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
A Study of Nurse's Stress, Symptoms and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3, 2020년, pp.543 - 550  

김중경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조영미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병원 간호사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9월 1일부터 12월 1일까 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평균이 95.05±10.21점, 스트레스 증상은 200.02±50.73점, 이직의도는 39.591±8.3점 이었고,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증상과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사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다학재적 지원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본 연구 결과는 간호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Stress, Stress Symptoms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Method: Data was accumulated from 183 nurses serving at least more than one year in 500 bed order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three months from October 1, to December 30, 2018.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알아보고 간호 인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증상은 유의한 연관이 있었고, 이적의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상의 결과에서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관리방안에 대한 필요성은 많이 제언해 왔으나 간호사의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적, 신경계적 증상을 알아보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스트레스에 따른 스트레스 증상으로 신체적, 신경계적 증상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간호사는 어떠한 직업인가? 임상간호사들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으로 업무상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이다. 특히 간호사를 둘러싼 주위 환경을 살펴보면 결혼 후의 양육문제, 간호 전문직에 대한 사회의 인식 부족, 양질의 간호를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1] 감염질환, 생물학적 위험 및 발암 물질, 심리적 요구, 교대근무 등 직업상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들에 노출되어 있어 [2] 이러한 과정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는 다 른 전문직 보다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했을 때 그 대상자는? 본 연구는 간호사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이직의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병원 간호사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9월 1일부터 12월 1일까 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
간호사를 둘러싼 주위 환경은 어떠한가? 임상간호사들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으로 업무상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이다. 특히 간호사를 둘러싼 주위 환경을 살펴보면 결혼 후의 양육문제, 간호 전문직에 대한 사회의 인식 부족, 양질의 간호를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1] 감염질환, 생물학적 위험 및 발암 물질, 심리적 요구, 교대근무 등 직업상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들에 노출되어 있어 [2] 이러한 과정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는 다 른 전문직 보다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K. Ko, The Level of Stress of Dimens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17, No.3, pp. 227-236, (2009). 

  2. P. A. Ratner, R. Sawatzky,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u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 Vol.20, No.3, pp. 53-61(2009) 

  3. K. J. Hong, S. Tokunaga, T. Kajiuchi, with plant-derived biosurfactant for recovery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Chemosphere", Vol.49, No.4, pp. 379-387, (2002) 

  4. H. K. Lee, C. Y. Nam, The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21, No.4, pp. 490-498, (2015). 

  5. K. Y. Ah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J Korean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10, No.2, pp. 25-31, (2008). 

  6. G. S. Yoon, S. Y. Kim,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16, No.4, pp. 507-516, (2010). 

  7. M. R. Kim,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Seoul, (2007). 

  8. S. J. Yoon, T. S. Kim, J. H. Chae, Understanding Stress by Neuroscience, "J Korean Acad Fam Med", Vol.26, No.8, pp. 439-450, (2005). 

  9. J. H. Kim, M. Y. Hyun, Y. S. Kim,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16, No.1, pp.26-36, (2010). 

  10. J. K. Park, S. H. Jang, D. S. Kim,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risk factors in general hospital nurses: Nursing task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2010) 

  11. W. H. Lee, C.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36, No.6, pp.925-932, (2006). 

  12. P. A. Ratner, R. Sawatzky,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u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 Vol.20, No.3, pp. 53-61, (2009). 

  13. H. Wu, T. S. Chi, L. Che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survey, "J Adv Nurs", Vol.66, No.3, pp.627-634, (2010). 

  14. K. A. King, R. Vidourek, M. Schwiebert, Disordered eating and job stress among nurses. "J Nurs Manag". Vol.17, No.7, pp. 861-869, (2009). 

  15. M. J. Kim, M. O. Koo,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14, No.2, pp. 19-27, (1985). 

  16. Y. O. Park,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Seoul, (2008). 

  17. S. W. Lee, A study on stress responses of Korean-American, "J Korean Acad. Nurs", Vol.22, No.2, pp. 238-247, (1992). 

  18. Y. R. Kim,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ncolog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7). 

  19. Y. S. Park, Perceived Stress Type, Physical Symptoms and Happiness of Nurses: Based on RN-BSN Learner of Distance Education University, "Korean J Stress Res", Vol.22, No.4, pp. 221-230, (2014). 

  20. W. H, Lee, C.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Vol.36, No.6, pp. 925-932, (2006). 

  21. E. A. Ji, J. S. Kim, Factor Influencing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Length of Service, "J Korean Acad Nurs Adm", Vol.24, No.1, pp. 51-60, (2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