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Greening Level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2, 2017년, pp.5 - 34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 및 배포하여 전국 978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평가영역별 평균을 분석한 결과, 녹색도서관 평가영역 중 도서관 자원의 전체 평균이 1.93으로 가장 높았고, 토지이용 및 교통 1.81, 재료 및 자원 1.74, 실내환경 1.30, 물 순환관리 1.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강점을 보이는 녹색화 평가영역은 도서관 자원 영역으로, 전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장서보존의 효율성, 친환경 용품사용 및 관리 등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거나 도서관에서 자주 구입하거나 소모되는 비품들을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및 교통 영역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자전거 보관소를 설치하고, 대중교통과의 근접성 및 도시중심과 도서관과의 거리를 고려한 도서관위치를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료 및 자원 영역에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이 특히 화장실 소비재를 절약하고자 손 건조기 및 롤링타월을 설치해 친환경적인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d greening level on the 978 public libraries nationwide, making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based on green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to measure the greening level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s by evaluation area, among the green libr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실제 도서관에 대입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이 녹색도서관이 되기 위한 부분에 있어 문제점 및 애로사항, 그리고 부족한 점을 찾아나가고, 도서관의 녹색화를 위해 보완해나가야 할 점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전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의 경우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목록(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측정을 하기 위해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 및 배포하여 전국 978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녹색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영희(2015)에 의해 개발된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실제 공공도서관에 대입하여 공공도서관의 녹색화 수준을 평가하고, 전국의 공공도서관이 녹색도서관이 되기 위한 부분에 있어 문제점 및 애로사항, 그리고 어떤 점이 부족한지 찾아나가고, 도서관의 녹색화를 위해 보완해나가야 할 점 등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노영희(2015)는 국내․외 문헌분석 및 사례분석을 통해 도서관의 친환경 요소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인증함에 있어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항목뿐만이 아니라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도서관에서 이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루고 있는 자료, 그리고 교육을 포함한 각종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운영 등의 측면에서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만드는 방법은? 도서관을 녹색화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지역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최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천연자원이나 재생자원의 사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물과 에너지의 사용을 줄이는 것, 건물 및 도서관 부지디자인에 실제 녹음과 식물을 더하는 것, 가급적 가뭄저항이 있는 원시식물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도서관 이용자들의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실내공기품질에 대해 높은 표준을 유지하는 것 등이다. 또한, 도서관의 녹색화에는 도서관에서 이용되는 인쇄자료 및 비도서자료를 포함하는 자원, 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 과정 등 도 포함된다고 주장되고 있다(안인자, 곽철완, 노영희 2013).
친환경이란? 이는 각 분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여 친환경사회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친환경이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덜 미치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자연에 가까운 환경으로,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환경을 뜻한다. 따라서 친환경 녹색도서관이란 생태적이며 자원 효율적인 관점에서 설계․건립․재건축․ 운영․재사용되는 구조물(Cal Recycle 2000)로 정의된다.
녹색성장이란? 전 세계적으로 환경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성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여기서 녹색성장이란 탄소배출을 감소시키는 녹색기술을 개발하여 지구의 환경을 가능한 한 그대로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의미한다. 이는 각 분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여 친환경사회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노영희. 2015. 녹색도서관 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99-130. (Noh, Younghee. 2015. "A Study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reen LibrariesCer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3): 99-130.) 

  2. 박상동, 신기식. 2006.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발전방향과 보급촉진방안.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춘계학술강연회 논문집, 2006(04): 1-27. (Park, Sang-Dong and Gi-Sik Shin. 2006.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motion plan of Green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Korea Green Building Council, 2006(04): 1-27.) 

  3. 서혜수. 2004.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실내환경인자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Seo, Hye Soo. 2004. A study on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through case stud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4. 안인자, 곽철완, 노영희, 박미영. 2012. 녹색도서관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 국내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3(1): 135-158. (Ahn, In-Ja, Chul-Wan Kwak, Younghee Noh, and Miyoung Park. 2012. "How do they MakeLibraries Green?: A Case Based Study on Building Green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Management, 43(1): 135-158.) 

