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가 유형에 따른 농가부채 분석
Analysis of Farm Household Debt by Farm Type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1, 2017년, pp.63 - 81  

강마야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time series, the use by farm type and the causes of farm household debt. First, the mid and long term changes in farm household debt over the past 50 years have increased. Since 2010, the share of non-agricultural debt has exceeded the share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부채란? 농가부채란 농가가 타인자본을 차용한 금액으로서 농업경영자 이외의 채권자가 농가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청구권이고 경영주 입장에서 보면 채무로서 차입금⋅미불금⋅선수금을 말한다. 분류기준으로는 종류에 따라 차입금⋅미불금⋅선수금으로, 성질에 따라 1년 이내 상환여부에 따라 고정부채(단기부채)와 유동부채(장기부채)로, 차입처에 따라 금융기관⋅사채(개인 등)로, 차입용도에 따라 농업용⋅가계용⋅겸업용⋅기타용으로 구성된다(통계청, 2013).
농가부채의 분류기준은? 농가부채란 농가가 타인자본을 차용한 금액으로서 농업경영자 이외의 채권자가 농가에 대하여 지니고 있는 청구권이고 경영주 입장에서 보면 채무로서 차입금⋅미불금⋅선수금을 말한다. 분류기준으로는 종류에 따라 차입금⋅미불금⋅선수금으로, 성질에 따라 1년 이내 상환여부에 따라 고정부채(단기부채)와 유동부채(장기부채)로, 차입처에 따라 금융기관⋅사채(개인 등)로, 차입용도에 따라 농업용⋅가계용⋅겸업용⋅기타용으로 구성된다(통계청, 2013).
농업정책금융은 어떠한 정책인가? 2010년 이후 들어서면서 정책적으로 등장한 것은 농업정책금융이다. 농업정책금융은 농업부문에 필요한 자본 투자자금을 효율적으로 조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부채문제를 직간접적으로 해결할 수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정책이다. 농업정책금융의 지원방식은 특정정책목적으로 저리로 공급하는 대출(이차보전 포함), 농가가 자금을 차입할 시 신용을 보증하는 신용보증,직접투자를 하는 모태펀드 지원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경향신문. (2015). 제주 농가부채 전국보다 갑절 높은 부동의 1위 '왜?',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261736001&code620117 

  2. 고성보. (2008). 제주지역 농가부채의 구조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4(2), 85-97. 

  3. 고영곤, & 김준오. (2009). 농가부채 및 금융문제의 현실과 대책. 서울: GS&J인스티튜트 (Ed.), 농업.농촌 새로운 소득기회로 가는 길을 찾는다 (pp. 1-37). 서울: GS&J인스티튜트. 

  4. 고정숙. (2006). 농촌마을 주민의 경제생활실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3(2), 329-340. 

  5. 권태진, 한석호, 이정민, 반현정, & 김태우. (2011). 2011년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농업전망 2011 (I) (pp. 3-40). 서울: (주) 재준피앤피. 

  6. 김두년, & 이정환. (2008). 농가소득 안정제도 시리즈 7: 함정에 빠진 농가부채대책, 대안은 무엇인가?. 시선집중GS&J, 57, 1-17. 

  7. 김미복, 황의식, & 임지은. (2014). 농업정책금융 및 농신보 제도개선방안 연구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2014년도 기본연구과제 요약 (pp. 1-5).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병률, 김명환, 한석호, 조재성, & 김태우. (2013). 2013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농업전망 2013 (pp. 3-37). 서울: 좋은생각좋은사람들. 

  9. 김정호, 김배성, 송성환, 채광석, 한석호, 반현정, & 장도환. (2010). 2010년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농업전망 2010 (I) (pp. 3-41). 서울: 경희정보인쇄(주). 

