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Delphi Survey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Mathematics Textbooks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1, 2017년, pp.113 - 135  

송륜진 ,  주미경 (한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서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준거 개발을 목표로 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서 비판적 수학교육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비판 이론과 비판적 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철학적, 인식론적 기저를 고찰하였다. 또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비판적 수학교육의 개념화 논의, 실제 수업사례 등을 종합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제시한 준거 안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에 따라 제시한 준거 안을 수정, 보완하여 '고전적 지식', '공동체적 지식', '대화적 지식', '정치적 지식' 네 범주로 이루어진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For this,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ritical theory, critical education, and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방형 질문에서 수집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2차 델파이 조사지를 구성하는데 이때에는 리커트 척도와 같은 폐쇄형 질문들로 구성한다.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집중경향과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통계적집단 반응 결과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이후 진행될 델파이 조사지에 표기하여 패널들이 어떠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문제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 도출할 수 있게 된다.
  • 본 연구는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의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안’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의 수학교과서 분석 준거 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묻고 수합된 의견을 종합, 분석하여 ‘분석준거 안’을 수정하는 데 반영하였다.
  • 그러나 교육 정책 및 목표를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분석은 비판적 수학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생산해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과정이 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수학교과서를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판이론, 비판적 교육이론, 비판적 수학교육이론이 갖는다양한 개념을 선택, 분류, 종합하여 분석준거 개발을 위한 내용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기존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판적 수학교육이 어떻게 개념화 될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학적 지식에 대한 대표적인 인식론인 ‘절대주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실용주의’를 중심으로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 및 세부 내용요소를 탐색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수학교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비판적 수학교육을 개념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철학, 비판적 교육 등과 같이 철학적 기저가 되는 저변 학문들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비판적 수학교육의 다양한 개념적 스펙트럼을 종합, 분류하여 ‘비판적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 준거 안’을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교육 및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헌분석을 기반으로 분석준거의 주요 범주를 분류하고 각 범주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내용 요소 및 특징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은? 비판적 수학교육은 전통적인 수학교육의 기본 가정을 비판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서는 수학적 지식이 갖는 보편적 특징보다는 사회문화적이고 구성적이며 실용적인 특징에 주목한다.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은 지식을 획득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이 능동적으로 구성해가는 것으로 보며 이 때 학생의 ‘학습 자율권’을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여 학생 고유의 경험과 관심, 필요, 문제상황 등을 학습의 출발점으로 삼도록 격려한다.
탈맥락화, 추상화, 대상화된 수학적 지식이 비인간화의 도구가 되면서 나타난 부작용은? 여기서 문제로 지적되는 점은 탈맥락화, 추상화, 대상화된 수학적 지식이 비인간화의 도구가 되었다는 것이다. 즉, 수학적 지식은 인간과 유리된 난해하고 추상적이며 대상화된 지식으로 자리 잡음으로써 수학 학습자는 수학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인간이 만든 지식인 수학에 대한 숙달 정도에 따라 등급화 되는 인간소외의 현상을 겪게 되었다(이시용, 1997; 정영수, 1995; D'Ambrosio, 1999).
비판적 수학교육의 출발점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판적 수학교육은 수학교과를 통해 이러한 교육개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이다. 비판적 수학교육은 전통적인 수학교육의 기본 가정을 비판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서는 수학적 지식이 갖는 보편적 특징보다는 사회문화적이고 구성적이며 실용적인 특징에 주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용주(2008).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수시과제보고서 수시 08-20. 경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 교육과학기술부(2012).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3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5b).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 II. 연구보고서 BD15110002. 서울:교육부 

  5. 권오남, 박정숙, 오국환(2013).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52(3), 319-334. 

  6. 오국환(2014). 비판적 수학교육을 적용한 수업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시용(1997). 비판이론에 관한 고찰. 교육논총, 14, 137-156. 

  8. 이종성(2001). 델파이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9. 정수용, 주미경, 송륜진(2014). 수학교과서 속 수학자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융합적 협업으로서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연구, 18(2), 441-470. 

  10. 정영수(1995). 인간교육의 탐구. 서울: 동문사 

  11. Apple, M. W. (1992). Do the standards go far enough? power, polic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3(5), 412-431. 

