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결자·청취자 활동이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on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b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3, 2017년, pp.429 - 440  

박재성 (서울대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  한재영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 청취자 활동이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명의 예비교사로 구성된 4개조의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통한 지필평가 문항 제작 활동을 분석한 결과, 해결자와 청취자 역할과 상관없이 PCK 구성 요소 중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측면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 측면에 대한 고려도 비교적 많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적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통합 수준에서는 PCK 구성 요소 중 2가지 측면 또는 3가지 측면의 통합이 다양한 유형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4가지 및 5가지 측면의 통합도 일부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측면 등을 포함한 통합은 비교적 적었으며,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 측면을 포함한 통합은 매우 드물었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능력 신장 및 PCK 계발전략으로서 해결자 청취자 활동의 유용성, 제한점,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on interactions among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omponents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b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using paired t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K 관점에서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 분류틀을 이용했을 때 PCK 구성 요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선행연구(Noh, Park, & Kang, 2016)에서 제시된 PCK 관점에서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 분류틀을 그대로 사용하여 PCK 구성 요소별 하위 항목 및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 분류틀에서는 PCK 구성 요소를 5가지, 즉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으로 구분하고 각 요소에 대한 하위 항목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PCK 각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한 가지 요소만 단순히 고려하는 것보다 질적으로 우수하다는 점(Aydin & Boz, 2013; Aydin et al.
과학교사의 PCK 계발 전략을 모색하는 노력에 대한 대표적인 예에는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었는가? 또한 과학교사의 PCK 계발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코티칭, 멘토링, 컨설팅 등과 같이 다른 교사나 전문가가 예비 및 현직 교사에게 PCK의 모든 요소에 대해 포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전략의 유용성 및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된 바 있다(Go & Nam, 2013; Joung & Kang, 2011; Kwak, 2011; Marable & Raimondi, 2007; Na & Yeo, 2015; Noh, Kang, & Kang, 2012; Noh et al., 2012; Stanulis, Little, & Wibbens, 2012; Yoon, 2014).
해결자⋅청취자 활동의 장점은? 이 활동은 자신의 사고 과정을 빠짐없이 말로 표현하면서 스스로 특정 과제를 해결하는 ‘해결자(solver)’와 해결자의 과제 해결과정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질문하며 정확성을 검토하여 잘못을 지적하는 ‘청취자(listener)’로 역할이 구분되며, 해결자의 활동은 발성사고법(think-aloud method)에 기반한 것이다(Jeon, 1999). 이 활동을 통해 해결자는 청취자의 능동적인 점검과 도움을 받아 자신의 사고 과정을 명확히 인지 및 체계화하고 잘못된 부분은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취자는 해결자의 과제 해결 과정을 능동적으로 점검하는 과정에서 특정 개념이나 과제에 대하여 심도 있게 생각해 볼 수 있고 자신의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하여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Goos, 1994; Jeon, 1999). 특히 해결자와 청취자의 역할을 바꾸어 진행할 경우, 청취자 자신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해결자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한다면 자신이 해결자가 되었을 때 그 부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비교사의 지필평가 문항제작 과정에서 해결자⋅청취자 활동을 도입한다면 예비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8). Blueprints for reform: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Aydin, S., & Boz, Y. (2013). The nature of integration among PCK components: A case study of two experienced chemistry teache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4(4), 615-624. 

  3. Aydin, S., Demirdogen, B., Akin, F. N., & Uzuntiryaki-Kondakci, E. (2015).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interaction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acticu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6, 37-50. 

  4.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5. Black, P., Harrison, C., Lee, C., Marshall, B., & Wiliam, D. (2004). Working inside the black box: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Phi Delta Kappan, 86(1), 8-21. 

  6. Cho, H., & Ko, Y.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7. Choi, B.-S., Kang, S., Kang, S., Kang, S., Kong, Y.-T., Kwon, H., Kim, J., Nam, J., Noh, S.-G., Park, J., Park, H., Paik, S.-H., Lee, B.-H., Lee, S. K., & Choi, M.-H. (2004). A study on the chemistry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 Paju: Freedom Academy Publishing Co. 

  8.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9. Fernandez-Balboa, J.-M., & Stiehl, J. (1995). The generic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3), 293-306. 

  10. Fives, H., & Barnes, N. (2017). Informed and uninformed naive assessment constructors’ strategies for item sele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8(1), 85-101. 

  11. Go, M., & Nam, J. (2013).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94-113. 

  12. Goos, M. (1994). Metacognitive decision making and social interactions during paired problem solving.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6(2), 144-165. 

  13. Hashweh, M. Z.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 273-292. 

  14. Jeon, K. (1999).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paired think aloud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effect and small group problem solving process in chemistry clas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Joung, K.,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the use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239-255. 

  16. Kind, V. (200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and potential for progres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169-204. 

  17. Kwak, Y. (2011).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1-13. 

  18. Lee, I., Kim, B.-K., Lee, B., Park, J., Jin, J., Kim, O., Seo, S., Kim, S., Kang, S., Kwon, J., Kim, S.-W., Paik, S.-H., Shin, D.-H., Lee, H., Cho, H.-H., & Cha, H.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sessment of students [과학과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Research report RRE 2004-5-5).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Kluwer Academic. 

  20. Marable, M., & Raimondi, S. (2007).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was most (and least) supportive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Mentoring &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15(1), 25-37. 

  21. Min, H. J.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expertise model through analyzing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2. Na, Y. J., & Yeo, S.-I. (2015).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hile mentoring a class for the gifted. Teacher Education Research, 54(4), 773-790. 

  23. Nam, M., Park, S., Song, M., Kim, K., Kim, S., Cho, I., Lim, W., Lee, K., Oh, S., Kang, M., & Kang, J. (2006). A study on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in students assessment (III)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I)] (Research report RRE 2006-5).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Observe, interact, change, lear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5. Noh, T., Kang, S., & Kang, H. (2012).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331-345. 

  26. Noh, T., Kim, H., Han, J., & Kang, H. (2017).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in making written test items using think-aloud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2), 225-237. 

  27. Noh, T., Park, J., & Kang, H. (2016).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69-781. 

  28. Noh, T., Yang, C., Kim, Y., & Kang, H. (2012).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655-670. 

  29.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30.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1. Schwarz, C. V., Gunckel, K. L., Smith, E. L., Covitt, B. A., Bae, M., Enfield, M., & Tsurusaki, B. K. (2008). Hel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 to use curriculum material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2), 345-377. 

  32. Siegel, M. A., & Wissehr, C. (2011). Preparing for the plunge: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4), 371-391. 

  33. Stanulis, R. N., Little, S., & Wibbens, E. (2012). Intensive mentoring that contributes to change i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to lead classroom discuss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1), 32-43. 

  34. Yoon, J. (2014). An examination on the influences and methods of mentoring for improv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1), 309-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