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치료로 호전된 섬망을 동반한 좌측 중대뇌동맥경색 환자의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a Lef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and Delirium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2, 2017년, pp.138 - 145  

노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하유경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찬솔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  홍승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송원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동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봉기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describe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atient with delirium caused by a lef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opungbosimdodam-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에 본 치험례를 통하여 뇌졸중 후 섬망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변증에 따른 한약 치료 및 침구 치료의 효과와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치험례에서는 섬망 증상의 개선을 위해 任脈, 督脈, 手少陰心經, 足少陽膽 經, 手厥陰心包經 등의 經穴을 取하여 침구 치료를 동시에 적용하였는데, 이를 통해서도 섬망 증상의 호전을 도모할 수 있어 침구 치료와 한약 치료 각 각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힐 수 없었다.
  • 이에 저자는 좌측 중대뇌동맥경색으로 인해 섬망 증상을 보인 환자에게 疎風補心導痰湯 투여 및 GV20(百會), LI11(曲池), PC6(內關), HT7(神門), LI4(合谷), SI3(後谿), GB20(風池), ST36(足三里), GB39(縣鍾), SP6(三陰交), LR3(太衝) 등을 주경혈로 하는 침구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섬망은 주의력뿐만 아니라 정동, 사고, 언어 등 인지 기능 전반의 감퇴와 정신병적 증상을 유발하는 매우 흔한 인지기능 장애로서, 수 시간 내지 수 일에 걸쳐 급격하게 발생하며 하루 중에도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변화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급성 혼돈 상태(acute confusional state)로 정의된다1 .
뇌졸중 병변의 위치나 범위는 섬망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뇌졸중은 그 자체로 섬망의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뇌졸중 병변의 위치, 범위, 발병기전, 뇌졸중 후 뇌관류 저하 및 뇌부종의 정도와 흡인으로 인한 폐렴 등 뇌졸중 후 발생하는 내과적 합병증 등이 섬망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10. 뇌간 혹은 소뇌 뇌졸중보다는 대뇌반구에 발생한 뇌졸중에서 섬망의 발생 빈도가 높고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변의 위치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는 비특이적으로 편측 또는 양측 후뇌동맥 영역, 전뇌동맥 영 역의 총 경색, 중뇌동맥 영역, 시상 및 속섬유막 무 릎(genu of internal capsule) 등의 병변이 섬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11.
섬망의 원인으로는 어떤 것 들이 있는가? 섬망의 원인으로는 저산소증, 전해질 불균형, 패혈증 등이 가장 확실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 뇌의 구조적 이상, 허혈 상태, 대사 상태, 약물 독성, 감염 등 다양한 원인이 알려져 있다2 . 뇌졸중 후 섬망은 흔하게 발생하는 행동장애로 뇌졸중 환자의 36~5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own TM, Boyle MF. Delirium. British Medical J 2002;325(7365):644-7. 

  2. Hwang SW, Kang SW, Kang YG, Lee J, Kim MJ, Lee YJ, et al.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inpatients. Korean J Fam Med 2002; 23(1):112-21. 

  3. Gustafson Y, Olsson T, Eriksson S, Asplund K, Bucht G. Acute confusional states (delirium) in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s 1991;1 :257-64. 

  4. Langhorne P, Stott D, Robertson L, MacDonald J, Jones L, McAlpine C, et al.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troke a multicenter study. Stroke 2000; 31(6):1223-29. 

  5. McManus J, Pathansali R, Hassan H, Ouldred E, Cooper D, Stewart R, et al. The course of delirium in acute stroke. Age Ageing 2009; 38(4):385-9. 

  6. Hwang EW. Psychiatry in Oriental medicine. Seoul: Hyundai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1987, p. 118, 465-70, 523-5. 

  7. Kim KW, Lee DY.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Dementia - Delirium Complex. Korean J Psychopathol 2000;9(2):131-41. 

  8. WHO.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 clinical descrio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WHO; 1992.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 APA; 2013. 

  10. McManus J, Pathansali R, Stewart R, Macdonald A, Jackson S. Delirium post-stroke. Age Ageing 2007;36(6):613-8. 

  11. Caeiro L, Ferro JM, Albuquerque R, Figueira ML. Delirium in the first days of acute stroke. Journal of neurology 2004;251(2):171-8. 

  12. Oldenbeuving A, De Kort P, Jansen B, Roks G, Kappelle L. Delirium in acute stroke: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2007; 2(4):270-5. 

  13. Kim SM, Kang AM, Noh HS, Ha YG, Ahn L, Choi DJ. A Case Report of Central Post-Stroke Pain Improved by Sokyungwhalhyul-tang.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2015;16(1):73-80. 

  14. Kim YS. Clinical Stroke. Seoul: Seowondang; 1997. p. 503. 

  15. Jung MK, Jun CY, Choi YK, Park JH. A Case of Patient with Delirium Caused by Hospitalizing of Cerebral Infarction. J Int Korean Med 2010;fal:325-30. 

  16. Lee HB, Jang SI, Jin SC, Park JH, Kim MS, Kim SG, et al. The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Delirium after Cerebral Infarction. J Int Korean Med 2002;fal:203-8. 

  17. Yoo JH, Kim HI, Kim GW, Koo BS. A Case of Delirium with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Patient Healed by Hwaeo-jeon.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05;16(2):189-99. 

  18. Kim JH, Kim KO, Koo BS. A case with Delirium caused by cranial trauma.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04;15(2):229-38. 

  19. Jung JA, Kim SJ, Chung SM, Kang CS, Chung KA, Jeon SY, et al. Two Cases Report of Delirium Induced by Subdural Hematoma after Head Traumatic Injury. J Int Korean Med 2006;fal:1-8. 

  20. Kim SR, Hwang MY, Shin CY, Jeong JC, Shin HK. A Case Report of Delirium with Trau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J Int Korean Med 2011;fal:368-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