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애착 모델에 근거한 한국·중국 근린공원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Neighborhood Parks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Place Attachment Mode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21 - 29  

양뢰 (배재대학교 대학원)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린공원 이용자의 장소애착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Scannell and Gifford의 3요소로 구성된 장소애착의 영향모델인 People-Place-Process(PPP) 이론을 바탕으로, 사람, 장소, 인지, 감정 그리고 행위의 5가지 독립변수로 설정한 장소애착 가설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곤명시에 위치한 18개의 근린공원과 한국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5개 근린공원, 총 23개 근린공원의 이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근린공원을 방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1,645개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확인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요소의 구성검증결과를 나타냈다. 사람, 장소, 인지, 감정, 행위와 장소애착 6가지 요소의 구성관측변수(대전 30개, 곤명 19개) 신뢰도는 모두 0.7이상이며, 이 데이터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는 근린공원의 장소조건으로 보면 편안한 환경,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도로, 편리한 시설의 합당한 위치 등 모든 것이 사람들의 재방문율을 증가시켰다. 근린공원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방문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즉, 공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행사와 모임을 많이 개최하거나, 공원의 특색에 따라 각종 전시회를 개최하여 공원의 인지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공원 방문객의 심리적 관점에서 보면, 우선 공원 시설 및 환경이 방문객에게 생리상의 편안함을 제공해야 하며, 심리상의 치료 역시 제공해야 한다. 양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애착 구조를 종합해 보면, 근린공원 방문객의 장소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방문객의 피드백을 수집하여 개선시 반영하여야 근린공원의 장소애착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f visitor place attachment to parks, Scannel and Gilford considered the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and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PP(Place, Person, Process) that should be systematically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 place and psychological processes. Acc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장소애착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측정항목을 확립하고, 실증 분석을 진행한다. 근린공원 이용자의 장소애착 연구를 위하여 합리적인 모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근린공원에서 발생하는 주민들의 인지, 감정, 행위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 근린공원 이용자의 장소애착 연구를 위하여 합리적인 모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근린공원에서 발생하는 주민들의 인지, 감정, 행위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주민들에게서 발생하는 장소애착 및 인지, 감정, 행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 상기와 같이 제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나라의 모형 결과에 대해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장소애착이 조성하는 중요한 영향 요소를 분명히 할 것이다. 동시에 이용자의 요구 및 근린공원에 개선이 필요한 시설, 장소 등 측면의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근린공원에서 발생하는 주민들의 인지, 감정, 행위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주민들에게서 발생하는 장소애착 및 인지, 감정, 행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이러한 관계 사이에 분명히 드러나는 항목을 파악할 것이며, 이를 통해 이후의 근린공원에 대한 계획, 디자인, 건설, 개선 그리고 관리에 더욱 핵심적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여 측정도구 및 항목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내적일관성을 파악하였다.
  • 본문의 연구 목적은 한․중 양국 23곳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장소애착의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각 변수의 개념구성을 근거로 이용 가능한 측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하고, 가설모형을 세웠다.
  • 이 3가지 경로에는 애착에 대한 장소, 인지, 행위 3가지 잠재요인의 직접적인 영향이 포함된다. 우선 장소의 잠재변수를 살펴보자. 장소는 대전 이용자가 근린공원에서 만들어 내는 장소애착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연구 대상을 연구 지역의 주변 주민까지 확대하였다. 즉, 공원뿐만 아니라, 생활권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의 분석 결과가 조사 대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 중 근린공원의 역할은? 도시공원 중 근린공원은 근린주구 내의 주민들을 위한 휴식, 레저, 유희, 모임, 운동 등의 활동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공장소로서 도시주민들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휴양시설의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Liao, 2004; Xiao and Du, 2011). 이러한 공공시설을 통해서 이용자들은 일상생활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찾기도 하며, 삶의 질을 높이면서 육체적, 심리적으로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한국과 중국의 도시공원의 공통점은? 그에 반해, 중국은 근린공원을 단독으로 구분하였으며, 근린공원을 거주지역 공원, 단지공원 두 종류로 분류하였다. 비록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근린공원의 기본성질은 동일하며, 모두 동네 지역사회, 거주구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후의 분석 비교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근린공원과 같은 공공시설이 이용자에게 주는 이점은? 도시공원 중 근린공원은 근린주구 내의 주민들을 위한 휴식, 레저, 유희, 모임, 운동 등의 활동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공장소로서 도시주민들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휴양시설의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Liao, 2004; Xiao and Du, 2011). 이러한 공공시설을 통해서 이용자들은 일상생활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찾기도 하며, 삶의 질을 높이면서 육체적, 심리적으로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동시에 근린공원 내의 넓은 오픈스페이스는 도시민들에게 풍요로운 자연적 정취를 제공하며,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런 장소에서 사람과 사람 간 교류와 사회관계의 증진, 대인관계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Wang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tman, I. and S. M. Low(1992) Place Attachment. New York: Plenum Press. 

  2. Brown, B. B., I. Altman and C. M. Werner(2012) Place attachment. In S. J. Smith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ousing and Home. pp. 183-188. 

  3. Chen, S., D. Wang and J. Wang(2010) Study on the residents' cognition of urban green space service function. Human Geography 25(4): 55-59. 

  4. Cranz, G. and M. Boland(2004) Defining the sustainable park: A fifth model for urban parks. Landscape Journal 23(2): 102-120. 

  5. Lev-Wiesel, R.(2003) Indicators consulting the construct of 'Perceived community cohension' community. Development Jorunal 38(4): 332-343. 

  6. Liao, W. Z.(2004). A Study of the Accessibility and Service Level of Neighborhood Parks in Taichung City. Master Thesis, Feng Chia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Institute. Taichung City. 

  7. Scannell, L. and R. Gifford(2010). Defining place attachment: 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1-10. 

  8. Shen, T.(2007)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Park Design and Residents' Behavior Pattern. Master Thesis, Chia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Institute. Taichung City. 

  9. Tang, Z. W.(1986). Introduction to Behavioral Science. Chang sha. Hunan University Press. pp. 58-63. 

  10. Wang, J., S. Chen and S. M. Yao(2004) New ideas on application of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green space function. Ge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20(6): 99-103. 

  11. Williams, D. R. and J. W. Roggenbuck(1989) Measuring place attachment: Some preliminary results. Leisure Research Symposium. Arlington, VA: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pp. 32-34. 

  12. Xiao, X. and K. Du(2011)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recreation in urban parks: In the case of Guangzhou. Human Geography 26(1): 129-133. 

  13. Yang, L. and S. R. Lee(2016) Anslysis on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with Daejeon Haneul Park.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0(4): 29-38. 

  14. You, J. and Y. Y. Guo(2008)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Journal of Nanjing Normal University 1(1): 98-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