로 사용하는 형태이다.칼슘(Ca2+)과 염소(Cl-)이온은 식물에 필수원소 중 하나이지만, 염소의 경우, 매우 소량만 필요하다(Marschner, 2012).
염화칼슘이 수목에게 염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이유는? 염 스트레스는 다음의 두 가지 원인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식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첫째, 제설제의 용해성 염 이온이 토양 내 집적되면 근권부의 삼투포텐셜이 높아져 식물체 내 수분흡수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Hagemaan and Erdmann, 1997; Meloni et al., 2001), 둘째, 고농도 염 이온이식물체 내 축적되어 이온독성 및 필수영양분의 흡수장해와 이온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Goodrich and Jacobi, 2012). 제설제로 인한 가로수의 피해 현상으로는 잎의 갈변현상, 생중량감소, 조기낙엽 등이 있으며, 극심한 경우에는 식물의 고사를초래할 수 있다(Czerniawska-Kusz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non, D. I.(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 1-15. 

  2. Aziz, I. and M. A. Khan(2001) Effect of seawater on the growth, ion content and water potential of Rhizophora mucronan Lam. Journal of Plant Research 114: 369-373. 

  3. Conroy, J. P., J. M. Virgona, R. M. Smillie and E. W. Barlow(1988) Influence of drought acclimation and $CO_2$ enrichment on osmotic adjustment and chlorophyll a fluorescence of sunflower during drought. Plant Physiology 186: 1108-1115. 

  4. Czerniawska-Kusza, I., G. Kusza and M. Duzynski(2004) Effect of deicing salts on urban soils and health status of roadside trees in the Opole region. Environmental Toxicology 19(4): 296-301. 

  5. Fostad, O. and P. A. Pedersen(1997) Vitality, variation, and causes of decline of trees in Oslo center(Norway). Journal of Arboriculture 23: 155-165. 

  6. Galuszka, A., Z. M. Migaszewski, R. Podlaski, S. Dol?gowska and A. Michalik(2011) The influence of chloride deicers on mineral nutrition and the health status of roadside trees in the city of Kielce, Pol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ssessment 176: 451-464. 

  7. Geissler, N., S. Hussin and H. W. Koyro(2009) Interactive effects of NaCl salinity and elevated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on growth, photosynthesis, water rela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tential cash crop halophyte Aster tripolium L.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5: 220-231. 

  8. Goodrich, B. A. and W. R. Jacobi(2012) Foliar damage, ion content, and mortality rate of five common roadside tree species treated with soil applications of magnesium chloride. Water, Air, & Soil Pollution 223: 847-862. 

  9. Goodrich, B. A., R. D. Koski and W. R. Jacobi(2009) Condition of soils and vegetation along roads treated with magnesium chloride for dust suppressio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98: 165-188. 

  10. Hagemann, M. and N. Erdmann(1997) Environmental stresses. In: Rai, A. K. (Ed.), Cyanobacterial Nitrogen Metabolism and Environmental Biotechnology. Springer, Heidelberg, Narosa Publishing House, New Delhi, India, pp. 156-221. 

  11. Hall, R., G. Hofstra and G. P. Lumis(1972) Effects of deicing salt on eastern white pine: Foliar injury, growth suppression and seasonal changes in foliar concentrations of sodium and chlorid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 244-249. 

  12. Je, S. M. and S. H. Kim(2016) Effect of $CaCl_2$ on gas exchange and stomatal responses in the leaves of Prunus serrul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3): 303-308. 

  13. Ju, J. H., J. Y. Park, H. Xu, E. Y. Lee, K. H. Hyun, J. S. Jung, E. Y. Choi and Y. H. Yoon(2016)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three evergreen shrubs to de-icing salt( $CaCl_2$ ) at different concentrations in wint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2): 122-129. 

  14. Kayama, M., A. M. Quoreshi, S. Kitaoka, Y. Kitahashi, Y. Sakamoto, Y. Maruyama, M. Kitao and T. Koike(2003) Effects of deicing salt on the vitality and health of two spruce species, Picea abies(Karst.) and Picea glehnii(Masters) planted along roadsides in northern Japan. Environmental Pollution 124(1): 127-137. 

  15. Kitao, M., H. Tobita, H. Utsugi, M. Komatsu, S. Kitaoka, Y. Maruyama and T. Koike(2012) Photosynthetic traits around budbreak in pre-existing needles of Sakhalin spruce(Picea glehnii) seedlings grown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ssessed by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ements. Tree Physiology 32:(8) 998-1007. 

  16. Kwon, M. Y., S. H. Kim and J. H. Sung(2014) The responses of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on calcium chloride( $CaCl_2$ ) concentr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5): 500-509. 

  17. Lacerda, C. F., J. Cambraia, M. A. Oliva, H. A. Ruiz and J. T. Prisco(2003) Solut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during shoot and leaf development in two sorghum genotypes under salt stres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49(2): 107-120. 

  18. Marschner, P.(2012) Marschner's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Ed 3. San Diego: Academic Press. 

  19. Meloni, D. A., M. A. Oliva, H. A. Ruiz and C. A. Martinez(2001) Contribution of proline and inorganic solutes to osmotic adjustment in cotton under salt stress. Journal of Plant Nutrition 24: 599-612. 

  20. Nakajima, H., K. Hara, Y. Yamamoto and K. Itoh(2015) Effects of Cu on the content of chlorophylls and secondary metabolites in the CU-hyperaccumulator lichen Stereocaulon japonicum.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113: 477-482. 

  21. Percival, G. C.(2005) Identification of foliar salt tolerance of woody perennials using chlorophyll dluorescence. HortScience 40(6): 1892-1897. 

  22. Stepien, P. and G. Klobus(2006) Water relations and photosynthesis in Cucumis sativus L. leaves under salt stress. Biologia Plantarum 50(4): 610-616. 

  23. Sung, J. H., S. M. Je, S. H. Kim and Y. K. Kim(2009)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_2$ )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apparatus, stomatal conductance, and fluorescence image of the leaves of Cornus kous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43-150. 

  24. Sung, J. H., S. M. Je, S. -H. Kim and Y. -K. Kim(2010)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_2$ ) on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e and photosynthetic apparatus in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 922-928. 

  25. Trahan, N. A. and C. M. Peterson(2007) Factors Impacting the Health of Roadside Vegetation. Colorado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search Branch Final Report No., CDOTDTD-R-2005-12. 

  26. Viskari, E. -L. and L. Karenlampi(2000) Roadside scots pine as an indicator of deicing salt use -A comparative study from two consecutive winter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22(3): 405-419. 

  27. Walker, R., R., E. Torokfalvy and W. J. S. Downton(1982) Photosynthetic responses of the citrus varieties rangpur lime and etrog citron to salt treatment. Functional Plant Biology 9(6): 783-790. 

  28. Wusche, J. N., D. H. Greer, W. A. Laing and J. W. Palmer(2005)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leaf and tree responses to crop load in apple. Tree Physiology 25: 1253-1263. 

  29. Zhang, X., B. Wollenweber, D. Jiang, F. Liu and J. Zhao(2008) Water deficits and heat shock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a transgenic Arabidopsis thaliana constitutively expressing ABP9, a bZIP transcription factor.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9(4): 839-848. 

  30. http://data.ex.co.kr 

  31. http://www.kma.go.kr 

  32. http://www.natur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