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재질분석 및 사용성 연구
A Study on Material Analysis with Usability for Virtual Costume Hanbok in Digital Fashion Show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351 - 358  

안덕기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  정진헌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패션쇼를 근간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접목, 새로운 형식의 패션쇼로 최근 연구되는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제작과 관련된 연구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을 소재로, 디지털 패션쇼를 진행하기 위한 가상의 한복의 제작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재질들을 분석하고, 사실성 검증을 위하여 전문집단 그룹을 통한 사용성 통계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가상 한복 제작에 요구되는 세 가지 필수 재질인 두께, 무게 그리고 색상을 정리한 후, 3D 한복의상을 제작하여 실재 복원된 한복 의상들과 비교, 40명의 피실험자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성 통계수치를 통한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성 통계의 분석을 통한 매우 긍정적인 만족도 결과는, 향후 디지털 패션쇼 가상의복의 제작에 필요한 구체적인 재질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eks to propose the virtual costume's pipeline production in digital fashion show which i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 combining computer graphic technology and traditional fashion design. This study analyzed the fabric material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o create a v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order to present design guidelines for efficient production methods during digital fashion show's costume usability,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related studies of digital fashion show and the material analysis in virtual costume creation process as the conduction of precedent research[6].
  • This study focuses on the manufacturing steps of virtual Hanbok where the thickness, weight, and color are adjusted in the materials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dure development in order to extract the sources for the usability survey research based on graphical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our different virtual costume of Hanbok. This study also provides the satisfaction result of virtual fabric material attributes through the range of selected group of forty fashion and graphic experts.
  •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extend the knowledge of essential forms of digital fashion costume's usability by enhancing the virtual fabric materials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efficient production methods for both fashion and graphic designers who are planning to produce the virtual Hanbok in 3D fashion sho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 R. Seo, and A. K. Kim, "Fashion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game charact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343-349, 2015. 

  2. T. K. Kwak,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lothing development tre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 13, No, 1, 141-157, 2013. 

  3. C. Qiu, and Y. Hu,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future fashion design", Americ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Research, Vol. 4, No. 12, pp.126-130, 2014. 

  4. J. H. Jang, "New conditions and definition of images in digital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5, No. 2, 155-165, 2007. 

  5. H. K. No, "A study on the field fashion styling and fashion stylists's rol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 531-537, 2014. 

  6. S. K Lee, and S. Y. le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hapes 3D apparel CAD virtual clothing and actual clothing",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Vol. 30, pp. 255-264, 2011. 

  7. S. H. Wu, and C. Y. Kim, "A study on 3D virtual clothing by utilizing digital fashion show",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6, No. 4, pp. 529-537, 2013. 

  8. https://en.wikipedia.org/wiki/Digital_fashion 

  9. Y. H. Na, and S. J. Kim, "The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 expressivity of movie clothing and 3D virtual clothing", Journal of Korea Society Cloth Industry, Vol. 14, No. 1, pp. 1-12, 2012. 

  10. https://www.youtube.com/watch?vC-1PlzOuphg 

  11. S. R Kim, and D. K. Ahn, "Analysis of substantial visual elements in 3D digital fashion show",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Vol. 57, No. 0, pp. 306-320, 2016. 

  12. http://www.kook-hyang.com/index.php 

  13. Helen Joseph Armstrong,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 Pearson", 2009. 

  14. Jenny Udale, "Basic Fashion Design 02. Fairchild Books", 2008. 

  15. Melanie Bowles, Ceri Isaac, "Digital Textile Design", Laurence King Publishing, 2009. 

  16. D. Y. Lee, and J. C. Jo, "User sentiment analysis on Amazon fashion product review using word embedd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4, 1-8, 2017. 

  17. H. K. Lee, and E. H. Shin,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187-197, 2015. 

  18. H. S. Kim, and S. H. Lee, "Multi-path virtual network resource allocation with shared backup bandwidth", Journal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6, No. 4, 17-2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