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이온성 액체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Al2O3 복합체 분리막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Al2O3 Composite Membrane for CO2 Separation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3, 2017년, pp.226 - 231  

윤기완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강상욱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해 이온성 액체/금속 산화물 복합막이 제조되었으며, 이온성 액체로서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_4{^-}$)와 금속산화물로서 $Al_2O_3$가 사용되었다. 13 nm의 $Al_2O_3$가 이온성 액체 $BMIM^+BF_4{^-}$에 도입되었을 때, 복합체 분리막의 성능은 $CO_2/N_2$ 선택도 30.5과 $CO_2$ 투과도 45.7 GPU로 관찰되었다. neat $BMIM^+BF_4{^-}$ 분리막의 성능($CO_2/N_2$ 선택도 5와 $CO_2$ 투과도 17 GPU)에 비해서 성능이 증가한 이유는 $Al_2O_3$의 옥사이드 층과 이온성 액체 내 자유로운 이온농도의 상승으로 인해 $CO_2$ 용해도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l_2O_3$ 나노입자는 질소 기체에 대해서 장애물로서 작용함으로써 질소기체의 투과도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_4{^-}$) and $Al_2O_3$ as metal oxide for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 were utilized for the $CO_2$ separation. When 13 nm $Al_2O_3$ nanoparticles were incorporated into ionic liquid $BM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연구팀은 CO2 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다른 나노 산화물을 연구하였다. 이번 논문에서는 CO2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나노금속 산화물로서 Al2O3 입자를 선택하였고, 이온성 액체에 첨가된 BMIM+BF4-/Al2O3 복합막을 제조하여 연구하였다. 분리막 내에서 잘 분산된 Al2O3 나노입자는Al2O3로부터 생성된 옥사이드 층 때문에 CO2 분자와강한 친화성을 가지기 때문에 분산된 Al2O3 표면이CO2 용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가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는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가? 1960년부터 2010년까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꾸준히 증가해 310에서 390 ppm 수준까지 증가하였다[2]. 이렇듯 증가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는 홍수, 허리케인, 가뭄과 대량의 빙하가 녹는 등 자연 재해의 강도와 발생회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3].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방법은 대기의 탄소 순환을 완성시키는 새로운 방법이다.
이온성 액체의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이온성 액체(ILs)를 사용한 분리막이 기존의 이산화탄소 흡착 및 저장을 대체할 새로운 방법으로 대두되었다. 이온성 액체는 화학의 여러 분야에 적용가능한 용매로 사용되고 있는데, 낮은 용융점과 휘발성, 열적 안정성, 비발화성, 높은 이온 전도도 등 독특한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12-15]. 이러한 특성들 외에도 이온성 액체는 뛰어난 CO2 용해성, 메테인, 질소 등과 연관된 선택성 때문에, 이온성 액체는 CO2 분리를 위한 대안으로 높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16].
Dicar-boxylate 기반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이 완전히 deproton 되었을 때, 선택적인 CO2 분리를 위한 효과적인 운반체로 작용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Dicar-boxylate 기반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이 완전히 deproton 되었을 때, 이것은 선택적인 CO2 분리를 위한 효과적인 운반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trie-thylbutylammonium malonate ([N2224]2[malonate])와 tri-ethylbutylammonium maleate ([N2224]2[maleate]) 속에서CO2 투과도는 2147-2480 barrers 사이로 나타났으며, CO2/N2, CO2/CH4 투과선택도는 각각 178-265와 98-221의 결과가 보고되었다[23]. 그리고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나노금속 산화물이 이온성 액체에 도입되었을 때, 나노 금속 산화물이 분산된 이온성 액체를 기반으로 한 이산화탄소 분리막은 급격히 증가한 CO2 투과도와CO2/N2 선택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 R. Raupach, G. Marland, P. Ciais, C. Le Quere, J. G. Canadell, G. Klepper, and C. B. Field, "Global and regional drivers of accelerating $CO_2$ emissions", Proc. Natl. Acad. Sci. U. S. A., 104, 10288 (2007). 

  2. J.-R. Li, Y. Ma, M. C. McCarthy, J. Sculley, J. Yu, H.-K. Jeong, P. B. Balbuena, and H.-C. Zhou, "Carbon dioxide capture-related gas adsorption and separation in metal-organic frameworks", Coord. Chem. Rev., 255, 1791 (2011). 

  3. M. L. Parry,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 D. Keith, "Why capture $CO_2$ from the atmosphere", Science, 325, 1654 (2009). 

  5. M. S. A. Rahaman, L. H. Cheng, X. H. Xu, L. Zhang, and H. L. Chen, "A review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utilization by membrane integrated microalgal cultivation processes", Renew. Sustain. Ener. Rev., 15, 4002 (2011). 

