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방정부 해안방제능력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앙정부의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rine Pollution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 Focucing on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4, 2017년, pp.354 - 364  

정재헌 (한국해양대학교) ,  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외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예방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 지방정부 중심의 해안방제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방향 설계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을 진단하고 해안방제 실행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일어났던 대규모 해양오염사고 사례분석을 통해 지방정부가 해안방제를 어떻게 수행했는지를 분석하고, 해안방제에 관한 지방정부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 해양오염사고의 해안방제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단계별 대응체제 구축, 교육훈련 강화, 인적 네트워크 활성화, 방제자원 확보근거 마련, 전담부서 신설 등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방정부의 해안방제관리능력에 관한 연구가 일천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시험적 연구라고 판단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험적 연구로서 다음의 후속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marine pollution preven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both at home and overseas. Against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policy directions to forge an improved system of coastal control for local governments. I have analyzed the coastal pollution response capacity of local gover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점은 본 연구의 분명한 한계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진단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가 일천한 상태에서 개선방안을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측면에서 구분하여 시험적으로 도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모두 타당하다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시험적 연구로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본 연구는 서론에서 밝혔듯이, 국내외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예방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실태를 진단하고 해안방제 실행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형오염사고 국내외 해안방제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 후,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오염사고의 해안방제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과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형 유류오염사고 사례분석과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지방정부 해안방제체제의 실태를 진단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지방정부의 자체적인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과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 실행능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서론에서 밝혔듯이, 국내외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예방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실태를 진단하고 해안방제 실행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형오염사고 국내외 해안방제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 후,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오염사고의 해안방제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과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제조직 및 방제세력의 대응수준 중 지역대응이란? 대규모 해양오염사고는 국가긴급방제계획에 따라 기름의 유출규모와 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방제조직 및 방제세력의 대응수준을 지역대응, 권역대응 및 국가대응의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지역대응은 해양경비안전서 관할내의 방제자원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양오염사고를 말하며, 권역대응은 인접 해양경비안전서 관할내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인접 해양경비안전서의 관할해역에 영향을 미치거나 지방해양경비안전본부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것을 말하며, 국가대응은 전국규모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국가적 또는 국제적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단계를 말한다.
허베이스피리트호 해양오염사고란? 우리나라의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2007년)와 일본의 나호츠카호(Nakhodka) 유류유출사고(1997년) 사례중심으로 두 오염사고의 개요와 사고대응 전반에 대한 차이점을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를 중심으로 제도적, 사고대응 및 협력체제, 방제자원의 배분 및 공유측면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허베이스피리트호 해양오염사고는 2007년 12월 7일 태안군 원북면 신도 남서방 약 5마일 해상에서 예인되던 삼성중공업 소속 크레인 부선 삼성1호가 정박 중인 홍콩선적 1만4천톤급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와 충돌하여 12,547kℓ 의 원유가 유출된 사고이다. 사고 후 약 14시간 만에 태안군 구름포 해안과 만리포 해안이 오염되었으며, 이후 유출유에 의해 Fig.
허베이스피리트호 해양오염사고로 인해 오염된 해안의 규모는? 사고 후 약 14시간 만에 태안군 구름포 해안과 만리포 해안이 오염되었으며, 이후 유출유에 의해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안군 대부분의 해안과 전라도 일부 해안에 이르기까지 약 167km의 해안이 오염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www.law.go.kr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2. Hyun, S. H., B. K Lee and G. O. Kim and B. J. Choo(2009), A Comparative on Disaster Response System of Local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 Administrative Association, Vol. 43, No. 3, pp. 716-741. 

  3. Jeong, H. J., D. G. Kim and G. S. Kown and J. N. Lee(2011), A Study on Shoreline clean-up Assessment Technology Facts for Korea Shoreline,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Spring Conference, pp. 207-213. 

  4. Jeong, H. S.(1994), The Enviromental Administration in the Local Autonomy Era, Korea Policy Data, Vol. 9402, pp. 3-31. 

  5. Jeong, H. S.(2011), The Improvement of Marine Pollution Control System through Hebei Spirit Ship Accident, National Audit Policy Directory. 

  6. Kim, C. S.(2009), Bureaucracy and Network for Marine Pollution Response : Focucing on the Oil Spill Accident of Hebei Spirit, Korea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19, No. 4, pp. 81-112. 

  7. Kim, S. G. and J. H. Jeong(2016), A Study on Proper Size of Pollution Control Staff of Korea Coast Guard, The Korea Associa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Vol. 11, No. 2, pp. 98-115. 

  8. Kim, S. W.(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Model of On-shore Response to Marine Oil Spill Incidents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of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9. Korea.Coast.Guard(2008), The National Contingency Control Plan. 

  10. Korea.Coast.Guard(2008), Marine pollution control casebook. 

  11. Korea.Coast.Guard(2008, 2014), The white paper of Korea Coast Guard. 

  12. Korea.Coast.Guard(2016), Support plan for improving the reponse control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13. Lee, S. B.(2005), A Study on Strengthening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Vol. 9, No. 1, pp. 117-147. 

  14. Mok, J. Y.(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horeline Oil Pollution Response System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Autumn Conference, pp. 23-25. 

  15. Yoon, J. H., M. J. Ha and J. H. Moon(2010), A Study Reformation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shoreline Response,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Spring Conference, pp. 39-44. 

  16. You, Y. H.(2013), The Desirable Improvement Direction of Disaster Marine Pollution Control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9, No. 12, pp. 14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