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판적 수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Principles and Methods for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Explorative Study of a Program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4, 2017년, pp.857 - 888  

송륜진 (한양대학교) ,  주미경 (한양대학교)

초록

세계화, 다원화, 정보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미래사회로의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교육방안의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비판이론으로부터 발달한 비판적 교육이론 및 비판적 수학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도출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문헌분석에 기초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모델을 비판적 수학교육 사례에 적용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기초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and informatization, modern society confronts change and crisis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In that context, mathematics educators seek for how to reform school mathematics for democratic and just society. This research propo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ㆍ정보화란 무엇인가? 지식ㆍ정보화란 20세기 후반 교통ㆍ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지식과 정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 산업 구조로 변혁되어가는 현상을 가리킨다. 지식ㆍ정보화는 지식 생산과 확산 과정에 개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근대적 표준화, 중앙집권화, 대형화, 위계화에서 탈피하여, 다원화, 분권화, 소규모화, 연계화를 촉진하여 민주적이고 평등한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지식ㆍ정보화의 문제는 무엇인가? 지식ㆍ정보화는 지식 생산과 확산 과정에 개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근대적 표준화, 중앙집권화, 대형화, 위계화에서 탈피하여, 다원화, 분권화, 소규모화, 연계화를 촉진하여 민주적이고 평등한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 혁신적인 교통ㆍ통신기술에 의해 지식 생산 및 확산이 일상화되면서 무용지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특정 집단이 지식 플랫폼을 독점함에 따라 집단 간의 학력, 정보, 기술의 격차가 심화되어 계층 간 이동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소외, 인간과 기계의 공존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Skovsmose, 2012; Schwab, 2014).
지식ㆍ정보화는 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였는가? 지식ㆍ정보화란 20세기 후반 교통ㆍ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지식과 정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 산업 구조로 변혁되어가는 현상을 가리킨다. 지식ㆍ정보화는 지식 생산과 확산 과정에 개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근대적 표준화, 중앙집권화, 대형화, 위계화에서 탈피하여, 다원화, 분권화, 소규모화, 연계화를 촉진하여 민주적이고 평등한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 혁신적인 교통ㆍ통신기술에 의해 지식 생산 및 확산이 일상화되면서 무용지식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2. 권오남, 박정숙, 오국환(2013).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52(3), 319-334. 

  3. 미래창조과학부(2015). 미래이슈 분석 보고서. 경기: 미래창조과학부. 

  4. 송륜진, 주미경(2011). 다문화수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정평가연구, 14(2), 101-128. 

  5. 우정호 (201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윤응진(1997). 비판적 교육학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 38, 279-318. 

  7. 이시용(1997). 비판이론에 관한 고찰. 교육논총, 14, 137-156. 

  8. 임승리(2014). 다문화 수학수업의 적용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정수용, 주미경, 송륜진(2014). 수학교과서 속 수학자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융합적 협업으로서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연구, 18(2), 441-470. 

  10. 한용진 (2010). 세계화 3.0 시대의 교육론. 교육정치학 연구, 17(4), 203-216. 

  11. 홍은영, 최치원 (2014). 세계화교육 -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가능성 탐구를 향한 시론적 연구. 담론 201, 17(4), 85-106. 

  12. Alro, H., & Skovsmose, O. (2002). Dialogue and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tention, reflection, critique. Dordrecht: Kluwer. 

  13. Apple, M. W. (1992). Do the standards go far enough? power, polic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3(5), 412-431. 

  14. Apple, M. W. (1995). Taking power seriously: new direction in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beyond. In W. G. Secada, E. Fennema & L. B. Adajian (Eds.), New direction for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29-348).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Bishop, A. J. (1988). Mathematics education in its cultural contex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2), 179-191. 

  16. Bohl, J. V. (1998).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exploration of existing curricular material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WI. 

  17. Charles, R. (2005). Big ideas and understandings as the found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Leadership, 7(3), 9-21. 

  18. D'Ambrosio, U. (1997). Ethnomathematics and its place in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In Powell, A. B. & Frankenstein, M. (Eds.), Ethnomathematics: challenging Eurocentrism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3-24). NY: SUNY Press. 

