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의 등나무 분포 특성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the Wisteria Habitat (No. 176 natural monument) of Beomeosa Temple in Busan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2, 2017년, pp.77 - 86  

이창우 (국립생태원 생물관리연구본부) ,  오해성 (고령군청 환경과) ,  이철호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최병기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에 대한 개체군생태학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지역은 1966년에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자생적 기원을 가지며 등나무가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매우 희귀하여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범어사 등나무군락은 군락지 내의 등나무 분포 현황 및 생태에 대한 해상도 높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등나무군락 내의 개체 분포 현황과 개체군 특성을 확인하고, 보존방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해 범어사 등나무군락과 그 일대를 대상으로 등나무의 분포, 근원직경, 감고 올라가는 방향 및 식물종과 연구지역 내 식물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내 등나무 개체 수는 총 1,158개체가 확인되었고, 등나무의 근원직경은 평균 69.0 mm (${\pm}45.5$), 최대 365 mm로 나타났다. 감는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감는 등나무 40개체가 확인되었다. 등나무의 등반식물종은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동종(同種)인 등나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나무군락은 계곡부에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속적인 교란에 의해 유지 발달하고 있는 군락으로 파악되었다. 현존식생도를 통해 계곡림에 76.6%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서어나무-이대우점림, 칡군락, 소나무우점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포가 배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확산되어가고 있는 등나무개체군과 최대 근원직경을 가지는 등나무의 보호, 지역 서식처 보존 등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후속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천연기념물 제176호 보호 지역의 수정과 서식처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n the population ecology of gregarious Wisteria habitat was conducted in Beomeosa temple, Busan. The area has been protected since it was designated as No. 176 natural monument in 1966. Such a large habitat of native wisteria (Wisteria floribunda DC.) in Korea is very rare so that it has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176호인 범어사 등나무군락의 분포현황 및 개체군 특성과 서식처와의 상관관계 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한반도는 식생지리적으로 등나무군락지의 북한계 분포지역에 해당되므로 국내 최대 자생군락지인 연구지역 내에서의 등나무군락 특성은 추후 종의 유지와 보존을 위해 의미 있는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등나무는 다수 분지(分枝) 생장특성과 입지환경에 따른 포복형 등경성장 등을 고려할 때 흉고직경에 의한 조사법은 적절한 방법으로 고려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근원직경을 통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개체에 대한 정밀 GPS 분포정보를 포함한 현황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Figure 3). 선행연구와의 개체군 분포에 관한 비교를 시도하고자 하였으나 앞선 연구에서 개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분포의 차이에 대해 확인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등나무란 무엇인가?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DC.)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식물로 북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역에 자생 분포한다. 덩굴식물의 특성상 지주식물이 필요하며, 이들 종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휘감아 올라가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등나무가 선호하는 서식처는? 등나무는 토양수분환경과 광환경이 보장되는 온난한 서식처를 선호한다[5][6]. 이러한 특성은 사람이 살기에도 좋은 환경이므로, 선조들은 등나무를 농경지나 부락 형성의 적지를 인식하는 지표로 삼기도 하였다[1].
등나무의 생장 특징은? )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식물로 북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역에 자생 분포한다. 덩굴식물의 특성상 지주식물이 필요하며, 이들 종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휘감아 올라가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지주식물의 특성 및 환경구배에 따라 수고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10m 전후의 덩굴을 형성하며, 4~5월에 연한 자주색의 꽃을 피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Valder, P.(1995). Wisterias: A Comprehensive Guide. Portland: Timber Press. 

  2. Kim, J. W.(2013). The Plant Book of Korea. Vol. 1. Plants Living Close to the Village. Seoul: Nature and Ecology. 

  3. Lee, W. C.(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Seoul: Academy. 

  4. Lee, C. B.(2006). Coloured flora of Korea (I,II). Seoul: Hyangmoonsa. 

  5. Park, C. M.(2006). Effects of Water Conditions and Rhizobium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Wisteria floribunda Seedlings in Slope Soil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25-435 

  6. Kim, K. D.(2012). An Exotic Invasive Liana, Wisteria in Korea. International Proceedings of Chemic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PCBEE). 40: 67-71. 

  7. Jeong, J. M., Park, G. U., Jeong, H. R., Son, S. G., Kim, H. J., Choi, J., Lee, C. H., Sin, C. H., Kim, S. S.(2013). Folk Plant in Korea. Seoul: Korea Disabled Welfare Association. 

  8. Lee, C. Y.(2014). Rattan Forests Healing Conflicts and Wounds in Geumjeongsan, Busan. Forest and culture. 23(2): 26-29. 

  9. Park, S. J.(2009). Essay for Tree of Cultural Heritage. Seoul: King's library. 

  10. Park, J. H.(1993). Studies on the Origin of Korean Folk Medicine.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4(4): 322-327. 

  11. Ju, G. J., Park, S. B., Kim, H. U., Ha, G., Kim, M. G.(1995). Ecology on Mt. Kumjung. Busan: Kumjung. 

  12. Jung, T. G., Park, J. C., So, J. H., & Choi, K. O.(2000).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of Vines by Computer for Green Covering of the Traffic Noise Barrier-Centered on Vines for Green Covering of Highway Traffic Noise Barri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3(3): 37-44. 

  13. Kim, H. G., Kim, Y. S. and Yun, H. J.(2013). 1910's Tap-gol Park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Design Document Interpret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103-117. 

  14. Lee, W. H., Kim, D. H., Kim, J. U. and Shin, H. S.(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arden through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n the 19th Century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21-31. 

  15. Heo, J. C., Park, J. Y., Lee, J. M., Kwon, T. K., Kim. S. U., Chung, S. K., Lee, S. H.(2005). Wistaria floribunda Gall Extract Inhibits Cell Migration in Mouse B16F1 Melanoma Cells by Regulating CD44 Expression and GTP-RhoA Activit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2(1): 10-14. 

