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일례로, SPI가 극심한 연속가뭄에 대하여 어떠한 평가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간이지만 그림 2~그림 6과 같이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의 기간(총 6년)에 대한 SPI 1개월,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에 대한 산정결과를 월단위 분포도로 정리하여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I는 어떻게 표현되나? SPI는 관측강수가 실제 강수기록에 대한 정규분 포와 적합된 확률분포에 대하여, 장기간의 평균에서 벗어나는 표준편차로 표현된다. 따라서, 우선 적으로 강수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정규 분포에 맞게 변화시키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표준강수지수 SPI가 개발된 이유는?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는 Mckee 등(1993,1995)이 가뭄은 강수량의 부족에 의해 시작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하였다. 최초 Mckee 등은 강수변수만을 가지고 계절단위(단기)부터 다년(장기)간의 다양한 시간간격으로 습하거나 건조한 상태를 평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SPI의 계산의 구성은 어떻게 되나? SPI의 계산조건으로 특정지점에 대하여 30년 이상의 장기간의 강수자료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계산방법은 하나의 빈도분포(예, Gamma)에서 다른 빈도분포(Normal 또는 Gaussian)로의 변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SPI 계산의 첫 번째 과정은 장기 시계열 강수패턴에 신뢰할 수 있게 맞출 수 있는 적합한 특정 확률분포(예, Gamma분 포, 불완전 Beta분포, Mck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민석, 문영일 (2014). 한반도 목표 표준강수지수(SPI)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34, No. 4, pp. 1117-1123. 

  2. 김병식, 성장현, 강현석, 조천호 (2012)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한 남한지역 가뭄심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45, No. 9, pp.887-900. 

  3. 김수현,정은성 (2017)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첨두가뭄지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50, NO. 1, pp.65-73. 

  4. 유지영, 송호용, 김태웅, 안재현 (2013). 일단위 SPI와 ROC분석을 이용한 단기가뭄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33, No. 5, pp.1851-1860. 

  5. 유지영, 김진영, 권현한, 김태웅 (2014)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민감도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34, No. 6, pp.1787-1796. 

  6. 이보람, 성정현, 정은성 (2015).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48, No. 1, pp.69-78. 

  7. Edwards, D. C., and T. B. McKee,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time scales. Climatology Report No. 97-2, Colorado State Univ., Ft. Collins, CO. 

  8.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 Amer. Water Resources Assoc., Vol. 34, No. 1, pp.113-121. 

  9. Guttman, N. 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 calculation algorithm. J. Amer. Water Resources Assoc., Vol. 35, No. 2, pp.311-322. 

  10. Lloyd-Hughes, B., and M. A. Saunders, (2002). A drought climatology for Europe. Int. J. Climatol., DOI:10.1002/joc.846. 

  11.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Eigh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Jan17-23, Anaheim CA, pp.179-186. 

  12.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Nin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Jan15-20, Dallas TX, pp.233-2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