  10. 농민신문. (2005). 농가부채 여전히 심각하다, from http://www.nongmin.com/article/ar_print.htm?ar_id110997 

  11. 농수축산신문. (2016). 총선 농정공약, 시장개방?농가부채 대안 제시해야, from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Print.html?idxno117542 

  12. 농촌여성신문. (2016). 농가당 빚 2천787만원 안고 산다, from http://www.rwn.co.kr/news/articlePrint.html?idxno29476 

  13. 뉴시스. (2016). 전남 농가부채 4년만에 41% 증가,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921_0014400588&cID10314&pID10300 

  14. 데일리저널. (2016). 황주홍 의원, "농가부채 나이가 젊은 농가일수록 더욱 심각", from http://www.dailyjn.com/news/articlePrint.html?idxno38918 

  15. 디트뉴스. (2016). 충남 농가부채 2013년 기준 호당 2,668만원, from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_print.html?no367472 

  16. 무안신문. (2016). 농사 '팜푸어'... 농촌경제 갈수록 '팍팍', from http://www.muannews.com/news/articlePrint.html?idxno203031 

  17. 박공주, 윤순덕, & 박정윤(2006). 농촌노인의 경제활동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 13(1), 69-83. 

  18. 박성재, & 황의식. (2003). 농가부채 문제 진단과 중장기 대응방향. KREI 농정연구속보, 2003(4), 1-12. 

  19. 박성재, 김용택, & 황의식. (1999). 중장기 농가부채대책 방향. 연구보고 R405 (pp. 1-163).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서종혁, & 박성재. (1986a). 농가의 자금운용과 부채. 농촌경제, 9(4), 33-46. 

  21. 서종혁, & 박성재. (1986b). 농가재무구조와 부채상환능력분석. 농촌경제, 9(1), 61-74. 

  22. 손상희. (1995). 부채농가의 경제적 대처행동: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3), 133-143. 

  23. 손형섭. (2002a). 전남지역 농가부채의 변동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1992-2002. 농협경제연구, 27, 1-16. 

  24. 손형섭. (2002b). 전남지역 경지규모별 농가부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20(2), 1-21. 

  25. 손형섭. (2003). 농가부채의 장기변동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전남지역의 20년 동안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30(1), 144-160. 

  26. 손형섭. (2004). 도서지역의 농가부채에 관한 조사 연구:임자도.암태도.안마도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4(2), 1-14. 

  27. 손형섭. (2006). 전남지역의 농가부채에 관한 조사 연구. 지역발전연구, 10(1), 111-128. 

  28. 손형섭. (2007a). 24년 동안 농가부채의 변화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전남 4개 지역의 4차례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 25(2), 1-35. 

  29. 손형섭. (2007b). 경지규모별 농가부채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전남지역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 25(1), 1-32. 

  30. 식량닷컴. (2015). '4농가 중 1농가는 절대 빈곤층', from http://www.masongfood.com/news/articlePrint.html?idxno5274 

  31. 오마이뉴스. (2000). 농가부채탕감과 관련한 불필요한 오해,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Articleview/article_print.aspx?cntn_cdA0000024911 

  32. 오마이뉴스. (2002). 제주도, 농가부채 악순환,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Articleview/article_print.aspx?cntn_cdA0000091858 

  33. 오재균. (2001). 농가부채와 자산건전성 결정요인 분석. 박사학위 논문. 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34. 원예산업신문. (2015). 농가부채 농가소득 보다 30배 이상 높아, from http://www.wonyesanup.co.kr/news/articlePrint.html?idxno29928 

  35. 유병서. (1998). 농가부채의 구조변화분석. 농업정책연구, 25(1), 19-31. 

  36. 이병규. (2001). 농가부채의 현황과 농업정책자금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강원:상지대학교대학원. 

  37. 이상래, & 이철희. (2015). 농가부채의 위험성과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42(4), 763-783. 

  38. 이정환. (2009). 농가소득 안정제도 시리즈 9:덫에 걸리농가경제, 무엇이 쟁점인가?. 시선집중 GS&J, 87, 1-12. 

  39. 임소영. (2014). 재정융자제도의 개선과 이차보전 확대방안.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40. 임충규. (2000). 농가부채 경감을 위한 정책적 제언에 관한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18, 125-153. 

  41. 장경호. (2015). 농가소득 문제의 실태진단.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슈보고서, 202, 2-13. 

  42. 정안성, & 오재균. (2000a). 농가의 부채상환능력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0, 129-165. 

  43. 정안성, 이종렬, & 오재균. (2000b). 한국농가의 부채상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1, 97-11. 

  44. 제갈돈, 박재신, & 조상렬. (2005). 농가부채의 실태와 농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안동시 농민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9(3), 73-92. 

  45. 조영숙, 이덕재, 황대용, 박은식, & 고정숙. (2006). 전업.겸업 농가의 가정 내 경제문제 인지의 변화.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3(2), 265-276. 

