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Cluster Analysis by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Predict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Learning Involvement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7 no.1, 2017년, pp.75 - 98  

전은옥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취학 직전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각 군집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 9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39명(남아 120명, 여아 119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 2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계층적 군집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의 수준에 따라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의 4군집이 분류되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하위 요인인 '자기점검', '자기통제'와 어머니의 학습관여 하위 요인인 '존중과 사랑'은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보다 높고, '학업성과압력'은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자기점검'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학업성과압력', '가정학습활동', '존중과 사랑'이 학습능력-기대불안 군집 구분을 예측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lustering using 5-year-old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 and compared the impact of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learning involvement for each cluster. The subjects were 239 children (1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지능과 가정환경을 함께 측정하거나 통제하지 않았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령기 이상 아동과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을 살펴보았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기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과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이 상호작용하여 군집화될 수 있음을 밝혔다. 어머니의 불안 중에서도 자녀에 대한 성취기대와 관련된 특정 불안을 살펴봄으로써 특히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에 부합하면서 시의적절한 시도를 하였다.
  • 본 연구는 취학 직전 만 5세 학급 유아들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각 군집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에 위치한 유치원 총 9기관에서 표집한 만 5세 학급의 유아 239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에 위치한 유치원 총 9기관에서 표집한 만 5세 학급의 유아 239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 이상의 고찰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 수준에 따른 군집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아기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학습능력-기대불안 군집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한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의 참여가 많아졌고,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부적응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김영희, 장래수, 2004)를 보면,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성취기대불안도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이란? 최근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생애 초기 출발점의 평등 보장을 기조로 하는 기초학습능력 지원 계획이 수립되어 기초학습능력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은 학습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 능력으로 장차의 학습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험이다. 그런데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에는 개인차가 나타난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한국의 부모가 자녀를 대리만족의 도구로 인식하는 이유는? 영유아기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줄어든 자녀수에 반비례하여 커지는 추세이다. 한국의 부모는 다른 나라에 비해 자녀의 학업 성취에 강하게 관여하고, 자녀의 학업 성취를 자녀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부모의 문제로 확대 인식하여 자녀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하다(이 민경, 2007; 현정환, 2007). 이에 따라 부모 자신이 이루지 못한 기대 목표를 자녀가 대신 이루어 주길 바라는 기대심리로 인해 자녀를 대리만족의 도구로 인식하기도 한다(한성열, 2008).
자녀 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커지면 나타나는 현상은? 자녀와 관련된 부모의 불안은 다시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녀 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커지면 불안이 강해지고, 자녀의 능력에 대해 낮은 기대를 갖게 되며, 자녀의 과제 수행에 대한 간섭이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Ginsbure, Grover, Cord, & Ialongo, 2006). 반면에,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기대수준 자체는 자녀의 학습능력과 관계가 없다거나(정명숙, 고은미, 2007), 부모의 기대수준이 높을 때 자녀의 학업 성취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권재기, 2001; 김경근, 1996; 김마리아, 2013)도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곽아정(2006).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곽효경, 이종승(2011). 유아 기본학습기능 진단검사의 성취수준 설정. 교육연구논총, 32(1), 1-20. 

  3. 권재기(2001). 아동의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근(1996). 한국 중학생의 학업 성취 결정요인. 교육문제연구, 8, 83-103. 

  5. 김남희, 황해익(2005).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277-296. 

  6.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2009).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2판). 서울: 학지사. 

  7. 김동일, 최종근(2004). 학습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읽기 전 능력검사의 현황과 개발 방향. 교육학연구, 42(3), 275-299. 

  8. 김마리아(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139. 

  9. 김연수(2008).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장래수(2004). 부모의 완벽주의, 우울,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적응행동. 놀이치료연구, 8(1), 118-138. 

  11. 김종백, 김준엽(2009). 학업 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3(2), 389-412. 

  12.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2011). 인간발달과 가족. 서울: 교문사. 

  13. 박영신, 김의철(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 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14.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가 성취에 대한 종단 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화제, 10(3), 37-59. 

  15. 백은정, 김자경(2012).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9(1), 67-88. 

  16. 변수용, 김경근(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17. 손영미(2016).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과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명숙, 옥선화(2010). 취학 직전 유아기 자녀의 학업 교육에 대한 부모 신념과 참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361-384. 

  19. 심미옥(2003).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2), 333-358. 

  20.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1. 위지희(2014).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위지희, 채규만(2015).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4(4), 945-970. 

  23. 이문정(2003). 어머니의 취업유모에 따른 영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173-195. 

  24. 이민경(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25. 이영주(2005).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데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정실(2011). 부모 학습관여와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성취목표가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임선아(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자존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6(1), 121-138. 

  29. 임종석(2000). 부모의 학업압력과 아동의 성취불안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유진(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명숙, 고은미(2007). 교사와 부모의 유아에 대한 학습적.일반적 기대와 유아의 기초학습수행과의 관계. 아동권리연구, 11(3), 497-514. 

  32. 정현숙(2002).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의 행동이 자녀의 학업동기와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진주(2008). 청소년의 애착과 완벽주의성향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순자, 심공창지, 이광형(2006). 육아불안 구조의 국제비교-한국.일본.대만 어머니의 자녀양육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1), 163-176. 

  35. 최은아, 이희선(2012).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이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133-150. 

  36. 추상엽, 임성문(2008).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7), 347-368.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제 2차 '공교육 정상화' 정책 포럼; 초등학교 취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의 실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ORM 2015-7). 

  38. 한성열(2008). 한국문화의 맥락에서 본 교육의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33-46. 

  39. 현정환(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40. 홍영주, 이지연(2012). 부모의 학업 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1(2), 325-342. 

  41. Barkley, R. A.(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42. Blair, C.(2002). School readiness: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American Psychologist, 57(2), 111-127. 

  43. Bronson, M. B.(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ew York: Guilford Press. 

  44. Brownell, C. A., Etheridge, W., Hungerford, A., & Kelley, S.(1997). Socialization of Self-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5. Gallagher, K. C.(2002). Does child temperament moderate the influence of parenting on adjustment?. Developmental Review, 22(4), 623-643. 

  46. Ginsburg, G. S., Grover, R. L., Cord, J. J., & Ialongo, N.(2006). Parenting behaviors among anxious and non-anxious mothers: Relation with concurrent and long-term child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Childand Adolescent Psychology, 35, 323-328. 

  47.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48. O'Shaughnessy, T. E., Lane, K. L., Gresham, F. M., & Beebe-Frankenberger, M. E.(2003). Children placed at risk for learning and behavioral difficulti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4(1), 27-35. 

  49. Sluyter, D., & Salovey, P.(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50. Wilhelm, S., & Steketee, G. S.(2006). Cognitive therapy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 guide for professionals. New Harbinger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