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0~2015년 전라북도 도시대기 PM10의 특성
Distributions and Origins of PM10 in Jeollabuk-do from 2010 to 2015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3 no.3, 2017년, pp.251 - 264  

조병수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송미정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Jeollabuk-do has been reported as a province where the $PM_{10}$concentration is one of the highest levels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the $PM_{10}$in Jeollabuk-do, we present one of the first long-term datasets including a statis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의 장기간 PM10의 농도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나타나는 PM10 고농도 사례와 이에 수반되는 기상요소, 가스상 물질과의 연관성, 기원을 추적함으로써 전라북도 도시 대기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 측정소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6년간 전라북도 PM10 특성과 가스상물질, 기상학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전라북도 지역에서 미세먼지 화학조성 정량·정성분석이 심층적으로 이루어져 지역의 주요 오염성분을 밝혀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에서 항상 상위권에 머물고 있는 전라북도 도시대기의 장기간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전북 지역의 미세먼지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2010~2015년의 6년간 전라북도시도별 대표 측정소 6곳을 선정하여 PM10과 가스상물질, 기상요소가 어떻게 연관되는지 파악하였고 고농도 PM10 발생 시 기원을 추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이고 있는 전라북도 도시대기 지역의 미세먼지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의 장기간 PM10의 농도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에어로졸은 직접적으로 태양빛을 산란/흡수하며, 간접적으로 구름의 성질을 변화시킨다(Solomon, 2007). 또한,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키며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rrison et al.,2012; Baltensperger et al.
PM10은 무엇인가? 에어로졸은 대기 중을 부유하는 고체상, 액체상의 입자상 물질로 크기에 따라 구분이 된다. 에어로졸 중직경이 10 μm 이하인 것을 PM10 (Particulate matter)이라고 하며, 먼지바람, 파도, 생물성 연소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기도 하고, 식생, 대도시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산화제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Aldabeet al., 2011; Pandolfi et al.
에어로졸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에어로졸은 대기 중을 부유하는 고체상, 액체상의 입자상 물질로 크기에 따라 구분이 된다. 에어로졸 중직경이 10 μm 이하인 것을 PM10 (Particulate matter)이라고 하며, 먼지바람, 파도, 생물성 연소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기도 하고, 식생, 대도시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산화제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Aldabe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dabe, J., D. Elustondo, C. Santamaria, E. Lasheras, M. Pandolfi, A. Alastuey, X. Querol, and J.M. Santamaria (2011) Chemical characterisa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and $PM_{10}$ at rural, urban and traffic sites in Navarra (North of Spain), Atmospheric Research, 102(1), 191-205. 

  2. Baltensperger, U., J. Dommen, R. Alfarra, J. Duplissy, K. Gaeggeler, A. Metzger, M.C. Facchini, S. Decesari, E. Finessi, C. Reinnig, M. Schott, J. Warnke, T. Hoffmann, B. Klatzer, H. Puxbaum, M. Geiser, M. Savi, D. Lang, M. Kalberer, and T. Geiser (2008) Combined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f health effects of secondary organic aerosol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1(1), 145-154. 

  3. Chen, Z.H., S.Y. Cheng, J.B. Li, X.R. Guo, W.H. Wang, D.S. Chen (2008)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pollution processes and synoptic pressure patterns in northern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42(24), 6078-6087. 

  4. Ghim, Y.S., Y.S. Chang, and K. Jung (2015)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Seoul, Kore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5(3), 842-852. 

  5. Choi, G.H., K.H. Kim, C.H. Kang, and J.H. Lee (2003) The influence of the Asian dust on the metallic composition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fra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1), 4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K.C., C.H. Kim, J.G. Cho, and J.H. Park (1998) Ionic Composition of Early and Succeeding Rainwater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4(4), 361-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 Y.S., J.Y. Lim, and B.C. Choi (2003) The Features of Aerosol in Seoul by Asian Dust and Haze during Springtime from 1998 to 2002,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9(4), 459-4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llquist. M., J.C. Wenger, U. Baltensperger, Y. Rudich, D. Simpson, M. Claeys, J. Dommen, N. M. Donahue, C. George, A.H. Goldstein, J.F. Hamilton, H. Herrmann, T. Hoffmann, Y. Iinuma, M. Jang, M.E. Jenkin, J.L. Jimenez, A. Kiendler-Scharr, W. Maenhaut, G. McFiggans, Th. F. Mentel, A. Monod, A.S.H. Prevot, J.H. Seinfeld, J.D. Surratt, R. Szmigielski, and J. Wildt (2009) The formation, properties and impact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current and emerging issu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9(14), 5155-5236. 