  6. D. M. D'Alessandro, B. Smit, and J. R. Long, "Carbon dioxide capture: Prospects for new materials", Angew. Chem. Int. Ed., 49, 6058 (2010). 

  7. Q. Wang, J. Luo, Z. Zhong, and A. Borgna, " $CO_2$ capture by solid adsorbents and their applications: current status and new trends", Energy Environ. Sci., 4, 42 (2011). 

  8. E. S. Rubin, " $CO_2$ capture and transport", Elements, 4, 311 (2008). 

  9. H. Chen, G. Obuskovic, S. Majumdar, and K. Sirkar, "Immobilized glycerol-based liquid membranes in hollow fibers for selective $CO_2$ separation from $CO_2$ - $N_2$ mixtures", J. Membr. Sci., 183, 75 (2001). 

  10. O. Karvan, J. R. Johnson, P. Williams, and W. Koros, "A pilot­scale system for carbon molecular sieve hollow fiber membrane manufacturing", Chem. Eng. Technol., 36, 53 (2013). 

  11. A. S. Kovvali and K. Sirkar, "Dendrimer liquid membranes: $CO_2$ separation from gas mixtures", Ind. Eng. Chem. Res., 40, 2502 (2001). 

  12. M. J. Earle, J. M. S. S. Esperanca, M. A. Gilea, J. N. Canongia Lopes, L. P. N. Rebelo, J. W. Magee, K. R. Seddon, and J. A. Widegren, "The distillation and volatility of ionic liquids", Nature, 439, 831 (2006). 

  13. J. L. Anderson, R. Ding, A. Ellern, and D. W. Armstrong, "Structure and properties of high stability geminal dicationic ionic liquids", J. Am. Chem. Soc., 127, 593 (2005). 

  14. M. Smiglak, W. M. Reichert, J. D. Holbrey, J. S. Wilkes, L. Sun, J. S. Thrasher, K. Kirichenko, S. Singh, A. R. Katritzky, and R. D. Rogers, "Combustible ionic liquids by design: is laboratory safety another ionic liquid myth", Chem. Commun., 24, 2554 (2006). 

  15. H. Ohno, M. Yoshizawa, and T. Mizumo, "in Electrochemical Aspects of Ionic Liquids, ed. H. Ohno,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2005). 

  16. C. Cadena, J. L. Anthony, J. K. Shah, T. I. Morrow, J. F. Brennecke, and E. J. Maginn, "Why is $CO_2$ so soluble in imidazolium-based ionic liquids", J. Am. Chem. Soc., 126, 5300 (2004). 

  17. J. L. Anthony, J. L. Anderson, E. J. Maginn, and J. F. Brennecke, "Anion Effects on Gas Solubility in Ionic Liquids", J. Phys. Chem. B, 109, 6366 (2005). 

  18. J. L. Anderson, J. K. Dixon, and J. F. Brennecke, "Solubility of $CO_2$ , $CH_4$ , $C_2H_6$ , $C_2H_4$ $O_2$ , and $N_2$ in 1-hexyl-3-methylpyridi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 imide: Comparison to other ionic liquids", Acc. Chem. Res., 40, 1208 (2007). 

  19. M. J. Muldoon, S. N. V. K. Aki, J. L. Anderson, J. K. Dixon, and J. F. Brennecke, "Improving carbon dioxide solubility in ionic liquids", J. Phys. Chem. B, 111, 9001 (2007). 

  20. C. Wang, X. Luo, H. Luo, D.-e. Jiang, H. Li, and S. Dai, "Tuning the Basicity of Ionic Liquids for Equimolar $CO_2$ Capture", Angew. Chem., Int. Ed., 50, 4918 (2011). 

  21. G. Wang, W. Hou, F. Xiao, J. Geng, Y. Wu, and Z. Zhang, "Lowviscosity triethylbutylammonium acetate as a task-specific ionic liquid for reversible $CO_2$ absorption", J. Chem. Eng. Data., 56, 1125 (2011). 

  22. S. D. Yoo, J. Won, S. W. Kang, Y. S. Kang, and S, Nagase, " $CO_2$ separation membranes using ionic liquids in a Nafion matrix", J. Membr. Sci., 363, 72 (2010). 

  23. K. Huang, X. M. Zhang, Y. X, Li, Y. T. Wu, and X. B. Hu, "Facilitated separation of $CO_2$ and $SO_2$ through supported liquid membranes using carboxylate- based ionic liquids", J. Membr. Sci., 471, 227 (2014). 

  24. D. H. Ji, Y. S. Kang, and S. W. Kang, "Accelerated $CO_2$ transport on surface of AgO nanoparticles in ionic liquid $BMIMBF_4$ ", Sci. Rep., 5, 16362 (2015). 

  25. K. W. Yoon, H. Kim, Y. S. Kang, and S. W. Kang,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zinc oxide composite membrane for high $CO_2$ separation performance", Chem. Eng. J., 320, 5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