  16. Oh, W. G., Jang, I. C., Jeon, G. I., Park, E. J., Park, H. R., Lee, S. C.(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isataria floribunda Flow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6): 677-683. 

  17. Nam, I. J.(2015). Anti-metastatic Effects of Wisteria floribunda Gall Extract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Ph. M.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18.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9. Natural Monuments, Scenic Sites [Plants]. Seoul: Geumgang publication. 

  19. Oh, H. K., Rho, J. H., & Choi, Y. H.(2013). A Study on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Management Methods of Buyongdae on Hahoe Village, Ando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13-27. 

  20. Park, G. H.(2004). A stud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the Taehwa River. Ph. M.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21. Geumjeong-gu office(2014). Research Report to Distribution on Population of Wisterias at Beomeo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22. Kim, M. K., Bae, C. H., Kim, J. W.(1997). Floristic Study on Mt . KumJu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6(2): 165-171. 

  23. Yun, C. W., Bae, K. H., Hong, S. C.(1995).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Agricultural Research Bulleti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3: 31-44. 

  24. Kim, J. W. and Lee, Y, K.(2008).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Seoul: Worldscience Publisher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6. Hutchinga, M. J.(1997). The structure of plant populations. In MJ Crowley (ed.) Plant Ecology. Oxford: Blackwell Science Publication. 

  27. Barbour M.G., MacMahon J.A., Bamberg S.A. & Ludwig J.A.(1977).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Larrea Communities. In Creosote Bush: Biology and Chemistry of Larrea in New World Deserts, US/IBP Synthesis Series 6 (eds T. J. Mabry, J. H. Hunziker & D. R. Difeo, Jr ), pp. 227-251. Halsted Press, New York, USA. 

  28. Yoda, K, Kira, T. Ogawa, H. and Hozumi, H.(1963). Self-thinning in overcrowded pure stands under cultivated and natural conditions. J. Biol. Osoka Univ. 14: 107-129. 

  29. Westoby, M. and Howell, J.(1986). Influence of Population Structure of Self-thinning of Plant Populations. Journal of Ecology. 74: 343-359. 

  30. Harper, J. L.(1964). The individual in the Population. Journal of Ecology. 52 (Supplement):149-158. 

  31. Kery, M., D. Matthies, and H. H. Spillmann(2000). Reduced Fecundity and Offspring Performance in Small Populations of the Declining Grassland Plants Primula Versi and Gentiana Lutea. Journal of Ecology. 88: 17-30. 

  32. Jang, E. J.(2005). Vegetation Research of Old-growth Tree in Gyeongsangbuk-do.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3. Sakai, A., Nomiya, H., & Suzuki, W.(2002). Horizontal Distribution of Stolons of a Temperate Liana Wisteria floribunda DC. and Its Ecological Significance. Journal of Forest Research. 7(3): 125-130. 

  34. Kim, G. T. 2005. Effects of Light Enviroment on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s of Three Broad-leaved Species Growing in the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Ecology. 19(2): 188-192. 

  35. Choi, B. K.(2013). Syntaxonomy and Syngeograpy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6. Trusty, J. L., Lockaby, B. G., Zipperer, W. C., & Goertzen, L. R.(2007). Identity of Naturalised Exotic Wisteria (Fab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Weed Research. 47(6): 479-487. 

  37. Trusty, J. L., Lockaby, B. G., Zipperer, W. C., & Goertzen, L. R.(2008). Horticulture, Hybrid Cultivars and Exotic Plant Invasion: a case study of Wisteria (Faba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8(4): 593-601. 

  3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 Genetic Analysis and Research of Major Biological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Report. 

  39. Jung, Y. K.(1994).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0. Miyawaki, A., Okuda T. and Fujiwara, K.(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Tokyo: Shibundo. 

  41. Edward. E., Clebsch, C. and Busing, T.(1989). Secondary Succession, Gap Dynamics, Southern Appalachian Cove Forest. Ecology. 70(3): 728-735. 

  42. Oh, H. S.(2013).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Juwangsan National Park. Ph. M.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43. Lee, Y. W.(1999).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alley Stand by Life Form Analysis in Surak Valley. Journal of Natural Science. 8(1): 111-125. 

  44. Jung, Y. K. and Kim, J. W.(1997). A comparative Study on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Ecology. 21(1): 81-88. 

  45. Chou, C. H. and Yang, C. M.(1982). Allelopathic Research of Subtropical Vegetation in Taiwan II. Comparative exclusion of understory by Phyllostachys Edulis and Cryptomeria japonic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8(12): 1489-1507. 

  46. Kwak, S. H. and Kil, B. S.(1994). Allelopathic Effect of Chamaecyparis Obtusa on Understory Vegetation in C. obtusa Planta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7(1): 11-22. 

  47. Tseng M. H., Lai, W. R., Hsieh C. L. Kuo and Y. H.(2007). Allelopathy on Bark of Downed Logs of Chamaecyparis obtusa var. formosana (Hayata) Rehder. Journal of Chemical Ecology. 33(6): 1283-1296. 

  48. Cheng, F. and Cheng, Z. H.(2015). Research Progress on the Use of Plant Allelopathy in Agriculture and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Mechanisms of Allelopathy. Frontiers in Plant Science. 17: 1-16. 

  49. Lee, M. D.(2003). Phytosociological Research of Forest Vegetation in Busan Metropolitan City. Ph. M.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50. Barbour, M. G., Burk, J. H., Pitts, W. D., Gilliam, F. S., Schwartz, M. W.(1998). Terrestrial Plant Ecology (3rd edition). San Francisco: Pears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