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학적 가뭄감시를 위한 하천유량 기반 가뭄지수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Index based on Streamflow for Monitoring Hydrological Drought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7 no.4, 2017년, pp.669 - 680  

유지영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김정엽 (한강홍수통제소 수자원정보센터) ,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갈수관리를 위한 기준유량과 가뭄지수와의 일관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 홍수통제소에서 고시한 37개 갈수예보 관리지점 중 섬진강 수계의 구례2지점과 형산강 수계의 안강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관측된 일별 유량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더불어 인근 기상관측소 남원지점과 포항지점의 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유량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문학적 가뭄상황을 재현해줄 수 있는 유량누가가뭄지수(SADI)를 개발하였다. SADI는 유량패턴의 변동시점(Change-Point) 분석을 통해 가뭄절단수준을 결정하였고, 또한 감소계수 추정을 위해 핵밀도함수를 이용하였다. 이처럼 계산된 SADI는 표준유출지수(SRI), 표준강수지수(SPI)와 비교되었으며, 이 중 SRI와 SPI는 30일, 90일, 180일, 270일 시간단위에 대한 가뭄지수를 모두 산정한 후,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갈수예보 기준유량과 일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단위를 최종 결정하였다. 갈수예보 지점의 관심단계 예보기준유량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가뭄지수와의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섬진강 수계의 구례2지점은 SADI_C3, SRI30, SADI_C1, SADI_C2, SPI90의 순으로 갈수예보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산강 수계의 안강지점은 SADI_C3, SADI_C1, SPI270, SRI30, SADI_C2의 순으로 갈수예보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consistency of the standard flow to forecast low-flow based on various drought indic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streamflow data at the Gurye2 station located in the Seomjin River and the Angang station located in the Hyeongsan River, as well as rainfall data of n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가뭄을 모니터링하고 하천의 갈수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인 유량누가가뭄지수(Streamflow Accumulation Drought Index, SADI)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SADI의 실제 갈수관리 업무 활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홍수통제소의 갈수예보 기준 지점(섬진강 수계의 구례2 지점, 형산강 수계의 안강 지점) 기준유량에 따른 갈수 판단결과와 ROC 곡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수누가가뭄지수란 무엇인가? 강수누가가뭄지수(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 RADI)는 누적강수량의 장기간 패턴을 연속적으로 고려하여 장기간의 자료연한(30년)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안된 가뭄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RADI의 방법론이 하천유량에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강수량 대신 하천유량을 이용한 유량누가가뭄지수(Streamflow Accumulation Drought Index, SADI)를 산정하였다.
가뭄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가뭄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수문순환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인자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가뭄이 발생하며, 댐 등 인위적인 물 공급 시설이 있을 경우 단순히 강수량이나 하천유량으로 체감 가뭄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뭄은 비정상적인 수분 부족이 지속되어 나타나는 수문학적 현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정상적인 기후특성으로 정의된다.
유량누가가뭄지수는 어떤 비율 값을 통해 계산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RADI의 방법론이 하천유량에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강수량 대신 하천유량을 이용한 유량누가가뭄지수(Streamflow Accumulation Drought Index, SADI)를 산정하였다. SADI는 장기간 평균인 기대유량(Cumulative Mean Daily Streamflow, CMDS)에 대한 누적 관측유량(Cumulative Observed Streamflow, COS)의 부족량 비율을 통해 계산된다. 즉, CMDS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1년을 365일로 하여 전체 연도의 특정일에 대한 유량을 평균한 일평균유량(Mean Daily Streamflow, MDS)을 계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erson, T. W. and Darling, D. A. (1952). "Asymptotic theory of certain "goodness of fit" criteria based on stochastic processes." Th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Vol. 23, pp. 193-212. 

  2. Assani, A. A. (2016). "The usefulness of the lombard method for analyzing the hydrological impacts of dams: The case of the Manouane River diversion dam, Quebec, Canada." Water 2016, Vol. 8, 410; doi:10.3390/w8090410. 

  3. Guttman, N. B. (1994). "On the sensitivity of sample L moments to sample size." Journal of Climate, Vol. 7, No. 6, pp. 1026-1029. 

  4. Jung, J. H. and Yoon, Y. N. (2003). Water Resource Design Practice. 

  5. Kwon, M., Park, D. H., Jun, K. S. and Kim, T. W.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rought index based on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1, pp. 41-49. 

  6. Lombard, F. (1987). "Rank tests for change point problems." Biometrika. Vol. 74, No. 3, pp. 615-624. 

  7. Mason, S. J. and Graham, N. E. (2002). "Areas beneath the 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and relative operating levels (ROL) curves: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nterpretation."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28, pp. 2145-2166. 

  8.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Eigh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naheim CA, pp.179-186. 

  9.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Nin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Dallas TX, pp.233-236. 

  10. Moon, J.W. and Lee, D.R. (2012). "A study on the parameter stabilization of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2, No. 5, pp. 91-99. 

  11. Richard, R. H. (2002). "A review of twentieth-century drought indices used in the United States." B. Am. Meteorol. Soc., Vol. 83, pp. 1149-1165. 

  12. Tallaksen, L. M. and Van Lanen, H. A. J. (2004). "Hydrological drought: processes and estimation methods for streamflow and groundwater." Developments in Water Science 48, Elsevier Science B.V., The Netherlands. 

  13. Tallaksen, L. M., Hisdal, H. and van Lanen, H. A. J. (2009). "Spacetime modelling of catchment scale drought characteristics." Journal of Hydrology, Vol. 375, No. 3-4, pp. 363-3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