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을 활용한 재난관리활용의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Using Drones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0 no.1, 2017년, pp.67 - 74  

조한광 (건축시공기술사협회) ,  강휘진 (한국재난안전정책개발연구원 사회재난연구센터) ,  양옥희 (중앙대학교 건설경영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은 취미생활 및 농약 살포, 배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재난관리 분야의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여 구호품의 운송, 동영상의 활용 등 제한된 분야에서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재난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나 재난 전문가의 드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활성화에 어려움이 가중된다고 판단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조종법에 대한 개략적인 특성과 재난관리 분야에서 드론이 활성화가 되지 않는 원인을 분석하여 제도적 측면에서는 법적 규제와 활용 측면에서는 카메라, 열 감지카메라, 적외선센서, RFID 등 센서 기반 등의 융합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ne technology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ersonal hobby, pesticide application and shipping etc. However, only few drone technologies are used in restricted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of alimony goods and utilization of video because of the limited utilization aspect of disa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T분야와 재난관리의 향후 발전방안으로 드론에서 보내오는 실시간 정보를 스마트폰과 상황실의 모니터 상에서 동시 정보 취득이 가능하고 그 정보를 필요 용도에 따라 가공된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는 플랫폼과 재난관리를 위한 앱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드론의 경우 YouTube, facebook 등에 송출이 가능하도록 앱이 구성되어 있다.
  • 드론은 카메라 부착 위치에 다양한 종류의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융통이 있다. 다양한 감지(측정)기기를 접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열 감지 카메라의 활용측면에서는 25 kg 이하의 소형 드론의 경우에도 열화상 카메라 부착이 가능하다.
  • 드론을 재난관리에 적극적인 활용에 제해되고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는 바로 해결될 문제도 있으나 대부분은 타 분야와의 협업 및 융합 기술이 필요한 요소들이다.
  • 안전 센서는 위 부분을 제외한 4방향에 각각의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해 기존 번들제품의 활용방안을 사례연구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 적용한 드론으로 국가기반시설인 도로 및 교량, 교탑 등에 대한 예방측면의 재난관리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사례 개요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품 운송 등 중·대형 드론은 본 연구범위에서 제외하고 경제적 측면이나 운용 편리성에서 조기 도입이 가능하고 투자대비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는 소형 드론을 이용한 붕괴 및 조난, 정보 활용, 재난 통제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현 기술 수준의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 등의 활용을 통한 적극적인 활용성을 위한 제약 사항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IT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분야에서는 현재 타 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술을 벤치마킹 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이러한 융합기술은 각각 이미 재발되어 타 분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드론의 기본 장착 카메라를 이용한 국가 기반시설의 보호 측면에서의 유지관리 방안을 사례 연구하고 융합 기술의 분야는 현재의 기술 동향과 이를 융합할 경우 기존 드론의 성능이 향상되어 재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산사태 지역의 2차 붕괴 위험, 화재 및 가스 누출에 의한 2차 폭발 위험, 시설물의 2차 붕괴, 유해 화학물질의 노출 등 구조 인력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무인장비의 투입 및 투입 장비의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방단계에서의 국가보호시설의 관리 적용 사례 연구 및 재난발생시 초기 대응단계에 무인 항공기인 드론 중 25 kg 이하의 소형드론을 활용한 재난 대응의 적용상의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차량 및 점검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부위에 대하여 드론을 이용한 정밀 접사 촬영을 실시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점검 순서로는 먼저 동영상을 통해 일정 구간 교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촬영 영상을 판독하여 점검 필요 부위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드론에 부착하여 재난 분야에 활용할 수있는 매개체로서의 기기인 영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각종 센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 등 드론에 부착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부착한 드론을 한 대의 단독업무 수행이 아닌 최소 2대에서 많게는 10여대 이상의 드론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더욱 복잡해지는 재난의 다양한 대응 및 적용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재난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을 위하여 현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및 세계 최고의 IT 기술을 드론에 접목한 재난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은 무엇을 기준으로 법적규제를 다르게 적용하는가? 드론은 법적 기준으로 자체 하중 25 kg을 기준으로 법적규제를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25 kg 이상의 경우 비행 조정면허가 필요하며 운항 제한지역도 확대되고 각종 통제를 받아 운행하여야 한다.
비행제한구역을 위반했을 때 받는 형은 무엇인가? 비행제한구역에서는 최대이륙중량 25 kg 초과 시 관할기관의 승인을 받아야한다. 현행법상 이를 위반하는 경우 최대 2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위 지도는 국토교통부와 지방항공청의 무료 앱에서 제공한다.
사회재난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재난의 특징은 재난 발생 시 자연재난에 비해 피해범위가 좁고 지역적으로 한정되는 특징이 있으며 인구가 집중화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주는 특징이 있다. 자연재난은 재난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고 물적 피해가 큰 특징이 있으나 사회재난에 비해 인적 피해가 일반적으로 적은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국토교통부 (2015), 무인비행장치 안전관리 정책방향. 

  2. 김노준, 이성은, 김황진 (2015), 재난안전드론 도입을 위한 법규 및 성능기준 기초연구, 한국안전학회지. 

  3. 김병준, 이윤경, 최종국 (2015), 조간대 갯벌에서 무인항공기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4. 김승현 (2016), 드론을 활용한 지반시설물의 관리, 한국지반공학회지. 

  5. 김정태 (2016), 드론을 이용한 3D맵핑 시스템 활용에 대한연구. 

  6. 김창윤, 이우식 (2016), 재난지역의 붕괴지형 3차원 형상 모델링을 위한 스테러오 비전 카메라 기반 드론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7. 류한석 (2015), 플랫폼으로서의 드론과 시사점, 디지에코보고서. 

  8. 문현석, 김창윤, 이우식 (2016), 드론을 활용한 재난 붕괴지형 매몰자의 위치 탐지 기술 개발. 

  9. 박우민 외 4명 (2013), 입체적 지형을 고려한 무인항공기의 실시간 촬영 영역 분석 알고리즘, 한국통신학회. 

  10. 박홍기, 항공레이저측량 등 신기술, 가천대학교 발표자료. 

  11. 임보영,최광훈, 김재훈 (2015), 센서 네트워크 상의 드론을 활용한 협업 기반 요율적인 데이터 수집, 한국통신학회. 

  12. 임수연 (2015), 재난안전 현장에서의 드론 활용, Saeace & Technology Policy. 

  13. Agoston Restas (2015), "Drone Applications for Supporting Disaster Management", World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14. Agoston Restas (2016), "Drone Applications for Ppreventing and Pesponding HAZMAT Disaster", World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15. Elera Candigliota, Francesco Immordino (2013), "Low Altitude Remote Sensing by UAV for monitoring and emergency management on historical heritage", Conference Paper.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