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간호사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 동향
The Trend of Research on Korean Nurses Stress Program Interven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5 no.2, 2017년, pp.864 - 880  

김원순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오수미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tress intervention program for domestic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28 papers, which were selected from three hundred seventeen dissertation theses on Domestic Dissertations and Major Associated Jou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약 20년간 국내 간호사 대상의 중재연구들의 특성을 5년 단위로 학문 분야별, 대상자, 연구 설계방법, 측정결과변수를 중심으로 연구결과와 변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통하여 최근까지의 간호사 스트레스중재에 대한 국내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간호사 스트레스완화와 간호사 스트레스 관련 행동 심리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사 스트레스 중재에 관한 근거중심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317편의 학위논문 중 23편(82.
  • 본 연구는 간호사 대상의 스트레스 완화 중재 프로그램에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를 학문분야, 연구 설계, 프로그램 내용, 연구 주제, 중재방법에 따른 연구변수의 유의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간호사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간호사 스트레스 프로그램 연구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간호사 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주요 이직 사유는 무엇인가? 우선 간호사의 인력부족과 이직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평균 근속기간과 연령이 낮은 이유는 생명을 다루는 직업의 특성상 업무의 강도가(인력부족, 환자 수, 업무량, 근무형태)가 타 직종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7). 또한 간호사의 주요 이직 사유는 간호 업무 및 간호 환경 등에서 유발되는 업무 스트레스 등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 실제로 보건의료노조 보고서9)에 의하면 간호사의 이직의도 요인으로는 업무과중이 29.
간호사의 평균 근속기간과 연령이 낮은 이유는? 우선 간호사의 인력부족과 이직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평균 근속기간과 연령이 낮은 이유는 생명을 다루는 직업의 특성상 업무의 강도가(인력부족, 환자 수, 업무량, 근무형태)가 타 직종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7). 또한 간호사의 주요 이직 사유는 간호 업무 및 간호 환경 등에서 유발되는 업무 스트레스 등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
간호사 대상의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간호사의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지속될 시에는 간호사는 누적된 피로와 소진을 유발시키며 이직을 유발시킨다10)11)12). 이러한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임상에 남아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스트레스와 더불어 의료사고의 증가로 이어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저하와13)간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14). 또한 간호사의 인력은 대부분 여성으로 기혼여성은 양육, 가정과 일을 양립해야 하는 등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 이렇듯 간호사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는 건강문제와, 이직, 간호의 질과 환자 안전에 대한 위험성 등의 스트레스비용을 초래한다16). 그러므로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방안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ospital Nursing Society.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Healthcare union Final report of health and medical labor status, 2013. 

  2. Needleman J. I. what's good for the patient good for the hospital? Aligning incentive and the business case for nursing, Policy, Politics, & Nursing Practice, 2008;9:80-87. 

  3.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New AACN Data Sho Growth in Doctoral Nursing Programs. 2010 .4. Korea Labour & Society Institue. Improvement of supply and demand of healthcare industry workers and working conditions, 2013. 

  4. Barron, D.(2007). West E, Reeves R. Tied to the job :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007;12:46-51. 

  5.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union. 2015. 

  6. Korea Labour & Society Institue. Improvement of supply and demand of healthcare industry workers and working conditions, 2014. 

  7. Larrabee J,H, Janny MA, Ostrow C, L. Predicting registered nurse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33:271-83. 

  8.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2014. 

  9. Bernerth, J., Walker, H., Harris, S. Change fatigu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new measure. Work & Stress, 2011;25:321-337. 

  10. McMillan, K., Perron, A. Nurses amidst change: The concept of change fatigue offers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change, Policy, Politics, & Nursing Practice, 2013;14:26-32. 

  11. Bang, B,M., Yeong, J,W.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205-213. 

  12. O'Brien-Pallas, L., Murphy, G. T., Shamian, J., Li, X., Hayes, L. J.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Canadian study, Jou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1073-1086. 

  13. Lee S,J. The level of physiological stress in the coding and retrieval stages of information Impact on recall reporting accuracy. Counseling Research, 2013;14:2431-2448. 

  14. Yu, K. Z. Parenting stress, job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nurse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2013;9:5-21. 