  9. Harrison R.M., D. Laxen, S. Moorcroft, and K. Laxen (2012) Processes affecting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 $PM_{2.5}$ ) in the UK atmosphere, Atmospheric Environment, 46, 115-124. 

  10. Jang, Y., G. Kim, and D.A. Chiriboga (2006) Correlates of sense of control among older Korean-American immigrants: Financial status, physical health constraints,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3(3), 173-186. 

  11. Jo, H.Y. and C.H. Kim (2011)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over Korean Urban Area due to the Long-range Transport Haze Ev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1), 7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C.H., H.Y. Son, J.-A Kim, and T.K. Ahn (2007a) Classification of Synoptic Meteorological Patterns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Regional-scale Long 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1), 89-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D.S. and H. Ma (2009)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in the West-coastal Urban Atmosphe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6), 550-5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E., P.K. Hopke, and E.S. Edgerton (2003) Source identification of Atlanta aerosol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3(6), 731-739. 

  15. Kim, J.Y., Y.S. Ghim, C.H. Song, S.C. Yoon, and J.S. Han (2007b) Seasonal characteristics of air masses arriving at Gosan, Korea, using fine particle measurements between November 2001 and August 2003,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D7), D07202. 

  16. Kim, M.K., W.S. Jung, H.W. Lee, W.G. Do, J.G. Cho, and K.O. Lee (2013) Analysis on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in Bus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9), 1213-1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H.D., G.H. Lee, I.D. Kim, J.S. Kang, and K.J. Oh (2013) The Influence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ir Pollutants by Sea Breeze and Mist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Clean Technology, 19(2), 95-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P.K., J.R. Brook, E. Dabek-Zlotorzynska, and S.A. Mabury (2003) Identification of the major sources contributing to $PM_{2.5}$ observed in Toronto,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7(21), 4831-4840. 

  19. Lee, S., Y.S. Ghim, S.W. Kim, and S.C. Yoon (2008) Seasonal vari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t Seoul and Gosan,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4), 470-4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Myles, L., R.J. Dobosy, T.P. Meyers, and W.R. Pendergrass (2009) Spatial variability of sulfur dioxide and sulfate over complex terrain in East Tennessee, USA, Atmospheric Environment, 43(18), 3024-3028. 

  21. Myles, L., W.R. Pendergrass, C.A. Vogel, A. Yerramilli, V.B.R. Dodal, H.P. Dasari, C.V. Srinivas, F. Tuluri, J.M. Baham, R. Hughes, C. Patrick, J. Young, and S. Swanier (2010) J3. 4 Evaluation of $PM_{2.5}$ source regions over the Mississippi Gulf Coast using WRF/HYSPLIT modeling approach, 16th Conference on Air Pollution Meteorology, 17-21 January 2010, Atlanta, GA, USA. 

  22.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in Korea 2013 (in Korean), Incheon, Korea. 157 pp. 

  23.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5 (in Korean), Incheon, Korea, 362 pp. 

  24. Pandolfi, M., Y.G. Castanedo, A. Alastuey, J.D. ed la Rosa, E. Mantilla, A.S. de la Campa, X. Querol, J. Pey, F. Amato, and T. Moreno (2011) Source apportionment of $PM_{10}$ and $PM_{2.5}$ at multiple sites in the strait of Gibraltar by PMF: impact of shipping emission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18(2), 260-269. 

  25. QUARG (Quality of Urban Air Review Group) (1996) Airborne particulate matter in the United Kingdom. Available from institute of public and environmental health,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188 pp. 

  26.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A Study on Building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Local $PM_{10}$ Emission Inventory in Seoul, 30-47 pp. 

  27.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H.L. Miller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 pp. 

  28. Song, J.M., J.O. Bu, S.H. Yang, J.Y. Lee, W.H. Kim, and C.H. Kang (2016) Influences of Asian Dust, Haze, and Mist Events on Chemical Composi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s at Gosan Site, Jeju Island in 2014,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2(1), 67-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ong M., K.J. Moon, J.S. Han, K.R. Kim, and G. Lee (2006)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ne aerosols during ABC-EAREX200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 604-6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Watson, J.G., L.W. Chen, J.C. Chow, P. Doraiswamy, and D.H. Lowenthal (2008) Source apportionment: findings from the US supersites program,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8(2), 265-288. 

  31. Won, T.Y. and S.W. Jung (2013) SPSS PASW Statistics 18.0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Hannarae Academy, 339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