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호우특성과 재해영향을 고려한 호우재해위험도 분석
Analysis of Heavy Rain Hazard Risk Based on Local Heavy Rain Characteristics and Hazard Impact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1, 2017년, pp.37 - 51  

윤준성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고준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우 예측 정확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호우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WMO에서 제시한 영향예보 핵심개념인 재해, 취약성, 노출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별 호우잠재영향을 평가하고 호우발생과 연계하여 호우재해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노출과 취약성 변수로 호우잠재영향을 구성하였고, 호우재해지수는 호우특보 기준에 따라 선정한 3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 지수의 가중치는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호우재해지수는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지수와 실제 호우피해액과의 상관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증명되어 호우잠재영향지수는 실제의 피해양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우재해위험도는 호우잠재영향지수와 호우재해지수로 구성된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호우예특보를 위한 호우영향분석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지역별 호우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mprovement in accuracy of heavy rain forecasting, socioeconomic costs due to heavy rain hazards continue to increase. This i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weather. In this study, the risk of heavy rain hazard was analyzed using the concepts of hazard, vulnerabi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우잠재영향과 호우재해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재해영향을 고려한 차별적 호우예특보를 위한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호우재해영향분석 결과와 호우발생간의 연계를 통하여 지역의 위험도 평가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영향예특보 체계 구축을 위한 기상정보와 공간정보와의 기초적 융합연구로서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WMO(2015)의 영향기반 및 예 ‧ 특보서비스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영향예보 핵심 개념인 재해, 노출, 취약성을 이용하여 호우 재해지수와 호우잠재영향지수를 산정하였고,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호우재해위험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WMO(2015)에서 제시한 복합재해 영향기반 예 ‧ 특보 서비스에 관한 세계기상기구(WMO) 가이드라인의 영향기반 및 영향 예 ‧ 특보 서비스의 핵심요소인 재해, 노출, 취약성 개념을 이용하여 지역의 호우 재해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지역별 재해 영향을 반영한 영향예 ‧ 특보체계 구축을 위한 호우재해 영향분석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호우재해의 영향과 기상의 영향을 연계함으로써 지역의 위험도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우잠재영향과 호우재해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재해영향을 고려한 차별적 호우예특보를 위한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호우재해영향분석 결과와 호우발생간의 연계를 통하여 지역의 위험도 평가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영향예특보 체계 구축을 위한 기상정보와 공간정보와의 기초적 융합연구로서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위험의 세가지 요소 중 첫째, 재해(Hazard)는 수문기상학적 기반의 지구물리학적 요소 또는 인간에 의해 유발되어 사람, 재산,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로 정의하며, 호우로 인한 재해 역시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둘째, 취약성은 재해 발생 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사람과 생계, 재산 등 노출된 요소들의 민감성을 의미한다. 셋째, 노출은 재해 발생 시 영향을 받게 될 지역에서 누가, 무엇이 영향을 받게 될지를 의미한다.
스케일 재조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호우재해(Hazard)지수의 산정은 스케일 재조정(Re-scaling)을 활용하였으며, 호우잠재영향지수의 산정은 Z-스코어(score)를 활용하였다. 스케일 재조정(Re-scaling)은 Dimension Index라고하며 최대-최소값을 이용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으로 모두 동일한 범위(0∼1)를 갖도록 하여 순위화 할 수 있어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4).
기상특보의 주의보와 경보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상청은 기상현상으로 인하여 중대한 재해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될 때 기상특보를 주의보와 경보로 구분하여 발표하고 있다. 주의보는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경우나 사회,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경우, 경보는 중대한 재해가 일어날 수 있을 경우 경고하는 기상정보로 정의하고 있다(WMO 1992). 호우주의보는 호우로 인하여 피해가 다소 예상될 경우 일반국민과 관계기관에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발표하며, 호우 경보는 호우로 인하여 현저한 피해가 예상될 때 일반 국민과 관계기관에 경고하기 위하여 발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립방재연구원. 2011. 지역사회기반 홍수 피해저감지수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NDMI(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1.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NDMI.) 

  2. 김보경, 장대원, 장남, 양동민.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요인 도출. 한국위기관리논집. 7(1):125-142. (Kim BK, Jang DW, Jang N, Yang DM. 2011. Identifying Urban Flood Risk Facto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Crisisonomy. 7(1):125-142.) 

