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Self-Leadership이 항공정비조직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전문화 매개변수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Korean Aircraft Mechan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afety culture)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5 no.2, 2017년, pp.48 - 62  

권병모 (페더럴익스프레스) ,  김기웅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  이수미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  박학순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Korean aircraft mechan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afety culture has mediating effect. The theory of leadership, which has emerged since the 1940s, has been an important and key research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항공정비사들의 셀프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안전문화의 매개효과에 관하여 실증하였다. 항공산업에서 안전은 무엇보다도 최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며 FAA에서는 안전문화와 리더십 간의 영향 관계를 고려하여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셀프리더십 하위변수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안전문화가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안전이 최우선시 되는 항공정비조직에서 조직문화의 근간인 안전문화가 항공정비 업무에 종사하는 항공정비사 개개인들에게 어떻게 작용하여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즉, 개개인들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안전문화가 요인별로 어떤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여 안전문화 요인 중 조직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항공정비조직의 긍정적인 안전문화를 촉진시키고 이와 연계된 조직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틀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가설 설정

  • H1 :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셀프리더십은 안전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셀프리더십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안전문화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우리나라 항공정비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안전문화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둘째,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안전문화는 그 자체만으로는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직운영을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안전문화가 결합될경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개인이 행동과 인지 전략의 특정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7][8][9], 스스로를 이끌어가는 과정으로 정의된다[10].또한 셀프리더십은 자기 동기부여를 향상시키고 자기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로 정의되며 둘 다 효과성에 있어 중요하다[6][15].
셀프리더십의 개념 기반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의 개념은 자기통제 이론[11], 자기관리 이론[12], 자기규제 이론([13] 뿐만 아니라 사회인지 이론의 가정[14]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주로 행동 전략에 중점을 두었다. 행동 및 정신적 기술을 포함하는 셀프리더십 전략은 행동 효과 중심 전략, 자연 보상 전략 및 인지적 사고 전략으로 그룹화되며[8] 개인의 효율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고안되었다[15].
행동중심 전략에는 무엇이 있는가? 행동중심 전략은 자아 인식을 높이고, 필요하지만 어쩌면 불쾌한 직무와 관련된 행동 관리를 이끄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18]. 이러한 전략에는 자기관찰, 자기목표 설정, 자기보상, 자기수정 피드백 및 실습이 포함된다.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관찰하면 언제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지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tak, A., & Kingma, S. (2011), "Safety culture in an aircraft maintenance organisation: A view from the inside", Safety Science, 49(2), pp.268-278. 

  2. INSAG. (1991). Safety Culture. (IAEA). 

  3. Yun, J.H. (2015). "The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Formation of Safety Culture",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5(4), 1-22. 

  4. Duncan, J. S. (2015),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Aviation Service Providers", Advisory Circular, 120-92B(FAA), pp.1-80. 

  5. Jeong, Y. G., Wi, O. K.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Review of Management Consulting, 3(2), pp 53-77. 

  6. Reason, J., (2016),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Routledge. 

  7.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pp.585-600. 

  8. Neck, C. P., & Houghton, J. D. (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pp.270-295. 

  9. Neck, C. P., Manz, C. C. (2007),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4th ed., New Jersey. 

  10. Andressen, P., Konradt, U., & Neck, C. P. (2012),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mpeting models and the moderating role of virtuality",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9(1), pp.68-82. 

  11. Mahoney, M. J., & Arnkoff, D. B. (1978b). Self-manage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ennsylvania State Univ. 

  12. Manz, C. C., & Sims, H. P. (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 ship: A soci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61-367. 

  13. Carver, C. S., & Scheier, M. F. (1981).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ew York: Springer-Verlag. 

  1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inceton-Hall. 

  15. Manz, C.C. and Neck, C.P. (2004).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Pearson/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16. Neck, C. P., & Manz, C. C. (1992). "Thought self-leadership: the influence of self-talk and mental imagery on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7), 681-699. 

  17. Prussia, G. E., Anderson, J. S., & Manz, C. C. (199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523-538. 

  18. Manz, C., & Neck, C. (1998).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19. Locke, E. A., & Latham, G. 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 task performance: Prentice-Hall, Inc. 

  20. Mahoney, M. J., & Arnkoff, D. B. (1978a). Cognitive and self-control therapie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2, 689-722. 

  21.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22. Manz, C. C., & Sims, H. P. (2001).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Berrett-Koehler Publishers. 

  23. Thoresen, C., & Mahoney, M. (1974). Behavioral selfcontrol.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ew York. 

  24. Neck, C. P., & Manz, C. C. (1996).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445-467. 

  25. Burns, D. D. (1980). Feeling good: the new mood therapy.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Inc.(2). 

  26. Ellis, A. (1977). The basic clinical theory of rational-emotive therapy. Handbook of rational-emotive therapy, 1, 3-34. 

  27. Ellis, A. (1962).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28. Manz, C. C., & Neck, C. P. (1991). "Inner leadership: creating productive thought patterns". The Executive, 5(3), 87-95. 

  29. Seligman, M. (1991).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AA Knopf. 

  30. Cooper Ph. D, M. (2000).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2), 111-136. 

  31. Richter, A., & Koch, C. (2004). "Integration, differentiation and ambiguity in safety cultures". Safety Science, 42(8), 703-722. 

  32. Pidgeon, N., O'Leary, M., Johnston, N., McDonald, N., & Fuller, R. (1994). "Organisational safety culture: implications for aviation practice. In: Johnston N McDonald N, Fuller R, eds. Applications of Psychology to the Aviation System. Avebury Aviation. 

  33. Reason, J. (1998). "Achieving a safe culture: theory and practice". Work & Stress, 12(3), 293-306. 

  34. Tierney, K. J. (1999). Toward a critical sociology of risk. Paper presented at the Sociological forum. 

  35. Martin, J. (2001). Organizational culture: Mapping the terrain: Sage Publications. 

  36. Alvesson, M. (2012).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Sage. 

  37. McDonald, N., Corrigan, S., Daly, C., & Cromie, S. (2000).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afety culture in aircraft maintenance organisations". Safety Science, 34(1), pp.151-176. 

  38. Reason, J. (1997).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Routledge. 

  39. Kim, C. H., (2015). "An empirical study on safety culture of aviation mailtenance organization in Korea", Ph..D thesis, Korea Aerospace University. 

  40. Petitt, K. (2016). Safety Culture. 

  41. Bennis, W. G. (1959). "Leadership Theory and Administrative Behavior: The Problem of Authorit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 pp.259-301. 

  42. Tannenbaum, R. J., Weschler, I. R., & Massarik, F. (1961). Leadership and organization: A behavioral science approach. 

  43. Steers, R. M. (1975).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0(4) pp.546-558. 

  44. Park, S. E., Kim, Y. J. (1995)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Profil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 Business Review, 24(3), pp.213-238. 

  45. Lim, J. C., Yun, J. G., (1999) "The Effects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Subordinates" Innovativeness: The Role of Self-Efficacy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7(1) pp.1-42. 

  46. Kim, J. H.,(2000)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ower in the Sport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sure Studies, 13(2000.5) pp.669-685. 

  47. Shin, Y. G. (2001). Human resource management. Seoul: Sinkwang publishing Co. 

  48. Weiss, D. J., Dawis, R. V., & England, G. W. (196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sota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No. XXII), 1-119.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Industrial Relations Center. 

  49.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50. Anderson, J. S., & Prussia, G. E. (1997). The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Preliminary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The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4, 119-1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