  46. 조영숙, 황대용, & 이한기. (2007). 농가부부의 의사결정구조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4(2), 373-394. 

  47. 최세균. (1990). 농가부채 요인분석. 농촌경제, 13(3), 93-99. 

  48. 최외윤, & 조덕래. (2000). 서부경남의 농가유형별 부채구조 및 상환능력 조사 분석. 농업경제연구, 41(3), 153-170. 

  49. 최지현, 한석호, 서홍석, 염정완, & 김충현. (2016). 2016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Ed), 농업전망 2016 (I) (pp. 3-40). 나주: 좋은생각좋은사람들. 

  50. 축산경제신문. (2003). 농가부채 근원적 해결 서둘러야, from http://www.chukkyung.co.kr/news/articlePrint.html?idxno438 

  51. 토마토뉴스. (2014). 농림어업 세계 17위..현실은 농가부채 역대 최고, from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53708 

  52. 통계청 보도자료. (2015). 2014년 농가경제조사 결과,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53. 통계청. (2012). 농업부문 표본설계 보고서,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54. 통계청. (2013). 농가경제조사 지침서:2013년.2014년용, p.69,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55. 통계청. (2015). 2014년 농가경제조사 조사개요,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56. 통계청. (각연도). 가계동향조사, from http://kosis.kr/ 

  57. 통계청. (각연도). 농가경제조사 원시자료,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58. 통계청. (각연도). 농림어업조사, from http://kosis.kr/ 

  59. 플러스 코리아. (2016). 농가 당 1억 3,754만원 부채 지녀, from http://www.hani.co.kr/arti/PRINT/660826.html 

  60. 한겨레신문. (2015). 제주 농가부채, 전국 최고수준으로 급증, from http://www.hani.co.kr/arti/PRINT/660826.html 

  61. 한국농어민신문. (2002). 2002 농업전망 설문조사, from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Print.html?idxno56280 

  62. 한국농어민신문. (2003a). 빚...빚...빚...벼랑끝 농촌 (1)참담한 농가부채 현실, from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Print.html?idxno67298 

  63. 한국농어민신문. (2003b). 빚...빚...빚...벼랑끝 농촌 (2) 농가부채 원인, from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Print.html?idxno67299 

  64. 한국농정. (2016). 40년간 농가부채 증가율, 소득보다 30배 높아, from http://www.ikpnews.net/news/articlePrint.html?idxno22968 

  65. 황선호. (2012). 농어가의 부채 대책. in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Ed.), 제19대 국회 농림수산식품분야 주요정책현안 (pp. 91-96). 서울: 국회. 

  66. 황의식, & 박성재. (2000). 농가부채대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향 모색. 농업경제연구, 41(2), 1-23. 

  67. 황의식, 박성재, 김태곤, 박준기, & 문한필. (2005). 농가부채문제 전망과 농가파산 및 회생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과천: 농림부. 

  68. 황홍도. (2002). 농가경제의 위기와 정책과제. 농업생명과학연구, 36(3), 1-18. 

  69. Brian C. B. (2011). The importance of off-farm income to servicing farm debt.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Economic Review, 4(1), 83-102. 

  70. Estenson, P. S. (1987). Farm debt and financial instability. Journal of Economic Issues, 21(2), 617-627. 

  71. El-Osta, H. S., & Morehart, M. J. (2008). Determinants of poverty among U.S. Farm househol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40(1), 1-20. 

  72. Hyman P. M. (1992). The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Levy Economics Institute Working Paper, 74, 1-10. 

  73. Nakomthab, D., & Suwan, C. N. (2006). Thailand's agricultural household debt: Assessment of recent trends. BOT Monthly Workshop, 1-20. 

  74. Narayanamoorthy, M., & Kalamkar, S. S. (2005). Indebtedness of farmer households across states_recent trends, status and determinants. Ind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0(3), 289-301. 

  75. Pietola, K., & Myyra, S., & Heikkila, A.-M. (2011). The penetration of financial instability in agricultural credit and leveraging. Factor Markets Working Paper, 2, 1-19. 

  76. Singh, S., Bhogal, S., & Singh, R. (2014). Magnitude and Determinants of Indebtedness Among Farmers in Punjab. Ind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9(2), 243-25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