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Fei, Ye & Huang, 1991) 유생의 서식지 면적에 따른 생장률 연구
The Effect of Habitat Size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Larvae's Growth Rate in Mt. Surak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2, 2017년, pp.75 - 82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엄예원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안치경 (녹인)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서식지의 면적이 계곡산개구리 (Rana huarenensis)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 계곡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계곡을 계곡산개구리 서식지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가장 좁은 면적의 S1($3.91m^2$), 중간 면적의 S2($4.42m^2$), 가장 넓은 면적의 S3($38.37m^2$), 3곳으로 나눈 후 각 조사지역에서 3월부터 6월까지 주 2회 15개체의 계곡산개구리 유생을 무작위로 포획하여 개체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계곡의 습도, 기온, 수온을 측정하였다. 부화율은 S2지점에서 세 개의 난괴를 채집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구별 서식지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실험기간 중 강우량이 적었기 때문에 모든 실험구의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였으며, S2지점은 눈에 띄게 줄어 들지 않았으나, S1은 원래 서식지의 4분의 1이 줄어들었으며 S3지점은 2분의 1이 감소하였다. 실험구별 평균대기습도와, 실험구별 평균기온, 실험구별 평균수온은 F-test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부화율은 $76.84{\pm}18.23%$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구별 유생 개체의 길이를 측정 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서식지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개체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F-test p< 0.05). 발생기간을 측정한 결과,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발생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구별 아성체 개체의 평균 길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의 길이는 S1, S3, S2순서로 증가하였다. 서식지 면적 변화가 없었던 S2의 개체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본 연구를 통해 계곡산개구리의 서식지 면적의 민감성을 알 수 있었다 (F-test p<0.05).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의 차이가 계곡산개구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계곡산개구리 개체군의 서식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executed to know the effect of the habitat size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larvae's growth. We've conducted the study on Mt. Surak in Sanggye-dong, Nowon-gu, Seoul. Our study site was discriminated the huanren brown frog larvae's habitat into the three different areas,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양서류 중 척삭동물문 양서강 무미목개구리과에 속해있는 계곡산개구리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를 통하여 자연 서식지에서의 계곡산개구리 알의 부화율, 개체의 길이, 아성체 개체의 길이, 평균 대기습도, 기온, 수온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길이가 길어질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양서류 중 척삭동물문 양서강 무미목개구리과에 속해있는 계곡산개구리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를 통하여 자연 서식지에서의 계곡산개구리 알의 부화율, 개체의 길이, 아성체 개체의 길이, 평균 대기습도, 기온, 수온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길이가 길어질 것이다.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변태기간이 줄어들 것이다.
  •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길이가 길어질 것이다.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변태기간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부화율이 82.
  •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변태기간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부화율이 82.6% 이하일 것이다. 이때 부화율의 설정은 N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서류의 생태 구성적 특성은 무엇인가? 양서류는 생태계 구성에 있어서 먹이사슬의 중간단계에 있으며,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류군으로, 육상 및 수서 곤충을 포식하며 생활하고 파충류, 포유류, 조류의 주요 먹이원이 된다 (Song et al. 2009).
계곡산개구리의 산란분포 고도는 어디인가? 1997). 한국산개구리의 산란분포는 고도 200 m이하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계곡산개구리의 경우, 200 m에서 1,000 m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양서류의 서식지의 산란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기후변화에 대한 생물모니터링에 있어서도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Gye 2003).
양서류가 습지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생물 지표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양서류 유생은 수중생태계의 1차 소비자이자, 상위 포식자의 중요한 먹이 자원이며, 성체는 육상과 수생생태계의 먹이사슬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양서류는 피부호흡을 하고 유생에서 성체로 변태하는 시기에 취약하며, 산란된 알이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양서류는 환경변화를 감지하고 (Lip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ebee, T.J. and Griffiths, R.A. 2005. The amphibian decline crisis: a watershed for conservation biology?. Biological Conservation 125(3), 271-285. 

  2. Blaustein, A.R. and Wake, D.B. 1995. The puzzle of declining amphibian populations. Scientific American 272(4), 52-57. 

  3. Blaustein, A.R., Wake, D.B., and Sousa, W.P. 1994. Amphibian declines: judging stability, persistence, and susceptibility of popula- tions to local and global extinctions. Conserv Biol 8: 60-71. 

  4. Blaustein, A.R. and Wake, D.B. 1990. Declining amphibian populations: a global phenomenon? Trends Ecol Evol 5: 203-204. 

  5. Carey, C. and Alexander, M.A. 2003. Climate change and amphibian declines: is there a link? Divers Distrib 9: 111-121. 

  6. Cogger, H.G., Zweifel, R.G., and Kirshner, D. 1998. Encyclopedia of reptiles & amphibians. Weldon Owen. 

  7. Collins, J.P. and Storfer, A. 2003. Global amphibian declines: sorting the hypotheses. Divers Distrib 9: 89-98. 

  8. Kim, E.J. and Chung, H. 2014. A Study on Body Condition by Habitat in Larvae Korea Salamander. Korean J. Environ. Biol 32(1), 68-74. (in Korean) 

  9. Houlahan, J.E., Findley, C.S., Schmidt, B.R., Meyer, A.H. and Kuzmin, S.L. 2000. Quantitative evidence for global amphibian popula- tion declines. Nature 404: 752-755. 

