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대표도서관의 법적 위상 및 핵심역량 강화 방안
Reinforcing Legal Status and Core Competency of Regional Central Librar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2, 2017년, pp.1 - 21  

윤희윤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따른 개별 공공도서관인 동시에 광역시 도를 대표하는 도서관이다. 그러나 현 단계 대다수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과 역할은 대규모 공공도서관에 불과할 정도로 취약하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주요 약점과 한계를 분석한 다음,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도서관법"의 개정 보완, 수행업무의 재구성과 충실화 핵심역량과 직결되는 인력 및 운영조직 확대 등의 측면에서 위상정립 및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is not only a public library but also a library representing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in Korea. But the status and role of current representative libraries are so weak that they are nothing more than large public libraries. Focusing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차원을 넘어선 모든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정립 및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화하면 지역대표도서관의 현실적 취약성(법리적 약점, 법정 업무와 역할의 부정합, 업무실적의 한계, 인력 및 운영조직의 편차)을 진단하여 관계법령, 수행업무, 인력․운영조직의 측면에서 지역대표도서관 위상 및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지역대표도서관은 개별 공공도서관인 동시에 광역 시도를 대표하는 공공도서관이다. 그럼에도 대다수는 대형 공공도서관에 불과하므로 현주소와 취약성 진단을 바탕으로 위상정립 및 운영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차원을 넘어선 모든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정립 및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화하면 지역대표도서관의 현실적 취약성(법리적 약점, 법정 업무와 역할의 부정합, 업무실적의 한계, 인력 및 운영조직의 편차)을 진단하여 관계법령, 수행업무, 인력․운영조직의 측면에서 지역대표도서관 위상 및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정 또는 설립을 완료하고 각종 인프라 구축의 충실화를 전제로 관리운영의 내실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지 않은 이유는? 전혀 동의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된 법리적 및 현실적 책무가 제대로 이행되어 안착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역 대표도서관의 인력구성 및 운영조직이 취약한 이유는? 마지막으로 현 단계 지역대표도서관의 인력구성 및 운영조직은 시도를 불문하고 매우 취약하다. 이렇게 단정하는 논거와 이유는 시도 전체에 서비스하는 공공도서관인 동시에 시도에 산재하는 공공도서관을 위한 종합적인 자료수집과 서비스, 정책수립, 지원·협력, 조사·연구, 공동보존관 운영 등을 수행해야 하는 대표도서관이기 때문이다. 부언하면 모든 지역대표도서관은 서비스 대상인구가 50만명 이상인 공공도서관에 적용되는 「도서관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의 ‘별표 1’의 시설 및 자료기준과 제4조 제1항의 ‘별표 2’의 사서배치기준을 충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대표도서관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므로 전반적으로 조직규모를 확대하되 일부 대표도서관은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법」(법률 제8029호) 제22조 제1항은 무엇인가? 이러한 맥락을 함축하는 도서관계의 대표적인 현상 중의 하나가 지역대표도서관이다. 2006년 10월 4일자로 전부 개정되어 2007년 4월 5일자로 시행된 「도서관법」(법률 제8029호)은 제22조 제1항에서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는 해당지역의 도서관시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운영하여야 한다”고 규정한지 10년째를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정 또는 설립을 완료하고 각종 인프라 구축의 충실화를 전제로 관리운영의 내실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e, Soon-Ja & Kim, Byeong-Jae. 2006. "A Study on Planning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Building in Jeollabuk-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59-78. 

  2. Bae, Soon-Ja. 2008. "A Study on the Function of Regional Central Library and Collaborative Role for Community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45-59. 

  3. Chang, D.H. et al. "New Main Library Project in a Metropolitan City: with a Reference to the Library of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119-139. 

  4. Hahn, Bock-Hee, et al. 2010. "A Study of the Cooperative System Models for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267-295. 

  5. Kim, Hong-Ryul. 2009.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about Roles of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115-132. 

  6. Kim, Se-Hun & Sim, Hyo-Jung. 2008.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319-337. 

  7. Kim, Youngkee, Chang, Durk-Hyun, and Lee Yong-Jae. 2015.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al Plans of Local Government Representing Library: with a Reference to the Library of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51-70. 

  8.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Library Standards. Seoul: The Association. 

  9.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 2017 Workshop on Regional Central Library. Seoul: NLK. 

  10. Yoo, Jae Woo and Kim, Sin-Young. 2015.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Location Environment of a Regional Central Library: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427-450. 

  11. Yoo, Jae Woo, Koo, Bon Jin, and Chang, Durk Hyun. 2015. "A Research on the Site Selection of a Metropolitan Library: The Case of City of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3): 291-309. 

  12. Yoon, Hee-Yoon & Kim, Sin-Young. 2009.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slib Proceedings, 61(6): 541. 

  13. Yoon, Hee-Yoon & Kim, Sin-Young. 2016. "A Study on the Operational Organization and Connective Cooperation Plans of a Regional Central Library: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21-39. 

  14. Yoon, Hee-Yoon. 2012. "A Study on the Revision of Staffing Standard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55-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