  3. 김지수, 성효현, 최광용. 2013. 도시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615-626. (Kim JS, Sung HH, Choi KY. 2013. Spatial Patterns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in Seoul. Jou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4):615-623.) 

  4. 노형진. 2014. SPSS를 활용한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한올, p. 4-8. (Noh HJ. 2014.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using SPSS. Hanol, p. 4-8.) 

  5. 박상식, 강부식. 2014.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한국방재학회지. 14(5):67-76 (Park SS, Kang BS. 2014. Differentiating Scheme for the storm warning Criteria Considering the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Capacity. J. Korean soc. Hazard Mitig. 14(5):67-76.) 

  6. 박석근. 2006.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 산정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 27-30. (Park SK. 2006. Estimation of Potential Risk for Flood Damage Occurrence[Masters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p.27-30.) 

  7. 송영석, 임채헌, 주진걸, 박무종. 2016. 호우특보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16(2):113-121. (Song YS, Lim CH, Joo JG, Park MJ. 2016. A Study on Heavy Rain Forecast Evaluation Improvement Method. J. Korean soc. Hazard Mitig. 16(2):113-121.) 

  8. 신안국. 2016. 저수지 홍수 재해위험도 평가.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53-54. (Shin AK. 2016. Flood Disaster Risk Evaluation of Reservoir[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p. 53-54.) 

  9.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Yoo KY, Kim IA.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e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0. 임광섭,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2010.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1):61-70. (Lim KS, Choi SJ, Lee DR,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su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0(1):61-70.) 

  11. 이민우, 김태웅, 문건우. 2013.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한국방재학회지. 13(4):245-256 (Lee MW, Kim TW, Moon KW. 2013. Assessment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13(4): 245-256.) 

  12. 이지연. 2009. 주성분 분석을 통해 생성된 대리변수의 정확도 측정.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 42-43. (Lee JY. 2009. Measuring the Accuracy of Proxy Variables with PCA[Master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 42-43.) 

  13. 이창희. 2006.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Lee CH. 2006.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Model in Seoul: Focusing on Flood.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4. 이현종, 류성현, 원상호, 조은주, 김승욱, 조기훈. 2016. 침수피해 영향인자 분석을 통한 호우침수위험도 예측 모델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16(3):39-45. (Lee HJ, Ryu SH, Won SH, Jo EJ, Kim SW, Joe GH. 2016. A Study on Model of Heavy Rain Prediction Using Influencing Factors of Flood Damage. J. Korean soc. Hazard Mitig. 16(3):39-45.) 

  15. 정종혁, 김현욱, 민경석, 한상옥, 심재관. 2014. 피해 및 지리정보 기반 호우 . 대설 재해 취약성 분포 특성 분석. 2014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초록집. p. 165-167. (Jeong, JH, Kim HU, Min KS, Han SO, Shim JK. 2014.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Heavy Snow and Heavy Rain Vulnerability Based on Damag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p. 165-167.) 

  16. 정종혁, 김현욱, 민경석, 한상옥, 심재관. 2014. 피해자료 기반 지역별 호우 . 대설 기상재해 취약성 분석. 2014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초록집. p. 214-215. (Jeong, JH, Kim HU, Min KS, Han SO, Shim JK. 2014. Analysis of Heavy Snow and Heavy Rain Disaster Vulnerability Based on Damage Data.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p. 214-215.) 

  17. 조형진, 김경배. 2015.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위험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 연구: 인천시를 사례로. 기후연구. 10(4):341-354. (Cho HJ, Kim KB. 2015. Assessment of the social Vulnerability in the Climate Change Induced-Flood Risk: Focused on the City of Inche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0(4):341-354.) 

  18. 한승룡, 강나래, 이창수. 2015. 복합위험요소에 대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 한국방재학회지. 15(3):33-43. (Han SR, Kang NR, Lee CS. 2015. Disaster Risk Evaluation for Urban Areas Under Composite Hazard Factors. J. Korean soc. Hazard Mitig. 15(3):33-43.) 

  19. WMO. 2015. WMO Guidelines on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WMO. 1150. 

  20. WMO. 2007. Urban Flood Management. Associated Programme on Flood Management. 1372. 

  21. WMO. 1992. International Meteorological Vocabulary. WMO. 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