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강수지수와 지하수위의 상관성 평가 및 가뭄관측정 설치 방안 고찰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Groundwater Levels: A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Drought Index Well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1 no.3, 2006년, pp.31 - 42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  윤한흠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김대호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뭄지수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 및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평가하는 방법 중 표준강수지수 (SPI) 를 활용한 가뭄도 산정 결과와 지하수위 관측자료간의 상관성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지하수위 자료를 활용한 가뭄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충 주가금, 양평개군 및 영주문정 관측소 지역에서 가뭄 평가 인자인 표준강수지수와 지하수위는 높은 상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하수위는 표준강수지수 보다 기상 조건에 민감하지 않고 지속성과 영속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뭄 평가 인자로서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지속기간 1개월 표준강수지수 및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의 수위 관측자료 간의 교차상관계수는 충주가금 0.843, 양평개군 0.825 및 영주문정 0.737 등으 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시간 1개월의 경우에는 지하수위 변화와 표준강수지수가 1주일의 범위내에서 동시기적인 특성을 보이는 반면, 지속시간 3개월의 경우에도 지하수위 변화가 표준강수지수 보다 1주일 정도 선행하기 때문에 가뭄 예측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가뭄을 보다 과학적으로 평가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존 국가지하수관측정중에서 가뭄 관측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함과 아울러, 주변의 인위적인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지점에 신규 가뭄 관측정 (DIW, Drought-Index Well)을 설치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및 $Ca^{2+}$의 함량온 양의 상관도를 보여준다. WATEQ4F를 이용하여 포화지수를 계산해 볼 때, 광산부근의 지표수에서 사장석. 방해석. 돌로마이트 및 점토광물들은 대부분 용해성 조건을 가지나, 하류로 가면서 비광산 지역의 지표수가 유입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평형상태로 변한다. 그러나 비광산 지역의 지표수에서는 거의 모든 광물종이 포화상태 또는 침전조건을 나타낸다. 지구화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규명된 잠제적 독성원소들은 광산수계에서 황산염(MS $O_4$$^{2-}$ ) 또는 단독 양이온( $M^{2+}$)으로 존재하나, 비광산 수계에서는 탄산염(C $O_3$$^{-}$) 또는 수산화물(O $H^{-}$) 형태의 복합 음이온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질암이 모암을 이루는 상곡 및 금실광산 부근의 물이 옥천누층군에 속하는 변성퇴적암과 쥬라기의 화강암류가 분포하는 장풍 및 삼덕광산 수계의 물보다 pH가 높고 $Ca^{2+}$, $Mg^{2+}$HC $O_3$$^{-}$의 함량이 많으며 $\delta$D와 $\delta$$^{18}$ O의 조성 또한 무거운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광산폐수에의 오염에 의하여 거의 동일한 수리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을 보인다.t 등을 제정하였다. 미국 서부에서 중국인의 수산업은 미국인의 법적 제재, 중국인의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 등으로 1940년대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ved. Growth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ndices, such as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and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and forecast an intensity of drought. To find the applicability of groundwater level data to a drought assessment, a corre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하수위의 가뭄 평가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사전 분석으로서, 지하수위 변동 자료가 가뭄을 평가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뭄을 정확히 평가.
  •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평가하는 방법 중 표준강수지수 (SPI)를 활용한 가뭄도 산정 결과와 지하수위 관측자료간의 상관성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향후 지하수위 자료를 활용한 가뭄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시계열 자료의 변동은 순환 변동, 겨절 변동, 불규칙 변동 및 선형 변동 등 여러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지하수위 변화와 표준강수지수를 비 교하는 목적으로 단순 선형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보았다.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하수위는 강우 및 지하수 채수 등 지속되어온 변화 상황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시인자가 될 수.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상기 3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지하수위 자료 특성 분석 및 예측을 통하여 가뭄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지표 하천수량의 제한성 때문에, 가뭄의 효과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지하수 저류량 인자가 가뭄을 평가하는데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즉, 지하수 저류량이 크다면 가뭄은 적어질 것이며, 지하수 저류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가뭄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가뭄현상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기후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관측정이 필요시 되며, 이들 가뭄 관측정은 기본적으로 기존 우물이나 지하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인 요인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건설교통부 . 한국수자원공사, 2004a, 지하수관측연보, p. 869 

  2. 건설교통부 . 한국수자원공사, 2004b, 국가 지하수관측망 관리시스템 보고서, p. 411 

  3. 건설교통부 . 한국수자원공사, 2005, 가뭄관리 모니터링체계 수립 보고서, p. 240 

  4. 오광수, 이성덕, 이우리, 2000, 시계열 분석 입문 및 응용, 탐진출판사, 서울, p. 388 

  5. 이명재, 김규범, 손영철, 이진용, 이강근, 2004, 국가 지하수 관측소 지하수위 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40(3), 305-329 

  6. 한국수자원공사, 2001, 2001 전국 가뭄조사 보고서, p. 319 

  7. Alley, W.M., 2001, Groundwater and climate, Ground Water, 39(2), 161-165 

  8. Kim, G.B., 2005, Nationwid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Groundwater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 391 

  9.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s scales, Preprints of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Dallas, TX, p. 233-236 

  10. Taylor, C.J. and Alley, W.M., 2001, Ground-water-level Monitoring and the Importance of Long-term Water-level Data,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217, p. 68 

  11. USGS, homepage, www.usgs.gov 

  12. Wilhite, D.A. and Glantz, M.H., 1993,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 Water International, 10, 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