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의 식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lant Material in the 2016 Korea Garden Show Designer's Garde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41 - 53  

이정희 (국립수목원) ,  진혜영 (국립수목원) ,  이유미 (국립수목원) ,  송유진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16년 코리아가든쇼의 9개 작가정원에서 식물 소재가 작가의 의도를 어떻게 반영하고 선택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물 소재는 정원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경우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K-Garden, 가장 한국적인 멋을 담은 신한류 정원'이라는 주어진 주제 아래,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식물은 '재현' '표현'의 두 가지 유형으로 쓰이고 있었다. 한국적인 멋이 담긴 특정 공간을 모방하는 '재현'은 2개 정원이, 작가의 생각을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표현'은 4개 정원이, '재현'과 '표현' 모두 사용한 정원은 3개 정원이다. 주제를 식물로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 '표현'의 경향이 강했다. 한국적인 멋을 '재현'하는 공간은 채마밭, 수돗가, 연못, 들판, 자연, 한옥 중정, 대나무밭, 기와 지붕, 돌담, 바위, 산자락과 연결된 뒷마당 11개로 식재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2가지 경우로 나타났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는 11개 공간 모두에서 관찰되었는데, 9개 공간은 식물의 생육환경을 잘 반영한 반면, 나머지 2개는 작가의 의도와 달리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4개의 공간의 경우, 시각적 특성으로 색상과 크기가 고려되었다. 주제를 '표현'한 7개 공간의 식물은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기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순으로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군식의 배식법도 적용되고 있었다. 공간을 구성하는 소재로 식물을 활용한 경우, Norman(1989)이 제시한 공간 위요변수 3가지(관개면, 수직면, 지피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관개면에는 단 2종의 낙엽 교목이 사용되고 있었고, 수직면에는 상록성 관목이 5종, 낙엽성은 30종으로 낙엽성 식물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바닥면을 형성하는 식물은 45종(목본 9종, 초본 36종)으로, 정원별로 중복되지 않고, 다양한 초본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가든쇼의 작가정원이 새로운 지피식물 소재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9개 정원 중 3개 정원은 그저 장식적으로 사용된 식물이 없었고, 다른 정원에서도 장식적인 식물의 사용은 식재종수에 비해 미약한 편으로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대부분 주제를 드러내거나, 공간을 구성하는 의도를 가지고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공간을 구성하기 보다는 주제를 드러내는 소재로 많은 수종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는 '표현'의 방법을 사용한 정원이 많은 것으로 보아, 식물은 생태적 특성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등 시각적 특성을 보다 많이 반영하여 식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at the plant material were selected to reflect in the 2016 Korea Garden Show designer's garden. It was analyzed that plant material was used to display the theme of the garden and to create a specific space. Under the given theme of 'K-Garden, Shinhallyu Gar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바탕에는 정원은 인간이 조성한 공간으로, 조성한 사람의 의도가 담겨 있고, 식물 역시 그저 장식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다는 가정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제가 명확하게 주어지고, 작가의 생각이 담겨 있을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식물 소재를 주제와의 연관성과 공간을 구성하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K-Garden, 가장 한국적인 멋을 담은 신한류 정원’이라는 주어진 주제 아래, 작가들은 식물 소재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고 있었다.
  • 정원은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작가정원에서 식물은 작가의 의도와 주제를 담고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시작이다. 본 논문은 2016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에서 식물 소재가 정원의 주제를 표현하는데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공간을 구성하는 소재로써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의 바탕에는 정원은 인간이 조성한 공간으로, 조성한 사람의 의도가 담겨 있고, 식물 역시 그저 장식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다는 가정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제가 명확하게 주어지고, 작가의 생각이 담겨 있을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식물 소재를 주제와의 연관성과 공간을 구성하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에서 식물이란? 정원에서 식물은 가장 중요한 소재이고, 식물이 갖고 있는 많은 잠재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 또는 설계 전문가들까지도 여전히 ‘식물은 그저 장식적으로만 쓰인 다’는 타성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Norman, 1989). 식물선택과 식재의 중요성에 대해 Yoon(2008)은 450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첼시 플라워쇼의 모델 정원의 심사기준에서 식재에 대한 점수가 30점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했고, Park(2013)은 식재설계는 그 시대의 문화와 소재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정원 복원의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코리아가든쇼는 무엇인가? 2016년에 3회를 맞는 ‘코리아가든쇼’는 산림청과 고양시가 주최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든쇼로 정원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정원 문화를 확산하고자 2014년부터 고양꽃박람회와 함께 하고 있다. 영국의 대표적 가든쇼인 첼시플라워쇼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사회와 경제, 문화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대단히 큰문화 콘텐츠의 한 부분이며, 정원디자인의 경향을 연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Yoon, 2008).
코리아가든쇼에서 사용된 '재현' '표현'의 두 가지 유형 중 주제를 드러내는데 더 많이 사용된 유형은? 한국적인 멋이 담긴 특정 공간을 모방하는 '재현'은 2개 정원이, 작가의 생각을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표현'은 4개 정원이, '재현'과 '표현' 모두 사용한 정원은 3개 정원이다. 주제를 식물로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 '표현'의 경향이 강했다. 한국적인 멋을 '재현'하는 공간은 채마밭, 수돗가, 연못, 들판, 자연, 한옥 중정, 대나무밭, 기와 지붕, 돌담, 바위, 산자락과 연결된 뒷마당 11개로 식재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2가지 경우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Gary, O. R.(1972)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al Quality: A Study of Plants and Their Environmental Functions. U.S. Dept. of the Interior, National Park Service, USA. 

  2. Kim, E. K. and Y. I. Kim(2006) The Korean symbolic meaning of whit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4): 25-39. 

  3. Korea National Arboretum of Korea Forest Service(2011) Garden Plants in Korea. Ridrik, Seoul, Korea. 

  4. Norman K. B.(1989) Basic Elements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Waveland Press, IL, USA. 

  5. Oh, K. A.(2015) Design Plants?! Trends and Principles of Plants Design. Ecoscape. pp. 72-77. 

  6. Park, E. Y.(2013) A study on Karl Foerster's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planting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38-44. 

  7. Yoon, S. J.(2008) Flower show and garden culture in UK. namudosi, Paju, Korea, Choi, S. H. 2001. A review of Korea's native plants indust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28(4): 757-773. 

  8. Zoh, K. J. and C. H. Kim(2001)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gardens in landscape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entry plans of Seoul Park in Par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84-95. 

  9. http://www.nature.go.kr.(Korea Forest Service,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