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54-year-old female woman diagnosed as Multiple System Atrophy (MSA) presented diplopia with other symptoms - gait disturbance, ataxia, sleep apnea, dysuria. She had been car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 Herbal medicine, acupuncture, bee venom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소뇌성 다계통 위축증에서 보행실조, 소뇌성 어삽 등과 함께 소뇌성 안구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 복시가 발생  할 수 있다. 양약 사용 없이 일관된 한방 처치로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복시라는 특이 증상에 대해 양호한 경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계통위축증이란? 다계통위축증은 자율신경병증, 소뇌기능장애, 파킨슨증후군 등을 나타내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올리브교소뇌위축증, 줄무늬체흑색질변성증, 샤이드래거 증후군 등으로 알려져 있던 일련의 신경퇴행성 질환들이 중추신경계에서 알파-시누클린 양성 신경교세포질봉입의 존재와 관련된 것으로 밝혀져 이들 질환들을 포괄하여 다계통위축증이라 부른다.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3년).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기관지 폐렴과 기타 호흡기질환이다17.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평균적으로 52.5세에 처음 증상 호소를 나타내며 발병 시점으로부터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8.3년이다(남성 8.6년, 여성 7.3년).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기관지 폐렴과 기타 호흡기질환이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ultiple system atrophy: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https://www.uptodate.com/ 

  2. Go GY, Jang MH, Kim KY, Ahn TW. A Case Study about Soyangin Cerebellar Atrophy Patient suffering from Dizziness improved by Hyeungbangjihwang-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3):233-42. 

  3. Baik YS, Jo EY, Choi HJ, Jung SH. A Clinical Case Study on Multiple System Atrophy-C. J Int Korean Med 2008;29:119-26. 

  4. Lee MS, Bae NY.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Improved with Jowisengcheong-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3):243-53. 

  5. Park JK, Maeng YS, Lee SB, Kim DI. Case of Multiple Systemic Atrophy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rapy. J Korean Oriental Med 2011;32(2):118-25. 

  6. Byeon HS, Park JY, Leem JT, Kim MY, Kim CH, Jung WS, et al. A Clinical Case Study on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Dysuria treated with Electroacupuncture and Moxibustion. J Int Korean Med 2008;29:196-203. 

  7. Jeong SS, An TH, Park SI, Kim JW, Seo HS, Ryu CG, et al. A Case Report of the Patient with Multiple System Atrophy Evaluated by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Korean J Orient Int Med 2012; 33(1):102-10. 

  8. Im JW, Lee JE, Yei YC, Kim YS, Cho KH, Moon SK, et al. A case report of mutiple system atrophy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3;34:206-10. 

  9. Lee SH, Kim SG, Shin HS, Lee HB, Jin SC, Kim MS, et al. A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J Int Korean Med 2002;23(3):511-8. 

  10. Lee JW, Chang WS, Baek KM. A Case of Western-Oriental Medicine combined Treatment on the Dizziness Patient diagnosed as Olivopontocerebellar Atropy(OPCA).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2010;35(4):73-83. 

  11. Lee JE, Im JW, Yei YC, Kim YS, Cho KH, Moon SK, et al. A Case Study of a MSA-P Patient with Gait Disturbance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3; 34:201-5. 

  12. Kim TH, Na BJ, Rhee JW, Lee CR, Yun SP, Jung WS, et al. A case report of moxibustion effect on Dysphagia induced by OPCA(Olivopontocerebellar atrophy). J Int Korean Med 2004;25:131-6. 

  13. Stefanova N, Bucke P, Duerr S, Wenning GK. Multiple system atrophy: an update. The Lancet Neurology 2009;8(12):1172-8. 

  14. http://clinicalgate.com/diplopia 

  15. Kim MS, Choi J, Kim JH, Kim JS, Lee JH. Clinical Features for Patients Presenting with Dipl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 1772-7. 

  16. Wenning GK, Tison F, Seppi K, Sampaio C, Diem A, Yekhlef F,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UMSARS). Mov Disord 2004 Dec;19(12):1391-402. 

  17. Schrag A, Wenning GK, Quinn N, Ben-Shlomo Y. Survival in multiple system atrophy. Mov Disord 2008 Jan 30;23(2):294-6. 

  18. Parati EA. Fetoni V. Gcrminiani GC, Solivcri Giovannini P, Testa D, ct al. Response to L-dopa in multiple system atrophy. Clin Neuropharmacol 1993:16(2):139-44. 

  19. Sun SH, Lee JE, Han DY, Lee SW, Lee SL, Ko SG. The Two Case Reports of Taeumin with Central Dizziness and Cerebellar Ataxia. J Int Korean Med 2004;25(2):335-43. 

  20. Shim SR, Choi WJ. A Clinical Report of Wallenberg's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Joonpoong 2009;10(1):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