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Pregnancy Related Stress Sca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503 - 512  

이혜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서민정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신 중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출생하는 신생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부의 심리사회적 안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임부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1984년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26문항의 안황란의 임부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산전교육에 참석하는 20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부스트레스, 우울과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3월과 5월에 자료수집을 하였다. 주요인 성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우울점수와의 상관관계분석으로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원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문항이 제외되고, 5개 요인(신체적 불편감, 태아, 양육, 배우자 관계, 가사일)이 추출되었고, 57.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도구의 모형 적합도 지수는 수용할만하였으며, Cronbach's alpha는 .89였다. 우울점수와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r=.48, p <.001). 본 연구에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제시한 20문항의 임부스트레스 도구는 산전 진찰과 간호사정에서 임부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ceived stress of pregnant women is a potential contributor to adverse birth outcomes.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pregnant women has been emphasized, there are fewreliable and valid instruments to measure the stress level of pregnant women in Korea. This study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확인적 요인분석은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개발되고 이미 요인구조가 확정된 경우, 인구집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도구가 여전히 타당한지 확인하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4년 개발된 Ahn[18]의 임부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정된 요인구조가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84년 Ahn[18]이 개발한 임부 스트레스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초임부 2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는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 준거가 된다[25].
  • 임신에 대한 태도와 문화는 시대와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임신과 관련된 스트레스 또한 이를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85년에 만들어진 Ahn[18]의 도구를 현대 임부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타당도과 신뢰도를 확인함으로써 도구 사용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원 도구에서 6문항이 제외된 총 20문항으로 이루어진 단축형 도구가 제시되었고, 이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 본 연구는 Ahn[18]의 임부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국내 임부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Ahn[18]의 임부 스트레스 도구 사용에 대하여 심리측정적 속성(psychometric properties)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Ahn[18]이 개발한 임부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84 이었으며,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 본 연구는 원 도구 개발자로부터 도구의 사용과 요인분석을 허가를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임신부의 행동이나 태도, 생각 등은 그 국가나 시대의 문화적인 내용을 반영한다. 임부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가 부족한 국내 실정에서 본 연구는 1984년 개발된 Ahn[17]의 임부 스트레스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원 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의 문항이 제거된 20문항에서 5개 하위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그러나 임신으로 인한 구역질, 피로, 빈뇨, 부종, 요통과 같은 신체적 불편감이나 태아에 대한 걱정, 분만과정에 대한 염려는 임부에게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1]. 임신 동안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2], 진통제 사용의 증가[3], 조기분만과 저체중아의 출산 혹은 태아와의 애착관계 형성 장애[4], 미숙아 출산 위험 등의 부정적인 임신결과와 관련이 있다[5]. 최근 임신 중 스트레스와 산후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6,7]가 보고되면서 산전 임부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임부에게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은? 임신은 대다수의 가임기 여성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발달기적 전환 사건이다. 그러나 임신으로 인한 구역질, 피로, 빈뇨, 부종, 요통과 같은 신체적 불편감이나 태아에 대한 걱정, 분만과정에 대한 염려는 임부에게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1]. 임신 동안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2], 진통제 사용의 증가[3], 조기분만과 저체중아의 출산 혹은 태아와의 애착관계 형성 장애[4], 미숙아 출산 위험 등의 부정적인 임신결과와 관련이 있다[5].
역학연구센터-우울증 척도 도구의 설문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나요? 이 도구는 Kazi 등[27]에서 임부 스트레스 도구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에서 임부스트레스와 비교하였다[12]. 이 도구는 지난주 동안 경험한 우울증상의 빈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총 20항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4점 척도(0점 = 거의 없음, 3점 = 대부분 있음)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총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의 정도가 심함을 의미하며, Cho와 Kim의 연구[26]에서 내적 일관성은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V. Glover, Maternal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hild outcome; what needs to be don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vol. 28, no. 1, pp. 25-35, 2014. DOI: http://doi.org/10.1016/j.bpobgyn.2013.08.017 

  2. G. Sydsjo, L. Moller, C. Lilliecreutz et al., "Psychiatric illness in women requesting caesarean section",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vol. 122, no. 3, pp. 351-358, 2015. DOI: http://doi.org/10.1111/1471-0528.12714 

  3. A. Wangel, J. Molin, M. Ostman et al., "Emergency cesarean sections can be predicted by markers for stress, worry and sleep disturbances in first-time mother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vol. 90, no. 3, pp. 238-244, 2011. DOI: http://doi.org/10.1111/j.1600-0412.2010.01056.x 

  4. K. Mi-Kyung, B. Kyung-Sook,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2, 2011. DOI: http://doi.org/10.4040/jkan.2011.41.2.276 

  5. J. H. Park, B. E. Lee, H. S. Park et al., "Association between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socioeconomic status and impact on pregnancy outcomes in Korea",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vol. 37, no. 2, pp. 138-145, 2011. DOI: http://doi.org/10.1111/j.1447-0756.2010.01332.x 

  6. E. J. Lee, and J. S. Park,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ante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2, pp. 211-220, 2015. DOI: http://doi.org/10.4040/jkan.2015.45.2.211 

  7. H. Wee, and S. Y. P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ournal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vol. 16, no. 2, pp. 274-286, 2012. 

