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정원의 기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nda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Gard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301 - 306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홍승훈 (가든인) ,  진혜영 (국립수목원 센터) ,  이혁재 (사단법인 한국정원디자인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직정원은 식물이 생육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는 환경이다. 특히,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는 불균형한 수분분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조명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반의 하부에는 그늘이 발생하여 식물이 생육하기에는 절절하지 않다. 본연구에서는 Felt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정원의 위치(상부, 하부 등)에 따른 물리적 특성(함수율, 조도 등)을 실증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식재가반의 위치적 특성을 분류한 후, 기반의 위치적 특성에 맞는 관수량과 관수주기, 조명설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직정원용으로는 4mm의 기반을 사용하고, 6시간에 한번 약 10분간의 관수를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식물이 충분히 생육하기 위한 빛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 보광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수실험, 조명실험을 실시한 결과, 기반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빛이 강한 것이 일반적인 결과이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함수율이 높고, 빛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직정원에 도입하는 식물을 선정할 때에는 상기의 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기반의 특성을 활용한 식재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식물의 선정과 유지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ertical garden is an environment where plants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growth.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oundation are characterized by unbalanced moisture distribution. And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light, generally the bas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학식 토양수분계를 사용하여 관수시 수직정원용 Felt 기반의 수분분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실험구에서 그림 3, 4와 같이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Felt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정원의 위치 (상부, 하부 등)에 따른 물리적 특성 (함수율, 조도 등)을 실증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식재가반의 위치적 특성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기반의 위치적 특성에 맞는 관수량과 관수주기, 조명설치 방법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Felt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정원의 위치 (상부, 하부 등)에 따른 물리적 특성 (함수율, 조도 등)을 실증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식재가반의 위치적 특성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기반의 위치적 특성에 맞는 관수량과 관수주기, 조명설치 방법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이슈화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의 대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수직정원에 대한 기반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직정원의 상부와 하부에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맞는 식물선정이 수직 정원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엇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직정원이란 무엇인가? 수직정원은 식물이 생육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는 환경이다. 특히,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는 불균형한 수분분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수직정원의 기반의 상하부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직정원은 식물이 생육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는 환경이다. 특히,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는 불균형한 수분분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조명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반의 하부에는 그늘이 발생하여 식물이 생육하기에는 절절하지 않다.
박형의 수직정원시스템의 이점은 무엇인가? 수직정원은 식물이 생육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다양한 기반과 다양한 공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고 공법별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특히, Felt를 기반으로 하는 박형의 수직정원시스템은 다양한 식재디자인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가 가능하며, 시스템 자체의 무게도 가벼우며 단가가 저렴한 이점이 많고, 누구나 쉽게 식재 및 관리를 할 수 있어 앞으로도 많이 사용될 것 [2, 3]으로 사료되는 반면에 Felt형의 기반은 상부와 하부에는 불균형한 수분분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4]. 그 원인으로는 중력에 의해 물이 하부로 빠르게 움직이는 것과 하부로 물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P. Hong and H.J. Lee, "The Effect on Scenic Impression by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of Green Wall,"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7(1), pp133-142, 2019. DOI 10.17703/IJACT.2019.7.1.133 

  2. H.J. Lee and K.P. Hong, "The Impact of Various Wall Greening Methodologies on Landscape Evaluation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3(2), pp89-95, 2017. 

  3. J.H. Lee and Y.S. Ja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With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4), pp593-604, 2011. 

  4. T. Tsujie and H. Koshimizu, "Particle size composition to control non-uniform moisture distrubution in Linving-wall medium," Journal of Jpn. Soc. Reveget. Tech., 35(1), pp27-32, 2009. 

  5. Y.H. So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of Patrick Blanc," Master Thesis, Sookmyung Universtiy, 2014. 

  6. K.J. Kwon and B.J. Park, "Effects of Indoor Greening Method 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4) pp1-10, 2017. 

  7. K.P. Hong and H.J. Lee, "Analysis on Indoor Garden Technology Trends Based on Patent 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7(4), pp40-48, 2019. DOI 10.17703/IJACT.2019.7.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