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취약 독거노인 주택의 맞춤형 개조 현장상황 기술 연구
A Descriptive Research on Field Situation of Customized Modification for Vulnerable Single Elderly Hom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3, 2017년, pp.55 - 64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김윤수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  성초희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신유진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조원섭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adjusting the environment is in demand to support their health.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an appropriate pla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needed upon the personal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eque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부분적으로 개조가 실시된 후 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이 개선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개조 지원금 사용의 가치와 의미가 없다고 조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택에서 살 수 밖에 없는 거주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개조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적으로 대상자가 혼자 거주하는데 비해 주택면적이 넓은 점을 지적하고 공간 범위를 한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사고를 예방하며 관리도 수월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기존의 주택에서 자립적으로 생활을 지속하기 위한 환경적 지원을 목적으로 개조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개조의 적정안을 찾아가며 최종적으로 개조를 완료하기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맞춤형 주택개조를 실행하고 그 전과정을 탐구·분석한 질적연구이다.
  • 현장상황이란 물리적인 주택의 실태와 거주자의 제반 상황, 그리고 주택과 거주자의 상호작용 차원에서의 상황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일시적인 요구조사의 수집을 통하여 개조의 적정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실제 주택개조의 실행을 전개하면서 최종 적정안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찾아나가는 사례연구로서, 약 6개월의 과정을 탐구적(Exploratory)으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이는 기존 양적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한 개조과정의 복잡한 관계성을 보여주며 맞춤형 개조 실행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주택 소유자라는 이유로 임대주택 등으로의 이주 기회가 없어 기존 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 수밖에 없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택개조를 실시하였다. 즉, 주택이 노후화되어 개조의 필요성이 높으며, 거주자가 고령으로 환경적 지원이 요구되지만 경제적인 여건이 열악하여 주택과 대상자의 상황과 여건에 맞는 맞춤형 개조가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적정안을 찾아가는 과정상의 현장 상황을 그려내고자 하는 것이다. 현장상황이란 물리적인 주택의 실태와 거주자의 제반 상황, 그리고 주택과 거주자의 상호작용 차원에서의 상황을 의미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주택의 상황은 일반적인 주택과는 구조나 재료 등이 다르며 많은 문제들이 서로 얽혀있는 특성이 있었다. 둘째, 거주자의 고령 상황의 고유성을 이해해야 한다. 고령자의 상황을 연령, 건강상태, 장애정도 등 세분화된 시각으로 이해하는 것 외에 개개인마다 나타나는 특수한 상황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고령자가구의 비율은? 인구 고령화로 고령자가구는 2015년 기준 전체가구의 20.6%를 차지하며, 그 중 7.4%가 1인 가구로 조사되었다.
고령화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은? 또한, 고령자의 1인 가구 비율은 부부 가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35년에는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고령자는 노화에 따라 신체적 기능이 쇠퇴하여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특히 독거 가구의 경우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고령자에 비해 안전 및 위생을 포함한 생활 전반적으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독거 고령자 가구의 지속적 증가는 이들의 삶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생활환경에 대한 점검과 대비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고령자의 1인 가구 비율의 전망은? 4%가 1인 가구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령자의 1인 가구 비율은 부부 가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35년에는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고령자는 노화에 따라 신체적 기능이 쇠퇴하여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특히 독거 가구의 경우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고령자에 비해 안전 및 위생을 포함한 생활 전반적으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S. 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outdoor environments and health of the elderly in the deprived a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 Carnemolla, P., & Bridge, C. (2015). Systematic review: Evidence on home modifications. Retrieved from http://wh1.thewebonsole.com.s3.amzonaws.com/wh/6294/images/systematic_review_270415.pdf. 

  3. Choi. J. S., & Lee. E. J. (2001). A case study on housing alterations and construction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Comparison among Korea, Japan, and Swed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0), 39-53. 

  4. Consumer Safety Center. (2013). 2012 Case study on negligent accident of elderly. Eumsung: Korea Consumer Agency. 

  5. Hong, H. O. (2005). A study on the minimum standards of housing repair for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3(2), 11-22. 

  6. Jang, M., & Lee, Y. (2015).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home renovation for fall prevention of Korean older people. Educational Gerontology, 41(9), 653-669. 

  7. Kim, Y. J. (2006).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ing and needs of elderly households to activate 'aging in place'. Chung Ang Journal of Human Ecology, 23(0), 13-35. 

  8. Kim, Y. J., Kwon, O J., & Park, N. H. (2007).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ling for improving independent living of elderly households-Focused on residential remodelling types and needs of elderly households in Seoul.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4(6), 79-93. 

  9. Kwon, O. J. (1997). A study on home modifications of elderly households without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7(1), 1-18. 

  10. Lawton, M. P., & Nahemow, L. (1973). Ecology and the aging process. In: Eisdorfer C, Lawton M. P., editor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 Lee, K. S., & Park, S. B. (2009). A study on the elderly households; Housing needs for aging in plac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5), 123-132. 

  12. Lee, Y. S., Ahn, C. H., & Chang, J. W. (2014). The conditions and needs for home modification of urban living low-income elderly. Design Convergence Study, 13(5): 289-307. 

  13. Lee, Y. S., Lim, Y. J., Kim, H. J., & Ahn, C. H. (2015). A study on guidelines of home modification for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3), 65-76. 

  14. Lim, Y. O. (2016). Comparative study of aging in place model and path of elderly between elderly in rural area and ci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1(3), 411-436. 

  15.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7).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Retrieved from http://www.mhlw.go.jp/file/06-Seisakujouhou-12300000-Roukenkyoku/201602kaigohokenntoha_2.pdf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5). Elderly house renovation standards. Retrieved from http://www.taebaek.go.kr/site/home/page/sub05/sub05_02_04.asp?hb_ModereadArticle&hb_SearchItem&hb_SearchWord&hb_PageNum322&hb_BoardItem_ID571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2007a). Elderly house renovation manual: Sejong: Author.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2007b). Making safe and comfortable housing in old age: Sejong: Author.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19. Noh, M. R. (2015). Construction experts opinion on the priority of customized remodeling items in apartment build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0. Pynoos, J., Nishita, C., & Perelaman, L. (2003). Advancements in the home modification field: A tribute to M. Powell Lawton.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17, 105-116. 

  21. Seok, H. J. (2014). The study on the living-alone experience of elderly 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6(3), 29-53. 

  22. Shim, Y., Kim, D. Y., Cho, M. H., & Cho, Y. H. (1996). The analysis of living environments of the elderly households in Chungbuk province and its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ll-being of the elderly-Focused on the economic and housing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14(3), 1-19. 

  23.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s on elderly. Daejeon: Statistics Korea. 

  24. Yoon, Y. H. (2014). A proposal on customized remodeling type based on residents' inconvenience cas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4(2), 4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