  15. Bodenheimer, T., Sinsky, C. From triple to quadruple aim: care of the patient requires care of the provider, The Annals of Family Medicine, 2014;12:573-576. 

  16. Grus, C., & Kishore, S. P. A Multifaceted Systems Approach to Addressing Stress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Beyond, 2017;23:23-27. 

  17. Ketefian, S., Davidson, P., Daly, J., Chang, E., Srisuphan, W. Issues and challenges in international doctoral education in nursing.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05;7:150-156. 

  18. Ahn, J. K., Chebotaryov, S., Choi, J. H., Choi, S., Choi, W., Choi, Y., ... & Joo, K. K. Observation of reactor electron antineutrinos disappearance in the RENO experiment. Physical Review Letters, 2012;108:191-198. 

  19. Kim M,J. The Effect of Recognition and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4. 

  20. Shin, H,R.,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ollege Hospital Nurses cast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3958-3970. 

  21. Vandevala, T., Pavey, L., Chelidoni, O., Chang, N. F., Creagh-Brown, B., Cox, A. Psychological rumination and recovery from work in intensive care professionals: associations with stress, burnout, depression and health, Journal of intensive care, 2017;5:1-28. 

  22. Dude K,B., Koniarek, J.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herenctand post t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mong fire figh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0;13:299-305. 

  23. Kim, Y,H. "EEG results on relaxation effects of aroma therapy"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2005. 

  24. Kim, H.J. The degre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25. Kim, I. S., Jang, Y. K., Park, S. H., & Song, S. 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337-345. 

  26. Park, J.U.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of psychiatric nurs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27. Bae, S, I. Comparison of burnout,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nurses with cancer wards and general wa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4. 

  28. Tahghighi, M., Rees, C. S., Brown, J. A., Breen, L. J., & Hegney, D. (2017). What is the impact of shift work on the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resilience of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7;23-18. 

  29. Yoon, G, S., Kim S,Y. Job stress and burnou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 sincens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507-516. 

  30. Hospital Nursing Society.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Healthcare union Final report of health and medical labor status, 2013. 

  31. Ventegodt, S., Andersen, N. J., & Merrick, J. Holistic medicine IV: principles of existential holistic group therapy and the holistic process of healing in a group setting.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03;3, :1388-1400. 

  32. Hoffmann, S. G., Asnaani, A., Vonk, I. J., Sawyer, A., Fang, A.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review of meta-analyses. Cognit Ther Res, 2012;36:427-440. 

  33. Brunero, S., Cowan, D., Fairbrother, G. Reducing emotional distress in nurse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preliminary program evaluatio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5:109-115. 

  34. Hou, X. L., Wang, H. Z., Guo, C., Gaskin, J., Rost, D. H., Wang, J. L. Psychological resilience can help combat the effect of stress on problematic social networking site usag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17;109:61-66. 

  35. Lloyd, J., Bond, F. W., Flaxman, P. E. Work-related self-efficacy as a moderator of the impact of a worksite stress management training intervention: Intrinsic work motivation as a higher order condition of effec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17;22:115. 

  36. Lazarus R, S. The Psychology of Stress and Coping.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010;2:399-418. 

  37. Luan, X., Wang, P., Hou, W., Chen, L., Lou, F. Job stress and burnout: A comparative study of senior and head nurses in China, Nursing & Health Sciences. 2017. 

  38. Graeff, F. G., Guimaraes, F. S., De Andrade, T. G., & Deakin, J. F.. Role of 5-HT i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1996;54:129-141. 

  39. Lee S,J The level of physiological stress in the coding and retrieval stages of information Impact on recall reporting accuracy. Counseling Research, 2013;14: 2431-2448. 

  40. Brake, D. J., & Bates, G. P. Fatigue in industrial workers under thermal stress on extended shift lengths. Occupational Medicine, 2001;51:456-463. 

  41. Choi, E, S., Min, S, S. Concept analysis of fatigue, Korean Journal of Health Nursing, 2003;9:61-69. 

  42. Morin, C. M., Rodrigue, S., & Ivers, H. Role of stress, arousal, and coping skills in primary insomnia. Psychosomatic medicine, 2003;65:259-267. 

  43. Park, J.U.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 out of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