  19. Davis, P. J.(1993). Applied mathematics as social contract. In S. Restivo, J. P. Van Bendegem, & R. Fischer (Eds.), Math worlds: philosophical and social studie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183-194). New York, NY: Free Press. 

  20. Dewey, J. (2007).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서울: 교육과학사. (영어 원작은 1916년 출판) 

  21. Ernest, P. (2010). 수학교육철학 (강문봉, 백석윤, 이중권, 장혜원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1991년 출판) 

  22. Hiebert, J. & Carpenter, T. P. (1992). Learning and teaching with understanding. In: D.W.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65-97). New York: Macmillan. 

  23. Horkheimer, M. & Adorno, T. (2001).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독어 원작은 1944년 출판) 

  24. Frankenstein, M. (1983).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application of Paulo Freire's epistemology. Journal of Education, 165(4), 315-339. 

  25. Frankenstein, M. (2012). Beyond math content and process: proposals for underlying aspect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 with educators (pp. 49-62). Reston, VA: NCTM. 

  26. Freire, P. (2002). 페다고지. (남경태 역), 서울: 그린비. (영어 원작은 1970년 출판). 

  27. Freire, P. (2002). 희망의 교육학. (교육문화연구회 역), 서울: 아침이슬. (영어 원작은 1994년 출판). 

  28. Freire, P. (2002). 프레이리의 교사론. (교육문화연구회 역), 서울: 아침이슬. (영어 원작은 1998년 출판). 

  29. Freire, P. (2010). 교육과 의식화. (채광석 역), 서울: 중원문화. (영어 원작은 1973년 출판). 

  30. Gutstein, E. (2003).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an urban, latino schoo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1), 37-73. 

  31. Gutstein, E. (2006). Reading and writing the world with mathematics: toward a pedagogy for social justice. New York, NY: Routledge. 

  32. Gutstein, E. (2012). Reflec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urban school.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63-78). Reston, VA: NCTM. 

  33. Ju, M. K., Moon, J. E., & Song, R. J. (2016). History of mathematics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Implication for using ethnomathematics in culturally divers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7), 1321-1338. 

  34. Keesing-Styles, L. (2000). An ecological approach to practicum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5, 71-81. 

  35. Keesing-Styles, L.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pedagogy and assessment in teac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radicalpedagogy.org/radicalpedagogy/The_Relationship_between_Critical_Pedagogy_and_Assessment_in_Teacher_Education.html 

  36. Osler, J. (2007). A guide for integrating issues of social and economic justice into mathematics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www.radicalmath.org/docs/SJMathGuide.pdf. 

  37. Peterson, B. & Neill, M (2012). Alternatives to standardized test. In W. Au & B. Temple (Eds.), Pencil down: rethinking high-stakes testing and accountability in public schools (pp. 218-230). Milwaukee, WI: A rethinking schools publication. 

  38. Powell, A. B. (2012).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21-34). Reston, VA: NCTM. 

  39. Restivo, S. (1993). The social life of mathematics. In S. Restivo, J. P. Van Bendegem, & R. Fischer (Eds). Math worlds: philosophical and social studie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247-278). New York: SUNY. 

  40. Romberg, T. A. (1992). Further thoughts on the standards: a reaction to Appl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3(5), 432-437. 

  41. Schowab, K. (2014). The fou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Switzerland:World Economic Forum. 

  42. Skovsmose, O. (1985). Toward a philosophy of critical mathematical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43. Skovsmose, O. (2011). An invitation to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Rotterdam: Sense Publishers. 

  44. Skovsmose, O. (2012).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 dialogical journey.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35-47). Reston, VA: NCTM. 

  45. UNESCO. (2015). Position paper on education Post-2015. UNESCO. 

  46. World Economic Forum (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Geneva, Switzerland: World Economic Forum. Retrieved rom http://www3.weforum.org/docs/WEFUSA_NewVisionforEducation_Report2015.pdf 

  47. Youngman, F. (1986). Adult education and socialist pedagogy. London: Croom Helm. 

  48. Zaslavsky, C. (1996). The multicultural math classroom: bringing in the world. NH: Heinemann. 

  49. Zinn, H. (1995). Why students should study history. In B. Bigelow, L. Christensen, S. Karp, B. Miner, & B. Peterson (Eds.), Rethinking our classroom: teaching for equity and justice. Milwaukee: Rethinking School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