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및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 기반 한반도 미래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가뭄 전망
Projecting future hydrological and ecological droughts with the climate and land us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6, 2020년, pp.427 - 436  

이재형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연주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채여라 (한국환경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 변화는 한반도 가뭄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지만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면 모델링 시스템 중 하나인 WRF-Hydro 모형에 기후변화와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한반도 미래 가뭄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후 변화 자료는 RCP2.6과 RCP8.5 시나리오, 지표면 변화 자료는 공통사회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임계수준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량과 순일차 생산량(Net Primary Productivity, NPP)값을 이용한 미래 수문학적 가뭄과 생태학적 가뭄을 정의하였고, 각 시나리오 별 가뭄의 기간과 강도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문학적 가뭄 기간은 RCP2.6-SSP2 가까운 미래(2031-2050)와 RCP8.5-SSP2 먼 미래(2080-2099) 시나리오에서, 생태학적 가뭄 기간은 RCP2.6-SSP2 먼 미래와 RCP8.5-SSP2 가까운 미래에서 긴 가뭄 기간을 보였다. 가뭄 강도는 가뭄 기간과 다르게, 두 가뭄 모두 RCP2.6-SSP2 먼 미래와 RCP8.5-SSP2 가까운 미래에서 큰 강도를 보였다. 수문학적 가뭄의 경우 RCP2.6-SSP2 먼 미래가 가장 심도가 크고 임계수준의 크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생태학적 가뭄 심도는 RCP2.6-SSP2 가까운 미래와 RCP2.6-SSP2 먼 미래에서 큰 심도를 보이고, 임계수준에 따른 심도 크기의 시나리오 별 차이는 작았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한반도 미래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가뭄 특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uncertain how global climate change will influence future drought characteristic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s to project the future droughts using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land surface modeling system, i.e., Weather Researc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가뭄은 강수 부족에 의하여 인간의 사회경제활동 동과 동식물 생육에 피해를 초래하는 비정상적인 기상 수문학적 현상으로 일정 기간 정상적인 조건보다 건조한 기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가뭄 분석에 수문학적 가뭄과 생태학적 가뭄을 분석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은 하천 유량, 저수지, 지하수 등 가용수자원의 부족 현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출량이 일정 임계 수준보다 낮을 때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4개 유역 Soyang (SA), Chungju (CJ), Nam gang (NG), Yong dam (YD) 에서 관측된 시간당 일 유출량을 재현하는 목적으로 보정을 하였다. 세 종류 매개변수를 최소, 최댓값 범위 내에서 32개 조합을 구성하고 최적 조합을 도출하여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WRF-Hydro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파라미터 보정을 시행하기 위하여 민감한 값의 변화를 보인 매개변수를 선정하였다. Mann을 포함한 하천 차수에 따른 매개변수 하천 하부 너비(BW), 하천의 초기수심(HLINK), 하천의 측면 경사(ChSSlp) 값을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유역별 홍수 통제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에 구축하였다.
  • 또한, 가뭄 종류에 따른 분석을 통해 미래 가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미래 기후 및 지면 변화 시나리오를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Hydrological model ling system (WRF-Hydro) 모형에 적용하여 유출량과 순 일차 생산량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며, 임계 수준 방법을 통한 미래 수문학적 가뭄과 생태학적 가뭄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한 기후 현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극한 기후 현상은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탄소의 흡수 및 배출에 큰 영향을 미치며(Kang, 2013), 이는 도시개발에 따른 산림 정책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산림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과 다양한 규모에서 토지이용, 기후 변화, 식생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상호 작용을 한다(Yu et al.
미래기후변화를 예측헸을때 수자원 분야는 어떤가? 대기 중 CO2 농도 변화에 따른 미래 기후 변화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수자원, 생태계 분야를 포함한 인간의 삶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자원 분야에 있어 기후 변화는 온도와 강수 등의 변화로 증발산량 및 토양 수분의 증감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물순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Lee et al. 2012). 이뿐만 아니라 강수량의 증감, 집중호우의 증가 등 기상 패턴 변화의 핵심적인 원인이 되며, 심각한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를 유발하여 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큰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Kwon et al. 2002).
CO2 농도가 증가할 경우 예측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미래기후변화 예측 모형은 기온과 강수 패턴 변화는 가속화되며,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제5차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 중 CO2 농도 증가로 인한 전 세계 평균 온도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기 중 CO2 농도 변화에 따른 미래 기후 변화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수자원, 생태계 분야를 포함한 인간의 삶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R., Jang, C.H., Lee, J.W., and Kim, S.J. (2015).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for an urbanizing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5, No. 3, pp. 567-577. 