  10. Song, J.E. and Lee, I.S. 2009. Elevation Distribution of Korean Amphibians. The Korean Society of Herpetologists 1.1: 15-19. (in Korean) 

  11. Song, J.E., Kim, M.S., Kim, I.S., Kim, H.T., Roh, I., Seo, S.W., Seo, E.K., Seo, J.K., Yang, J.Y., Woo, K.D., Won, H.J., lee, Y.G., Lim, Y.H., Han, S.H. and Moon, M.G. 2009. Roadkill of Amphibians in the Korea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187-193. (in Korean) 

  12. Ji, W. and Jeske, C. 2000. Spatial modeling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wildlife populations: a case study in the lower Mississippi river region. Ecological Modelling 132(1): 95-104. 

  13. Heo, J.H., li-hun Kim, kim, J.K., lee, H.J., Jeong, S.M., Ra, N.Y., lee, J.H. and Park. D.S., 2013. Climate Parameters Influencing the Breeding Migration of Rana Huarenensis and Hynobius leechii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 Korean Society of Herpetologists: 35-36. (in Korean) 

  14. Kiesecker, J.M., Blaustein, A.R. and Belden, L.K. 2001. Complex causes of amphibian declines. Nature 410: 681-683. 

  15. La Marca, E., Lips, K.R., Lotters, S., Puschendorf, R., Ibanez, R., Rueda-Almonacid, J.V., Schulte, R., Marty, C., Castro, F., Manzanilla-Puppo, J., Garcfa-Perez, J.E., Bolanos, F., Chaves, G., Pounds, J.A., Toral, E. and Young, B.E. 2005. Catastrophic population declines and extinctions in neotropical Harle- quin frogs (Bufonidae: Atelopus). Biotropica 37: 190-201. 

  16. Laurance, W.F. 1996. Catastrophic declines of Australian rain- forest frogs: is unusual weather responsible? Biol Conserv 77: 203-212. 

  17. Li, W., Wang, Z., Ma, Z., and Tang, H. 1997. A regression model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d-crown crane in yancheng Biosphere Reserve. China. Ecological Modelling 103(2): 115-121. (in Chinese) 

  18. Lindenmayer, D.B., Cunningham, R.B., Pope, M.L. and Doonnelly, C.F. 1999. The response of arboreal marsupials to landscape context: a large-scale fragmentation study. Ecological Application 9: 594-611. 

  19. Lips, K.R. 1998. Decline of a tropical montane amphibian fauna. Conserv Biol 12: 106-117. 

  20. Lips, K.R., Reaser, J.K. Young, B.E. and Ibanez, R. 2001. Amphibian monitoring in latin america; a protocol manual.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21. Marsh, D.M. and Perman. P.B. 1997.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the abundance of two species of Leptodactylid frogs in an Andean montane forest. Conservation Biology 11: 1323-1328. 

  22. Myung. C.G. 2003. Amphibian Fauna in the Mt. Myungj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1.2: 203-207. (in Korean) 

  23. Pausas, J. G., Braiyhwaite. L.W. and Austin. M.P. 1995. Modelling habitat quality for arboreal marsupials in the South Coastal forests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78: 39-49. 

  24. Pearman, P.B. 1997. Correlates of amphibian diversity in an altered landscape of Amazonian Ecuador. Conservation Biology 11: 1211-1225. 

  25. Pearman, P.B. 1993. Effects of habitat size on tadpole populations. Ecology: 1982-1991. 

  26. Pounds, J.A. 2001. Climate and amphibian declines. Nature 410: 639-640. 

  27. Pounds, J.A. and Crump. M.L. 1994. Amphibian declines and climate disturbance: the case of the golden toad and the harlequin frog. Conserv Biol 8: 72-85. 

  28. Root, T.L., Price, J.T., Hall, K.R., Schneider, S.H., Rosenzweig, C. and Pounds, J.A. 2003. Fingerprints of global warming on wild animals and plants. Nature, 421(6918), 57-60. 

  29. Saunders, D.A., Arnoil, G. W., Burbidge, A.A. and Hopkins, A.J.M. 1987. Nature Conservation: The Role of Remnats Of Native Vegetation. Surrey Beatty and Sons, Chipping Norton. 

  30. Stuart, S.N., Chanson, J.S., Cox, N.A., Young, B.E., Rodngues, A.S.L., Fischman, D.L. and Waller, R.W. 2004. Status and trends of amphibian declines and extinctions worldwide. Science 306: 1783-1786. 

  31. Na, S.M., Hwang, J.S., Jeon, H.J., Kim, H.J., An, C.K. and Yi, H.B. 2015.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renensis. Fei, Ye & Huang, 1991)'s growth. Cheongchonnongchon. 17, 271-288. (in Korean) 

  32. Na, S.N., Shim, J.E., Kim, H.J., An, C.K. and Yi, H.B. 2015.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in our research facility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egg's hatching rate, hatching periods, and larvae's growth.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3), 320-324. (in Korean) 

  33. Wyman, R.L. 1990. What's happening to the amphibians? Conservation Biology 4: 350-3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