  12. Apple, M. W. (1995). Taking power seriously: new direction in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beyond. In W. G. Secada, E. Fennema & L. B. Adajian (Eds.), New direction for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29-348).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Bartell, T. G. (2011).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 negotiating social justice and mathematics goal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2, 5-35. 

  14. Bishop, A. J. (1988). Mathematics education in its cultural contex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2), 179-191. 

  15. Bohl, J. V. (1998).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exploration of existing curricular material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WI. 

  16.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st, 31, 175-190. 

  17. D'Ambrosio, U. (1997). Ethnomathematics and its place in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In Powell, A. B. & Frankenstein, M. (Eds.), Ethnomathematics: challenging eurocentriwm tin mathematics education (pp. 13-24). Albany, NY: SUNY Press. 

  18. D'Ambrosio, U. (1999). Literacy, matheracy, and technoracy: a trivium for toda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131-153. 

  19. Davis, P. J. (1993). Applied mathematics as social contract. In S. Restivo, J. P. Van Bendegem, & R. Fischer (Eds.), Math worlds: philosophical and social studie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183-194). New York, NY: Free Press. 

  20. Ernest, P. (2010). 수학교육철학 (강문봉, 백석윤, 이중권, 장혜원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1991년 출판) 

  21. Frankenstein, M. (1983).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application of Paulo Freire's epistemology. Journal of Education, 165(4), 315-339. 

  22. Frankenstein, M. (2012). Beyond math content and process: proposals for underlying aspect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49-62). Reston, VA: NCTM. 

  23. Freire, P. (2002). 페다고지. (남경태 역), 서울: 그린비. (영어 원작은 1970년 출판). 

  24. Freire, P. (2002). 희망의 교육학. (교육문화연구회 역), 서울: 아침이슬. (영어 원작은 1994년 출판). 

  25. Freire, P. (2010). 교육과 의식화. (채광석 역), 서울: 중원문화. (영어 원작은 1973년 출판). 

  26. Grant, C. A., & Sleeter, C. E. (2011). Do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chievement and equity,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27. Grugnetti, L. & Rogers, L. (2000) Philosophical, multi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issues. In J. Fauvel and J. van Maanen (Eds.), History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ICMI study (pp. 39-6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28. Gutstein, E. (2003).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an urban, latino schoo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1), 37-73. 

  29. Gutstein, E. (2006). Reading and writing the world with mathematics: toward a pedagogy for social justice. New York, NY: Routledge. 

  30. Gutstein, E. (2007). Connecting community, critical, and classical knowledge in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Monograph 1, 109-118. 

  31. Gutstein, E. (2012). Reflec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urban school.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63-78). Reston, VA: NCTM. 

  32. Ju, M. K., Moon, J. E., & Song, R. J. (2016). History of mathematics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Implication for using ethnomathematics in culturally divers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7), 1321-1338. 

  33. Keitel, C. (1993). Implicit mathematical models in social practice and explicit mathematics teaching by applications. In J. de Lange, C. Keitel, I. Huntley, & M. Niss (Eds.), Innovation in maths education by modelling and applications (pp. 19-30). West Sussex, England: Ellis Horwood. 

  3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35. Powell, A. B. (2012).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21-34). Reston, VA: NCTM. 

  36. Romberg, T. A. (1992). Further thoughts on the standards: a reaction to Appl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3(5), 432-437. 

  37. Schwab, K. (2016).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Switzland: World Economy Forum. 

  38. Skovsmose, O. (1985). Toward a philosophy of critical mathematical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39. Skovsmose, O. (2012).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 dialogical journey. In A. A. Wager & D. W. Stinson (Eds.),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pp. 35-47). Reston, VA: NCTM. 

  40. Swetz, F. (2000). Mathematical pedagogy: an historical perspective. In V. Katz (Eds.), Using history to teach mathematic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p. 11-16).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41. Turner, E. E. (2003). Critical mathematical agency: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 in mathematics to investigate, critique, and act upon their wor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TX. 

  42. Wager, A. A. (2008). Developing equitable mathematics pedag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WI. 

  43. Zaslavsky, C. (1996). The multicultural math classroom: bringing in the world. Portsmouth, NH: Heineman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