  2. Chae, Y., Lee, J., and Chris, H. (2017).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using SSP-RCP scenario matri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56-72. 

  3. Daly, C., Halbleib, M.D., Smith, J.I., and Gibson, W.P. (2008). "Physiographically-sensitive mapping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8, No. 15, pp. 2031-2064. 

  4. Gochis, D.J., Barlage, M., Dugger, A., FitzGerald, A., Karsten, L., McAllister, M., McCreight, J., Mills, J., RafieeiNasab, A., Read, L., Sampson, K., Yates, D., and Yu, W. (2018).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accessed 13 April 2018, . 

  5. Gwak, Y., Cho, J., Jung, I., Kim, D., and Jang, S. (2018). "Projection of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peninsula using effective drought index."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9, No. 1, pp. 31-45. 

  6. Han, W.S., Jeong, S.J., and Kim, B.S. (2015). "The analysis method of future flooding discharge considering climate and land-use change using Dyna-C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6, pp. 361-371. 

  7. Hisdal, H., Stahl, K., Tallaksen, L.M., and Demuth, S. (2001). "Have streamflow droughts in Europe become more severe or frequ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1, No. 3, pp. 317-333. 

  8. Im, E.S., Thanh, N.X., Kim, Y.H., and Anh, J.B. (2019). "2018 summer extreme temperatures in South Korea and their intensification under $3^{\circ}C$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14, No. 9. 

  9. Kang, H.S. (2013). "Ecological responses of plants to climate change: Research trends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Vol. 46, No. 3, pp. 319-331. 

  10. Kim, D.R., Lee, Y.G., Lee, J.W., and Kim, S.J. (201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mpact on hydrologic behavior in Anseong-cheon Gongdo urban-growing watershed." Journal Korea Water Resource, Vol. 51, No. 2, pp. 141-1506. 

  11. Kim, H.K., Kang, M.S., Lee, E.J., and Park, S.W. (2011).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mpacts on hydrology in a rural small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3, No. 6, pp. 75-84. 

  12. Kim, J.E., Yoo, J., Chung, G.H., and Kim, T.W. (2019). "Hydrologic risk assessment of future extreme drought in South Korea using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Water, Vol. 11, No. 10, p. 2052. 

  13. Kim, J.Y., Seo, D.I., and Lee, T.E. (2017). "Effectiveness of settling treatment system to reduce urban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 by first flus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9, No. 3, pp. 140-148. 

  14. Lee, J.K., Kim, Y.O., and Kang, N. (2012).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earches related to water resourc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3, No. 1, pp. 97-88. 

  15. Naabil, E., Lamptey, B.L., Arnault, J., Olufayo. A., and Kunstmann. H. (2017). "Water resources management using the WRF-Hydro modelling system: Case-study of the Tono dam in West Africa." Journal of Hydrology: Regional Studies, Vol. 12, pp. 196-209. 

  16. O'Neill, B., Krigler, E., Rhiahi, K., Ebi, K.L., Hallegatte, S., Carter, T.R., Mathur, R., and van Vuuren, D.P. (2014). "A new scenario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esearch: The concept of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Climatic Change, Vol. 122, pp. 387-400. 

  17. Park, M., Sim, H.J., Park, Y., and Kim, S. (2015).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based on KMA 1-km resolution RCP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pp. 347-355. 

  18. Sung, J.H., and Chung, E.S. (2014). "Development of streamflow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the threshold level method."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pp. 3341-3351. 

  19. Qi, S., Wang, Y., Sun, G., Xiao, Y., Zhu, J., Yang, H., Hu, X., Wu, B., Wang, Y., and McNulty, S.G. (2009). "Effects of forest composition and spatial patterns on storm flows of a small watershed."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5, pp. 1142-1154. 

  20. Yu, H., Lee, W.K., Son, Y., Kwak, D., Nam, K., Kim, M., Byun, J., and Kwon, T. (2013). "Estimating carbon stocks in Korean forests between 2010 and 2110: A prediction based on forest volume age relationships."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 9, No. 2, pp. 105-110. 

  21. Yucel, I., Onenm A., and Yilmaz, K. (2015). "Calibration and evaluation of a flood forecasting system: Utility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data assimilation and satellite-based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523, pp. 49-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