  5. 안인자, 곽철완, 노영희. 2013. 녹색도서관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189-205. (Ahn, In-Ja, Chul-Wan Kwak, and Younghee Noh. 2013. "An Analysis of Literature Trendsin Green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24(1): 189-205.) 

  6. 유정연, 조동우, 채창우. 2006.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비교분석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 111-121. (Yoo, Jung-Yeon, Dong-Woo Cho, and Chung-U Chae. 2006.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Domestic and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Korean Institute of Ecological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 111-121.) 

  7. 이승민, 박상동, 신기식, 최무혁. 2006.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2): 201-208. (Lee, Seung Min, Sang-Dong Park, Kee-Shik Shin, and Moo-Hyuck Choi. 2006. "A Study onComparing and Analyzing Items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Criteri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2): 201-208.) 

  8. 정종대, 최윤호. 2006.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 및 인증 사례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8): 27-36. (Jung, Jong-Dae and Yoon-Ah Choi. 2006. "An Analysis of Assesment Indicators and CertificatedCases by Green Building Progra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8): 27-36.) 

  9. 홍수지, 노영희. 2014. 녹색도서관 구축 현황 및 인식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4): 79-108. (Hong, su-ji and Younghee Noh. 2014. "A Study on Green Library Construction Status andAwarenes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25(4): 79-108.) 

  10. Antonelli, Monika. 2008. "The green library movement: An overview of green library literature and actions from 1979 to the future of green libraries." Electronic Green Journal, 27: 1-11. 

  11. Bennett, Connie J. 2007. "Institutionalizing sustainability: An emerging trend." OLA Quarterly, 13(4): 2-6. 

  12. BEPAC. [online]. [cited 2015.6.17]. . 

  13. BREEAM. [online]. [cited 2015.6.17]. . 

  14. Brodie, Maxine. 2012. "Building the sustainable library at macquarie university." Australi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43(1): 4-16. 

  15. Brown, B. 2003. "The new green standard." Library Journal, 129(20): 61-64. 

  16. Cal Recycle. 2014. Green building basics [online]. [cited 2015.6.17]. . 

  17. Jankowska, M. A. 2012. "Going beyond environmental programs and green practices at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Electronic Green Journal, 32: 1-17. 

  18. Le Ber, Jeanne Marie and Joan M. Gregory. 2004. "Becoming green and sustainable: A Spencer S. Eccles health sciences library case study."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2(2): 266-268. 

  19. Leed. [online]. [cited 2015.6.17]. . 

  20. Marcum, James W. 2009. "Design for sustainability: sustainable library imperative." The Bottom Line: Managing Library Finances, 22(1): 9-12. 

  21. McLauchlan, Donald J. and Brian Dutt. 2008. "BACnet for green library." BACnet Today: a Aupplement to ASHRAE Journal, November: 37-41. 

  22. Mikkelsen, J. 2007. "Going for the gold: Building a sustainable LEED library." OLA Quarterly, 13(4): 12-17. 

  23. Neale, J. C. 2008. "Back Talk: Go Green!." Library Journal, 133(2): 46. 

  24. Norton, Judith. 2007. "A How-To: Conduct an Environmental Audit in Your Library." OLA Quarterly, 13(4): 7-11. 

  25. Pinkowski, J. 2007. "Keeping track of green libraries." Library Journal, 132(15): 27. 

  26. Sands, Johanna. 2006. Sustainable library design. . 

  27. Schaper, L. 2010. Ten steps to sustainable library operations. Library Journal. . 

  28. Schaper, L. L. 2003. "Public input yields greener library design." Library Journal, 129(20): 62. 

  29. Zhu, Y., B. Lin, and B. Yuan. 2010. "Low-cost green building practice in China: Library of Shandong transportation College." Front Energy Power Eng China, 4(1): 10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