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HPP) on multiple sclerosis. Methods: A multiple sclerosis patient with gait disturbances, tremors, spasms of both lower limbs, and diplopia was treated with only HPP for two week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P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주로 시행되어 왔으나, 다른 한방치료법을 배제한 단일 치료법에 대한 증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저자는 2016년 12월 30일부터 2017년 1월 13일까지 보행장애, 하지부 진전 및 경직, 복시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자하거 약침치료만을 시행하여 유의미한 증상의 개선을 보인 증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발성 경화증이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 신경계 내에 탈수초성 병변이 척수, 시신경, 대뇌 반구, 소뇌 및 뇌간 등에 시간과 공간 상 파종(disseminated)되어 있고 임상적으로 신경 증상의 악화와 관해를 반복하는 질환이다1. 이 질환은 중추 신경계에 myelin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신경 섬유 주위를 둘러싼 지질로 된 myelin을 완전히 잃게 되면 신경 전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2.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이 질환은 중추 신경계에 myelin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신경 섬유 주위를 둘러싼 지질로 된 myelin을 완전히 잃게 되면 신경 전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2. 다발성 경화증은 크게 재발-관해 혹은 진행성 과정과 중추신경계 염증, 탈수초화, 그리고 신경교종(반흔)의 3대 병리적 징후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3,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척수로의 장애, 감각 이상, 시신경 장애, 운동실조, 복시, 현훈, 배뇨 및 배변장애 등이 있다4.
다발성 경화증의 특징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 신경계 내에 탈수초성 병변이 척수, 시신경, 대뇌 반구, 소뇌 및 뇌간 등에 시간과 공간 상 파종(disseminated)되어 있고 임상적으로 신경 증상의 악화와 관해를 반복하는 질환이다1. 이 질환은 중추 신경계에 myelin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신경 섬유 주위를 둘러싼 지질로 된 myelin을 완전히 잃게 되면 신경 전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2. 다발성 경화증은 크게 재발-관해 혹은 진행성 과정과 중추신경계 염증, 탈수초화, 그리고 신경교종(반흔)의 3대 병리적 징후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3,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척수로의 장애, 감각 이상, 시신경 장애, 운동실조, 복시, 현훈, 배뇨 및 배변장애 등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khof F, Filippi M, Miller DH, Scheltens P, Campi A, Polman CH, et al. Comparison of MRI criteria at first presentation to predict conversion to clinically definite multiple sclerosis. Brain 1997;120(11):2059-69. 

  2. Lee JS. A File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Seoul: Medrang; 2003, p. 1364. 

  3.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Harrison's Internal Medicine. Seoul: MIP; 2010, p. 3136-47. 

  4. Wolinsky JS. Neurologic disorders associated with altered immunity or unexplained host parasite alterations. Philadelphia: Cecil textbook of medicine; 1988, p. 2213. 

  5. Kim BJ, Lee KH. Diagnosis of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5; 23(2):143-51. 

  6. Wang B. Yellow Emperor's Inner Canon Somun. Seoul: Dasung; 1994, p. 271-4. 

  7. Park CG, Yang JH, Park CS. The Study on the Korean and Western Medical Literatures for Multiple Sclerosis. The Journal of Jeahan Oriental Medical Academy 1999;4(1):154-65. 

  8. Committee of Herbalogy Society. Clinical Herbal Medicine. Seoul: younglimsa; 2006, p. 567-8. 

  9.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A Clinical Guideline of Pharmacopuncture. Seoul: Hansung; 1999, p. 182. 

  10. Kang SI, Park WT, Koo CM, Kim YS. A case study of Multiple Sclerosis.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Semiannual 2002;8(1):34-45. 

  11. Hwang SI, Back DG, Lim EG, Lee YJ, Jung HE, Jo YG, et al. Clinical Study on One Patient with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4;25(3):609-14. 

  12. Heo EJ, Kim JH, Yoon CJ, Ryu HY. A Case of Multiple Sclerosis with Depression.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9;20(2):217-27. 

  13. Kang GS, Hwon GR. Clinical Studies on 5 Cases of Multiple Sclerosis by Acupuncture Therapie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tation Society 2003;20(1):209-17. 

  14. Jeon YT, Park SH, Ko YS. A Clinical Case Report on Multiple Sclerosis Treated by Korean Medicine. The Journal of Korean Korean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4; 9(2):21-33. 

  15. Kurtzke JF. Rating neurological impairment in multiple sclerosis : An expnded disability status scale(EDSS). Neurology 1983;33:1444. 

  16. Berg K, Wood-Dauphinee S, David G.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hy Canada 1989; 41:304-11. 

  17. Kurtzke JF. Eppidermiologic evidence for MS as an infec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993;6:382-427. 

  18. Poser CM, Paty DW, Scheinberg L, McDonald WI, Davis FA, Ebers GC, et al. New diagnostic criteria for multiple sclerosis: guidelines for reserch protocols. Annals of Neurology 1983; 13:227-31. 

  19. McDonald WI, Compston A, Edan G, Goodkin D, Hartung HP, Lublin FD, et al. Recommended diagnostic criteria for multiple sclerosis: guidelines from the international panel on the diagnosis of multiple sclerosis. Annals of Neurology 2001;50 :121-7. 

  20. Kuroiwa Y, Hung TP, Landsborough D, Park CS, Singhal BS. Multiple sclerosis in Asia. Neurology 1977;27:188-92. 

  21. Kim SH, Kim WJ, Kim HJ.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Multiple Sclerosis 2010;1(2):44-51. 

  22. McAlpine D, Compston A. McAlpine's Multiple Sclerosis: Disease modifying treatments in multiple sclerosis. 4th ed.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 2006, p. 351-810. 

  23. Kim YM. Physical Therapy of Multiple Sclero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995;2(2):533-44. 

  24.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Gunja Bookstore: 2011, p. 143-69. 

  25. Lee JD, Kang SG, Lee YH, Go HG, Lee SG, Park DS. The Study on the Hominis Placenta Aqua-acupuncture Solutio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2000;17(1):67-74. 

  26. Yeon MJ, Lee HC, Kim GH, Shim I, Lee HJ, Hahm DH. Therapeutic effect of Hominis placenta injection into an acupuncture point on the inflammatory responses in subchondral bone region of adjuvant-induced polyarthritic rat.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ntin 2003;26(10):1472-7. 

  27. Lee JH, Jo DC, Moon SJ, Kong JC, Park TY, Ko YS, et al. Narrative Review of Clinical Trial on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i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12;22(3):79-88. 

  28. Commitee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Paju: Jipmoondang; 2008, p. 3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