  8. P. Zhu, F. Tao, J. Hao et al., "Prenatal life events stress: implications for preterm birth and infant birthweight",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203, no. 1, pp. 34.e1-34.e8, 2010. DOI: http://doi.org/10.1016/j.ajog.2010.02.023 

  9. A. Helbig, A. Kaasen, U. F. Malt et al., "Does antenatal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ffect placental circulation in the third trimester?", PloS one, vol. 8, no. 2, pp. e57071, 2013. DOI:http://doi.org/10.1371/journal.pone.0057071 

  10. E.-L. Bussieres, G. M. Tarabulsy, J. Pearson et al., "Maternal prenatal stress and infant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Developmental Review, vol. 36, pp. 179-199, 2015. DOI: http://doi.org/10.1016/j.dr.2015.04.001 

  11. D. H. Jeong, "Psychosocial Stress", Korean Academic Information, 2010. 

  12. I. Nast, M. Bolten, G. Meinlschmidt et al., "How to measure prenatal stress? A systematic review of psychometric instruments to assess psychosocial stress during pregnancy", 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vol. 27, no. 4, pp. 313-322, 2013. DOI: http://doi.org/10.1111/ppe.12051 

  13. A. M. Yali, and M. Lobel, "Coping and distress in pregnancy: An investigation of medically high risk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vol. 20, no. 1, pp. 39-52, 1999. DOI: http://doi.org/10.3109/01674829909075575 

  14. M. Lobel, C. J. DeVincent, A. Kaminer et al., "The impact of prenatal maternal stress and optimistic disposition on birth outcomes in medically high-risk women", Health Psychology, vol. 19, no. 6, pp. 544, 2000. DOI: http://doi.org/10.1037/0278-6133.19.6.544 

  15. J. A. DiPietro, "Maternal stress in pregnancy: considerations for fetal development",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 51, no. 2, pp. S3-S8, 2012. DOI: http://doi.org/10.1016/j.jadohealth.2012.04.008 

  16. Y. J. Kim, and S. S. Lee, "The relation of maternal stress with nutrients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 41, no. 8, pp. 776-785, 2008. 

  17. T. H. Holmes, and R. H. Rah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11, no. 2, pp. 213-218, 1967. DOI: http://doi.org/10.1016/0022-3999(67)90010-4 

  18. H. L. Ah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vol. 15, no. 1, pp. 5-16, 1985. DOI: https://doi.org/10.4040/jnas.1985.15.1.5 

  19. E. Kwak, "The effects of pre-delivery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nxiety and stress of the primigravid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8, no. 2, pp. 1-21, 2006. 

  20. T. Y. Moon, S. M. Park, and M.S. Han, "The influence of regular participation in pregnant exercise on the body-esteem and pregnancy str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3, pp. 1153-1162, 2010. 

  21. H. J. Hong, and H. J. Moon, "The influence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attachment in infancy: An examina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mediating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18, no. 4, pp. 125-145, 2011. DOI: http://doi.org/10.5762/KAIS.2010.11.3.1153 

  22. J. Jo, and Y. Kim, "Mothers' prenatal environment,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1, no. 2, pp. 43-62, 2007. 

  23. Y. S. Han, "A Study of the Birth Encouragement Policy of Unmarried Adult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57, pp. 315-331, 2009. 

  24. H. Kang,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 Korean Acad Nurs, vol. 43, no. 5, pp. 587-94, Oct, 2013. DOI: http://doi.org/10.4040/jkan.2013.43.5.587 

  25. D. F. Polit, and C. T. Beck,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p. 356,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26. M. J. Cho, and K. H. Kim,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86, no. 5, pp. 304-310, 1998. DOI: http://doi.org/10.1097/00005053-199805000-00007 

  27. A. Kazi, Z. Fatmi, J. Hatcher et al.,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pregnant women in the South Asian context: the AZ Stress Scale",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vol. 15, no. 2, 2009. 

  28. E. O. Lee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 574, Soomoonsa, 2009. 

  29. B. S. Kang, and C. H. Cho, "Modern Statistics (for decision making)", Muyeok Gyeongyeongsa,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