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플라함수를 이용한 극단치 강풍과 강수 분석
Analysis of extreme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using copul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4, 2017년, pp.797 - 810  

권태용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통계학과) ,  윤상후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대구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는 매년 태풍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태풍은 강풍과 강우가 동반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한다. 현재의 자연재해 경고 시스템은 풍속과 강우를 구분하여 위험을 감지토록 설계되어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태풍의 위험을 경고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코플라모형은 확률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의존성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분포의 집합을 다변량분포로 연결하는 모형으로 강우, 홍수, 가뭄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태풍에 가장 많이 노출된 도시인 부산과 제주도의 기상 관측소 (ASOS)에서 수집된 1904년 4월 9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일강수량 (precipitation), 일최대풍속 (maximum wind speed)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변수의 주변부확률을 추정하기 위해 두꺼운 꼬리 분포인 로그정규분포, 감마분포, 와이블분포를 고려하였다. 주변부 확률분포의 적합성검정은 Kolmogorov-Smirnov와 Cramervon-Mises, Anderson-Darling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였다. 코플라모형을 위해 순위를 기반으로 한 유사자료 (pseudo observation)를 생성하여 두 변수 간 의존성을 추정하였다. 강풍과 폭우의 의존성을 설명하기 위한 코플라모형으로 타원형, 나선형, 극단치 코플라모형이 고려되었다. 코플라모형의 적합성은 Cramer-von-Mises로 검정하였고, 교차검증을 통해 최적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일강우량과 풍속의 주변부 확률분포로 대부분 로그정규분포가 적합하였다. 부산의 일평균풍속에 따른 일강우량은 t 코플라, 일최대풍속에 따른 일강우량은 Clayton 코플라가 최적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제주도의 일최대풍속에 따른 일강우량은 정규코플라, 일강우량에 따른 일평균풍속은 Frank 코플라, 일강우량에 따른 일최대풍속은 Husler-Reiss 코플라가 최적모형으로 선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peninsula is exposed to typhoons every year. Typhoons cause huge socioeconomic damage because tropical cyclones tend to occur with strong winds and heavy precipi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lex dependence structure between strong winds and heavy precipitation, the copula link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Tabel 3.2를 보면 모델1_1에 대하여 문턱치가 22.5와 25일 때 가장 높은 상관성이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경우의 값이 같으므로 모델1_1의 최적의 문턱치로 22.
  • h1>1. 서론
  • h1>1. 서론
  • C : [0, 1]n → [0, 1].
  • h1>1. 서론
  • 2를 통해 두 변수의 상관성이 고려된 실제 관측값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다. 모델1_1의 경우 기존 위험수준 예측을 만약 일평균풍속이 14.8을 넘으면 위험수준이라고 판단하거나, 일강수량이 91.
  • 2.2. Sklar의 정리

  • 여기서 C는 코플라 함수를 의미한다. 모든 확률분포는 역계산법 (inverse transforming method)에 의해 균등분포로 변환 가능하므로, n차원의 균등분포의 결합확률분포로 다변량 결합확률분포를 유사하게 추정할 수 있다.
  • 코플라 함수의 모수추정법으로는 모수적 추정법과 비모수적 추정법이 있다. 모수적 추정법은 최대 우도함수를 기반으로 한 최대우도법 (maximum likelihood method, MLE) 방법이 대표적이다. 최대 우도법은 코플라 함수의 모수와 주변확률분포함수의 모수를 한꺼번에 추정한다.
  • h1>1. 서론
  • 소표본 데이터일 때 분류기 성능측정의 통계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재샘플링 (resampling)기법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 k겹 교차검증 (k-fold cross validation)과 붓스트랩 (bootstrap)이 있다. k겹 교차검증은 수집된 샘플을 k개의 부표본 (subsample)로 나눈다.
  • C : [0, 1]n → [0, 1].
  • h1>1. 서론
  • h1>1. 서론
  • 코플라 함수는 여러 확률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으로 Sklar (1959)에 의해 제시되었다. 코플라 함수는 수학적으로 두 개 이상의 확률변수의 결합확률분포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유도하기 어려운 경우에 두 확률변수의 주변확률분포 (marginal probability distribution)로부터 얻은 유사자료 (pseudo observation)로부터 함수를 추정한다. 즉, 코플라 함수는 단변량분포의 집합을 다변량분포로 연결시키는 함수를 말하며, 0에서 1까지의 n개의 균등분포 (uniform distribution)들의 결합분포함수로 정의된다.
  • h1>1. 서론
  • h1>1. 서론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자연재해 경고 시스템은 무슨 한계점이 존재하는가? 태풍은 강풍과 강우가 동반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한다. 현재의 자연재해 경고 시스템은 풍속과 강우를 구분하여 위험을 감지토록 설계되어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태풍의 위험을 경고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코플라모형은 확률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의존성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분포의 집합을 다변량분포로 연결하는 모형으로 강우, 홍수, 가뭄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코플라모형을 통한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성 예측으로 인해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가? 이 분석결과를 통해 강풍과 강수 각각의 모형에 대한 자연재해 위험성 예측이 아닌 두 변수의 상관성이 고려된 코플라모형을 통한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성 예측으로 보다 나은 자연재해 경고 시스템 을 수립할수 있다고 본다. 풍속과 강수량 각각의 위험?수준 판단되는 수치보다 낮은 수치라도 복합적인 피해를 고려해서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사회·경제적 피해를 더 줄일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제 주도와 부산지역을 연구하였지만, 앞으로 전국 70개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변량 t분포와 비교할 예정이다.
코플라모형이란 무엇인가? 현재의 자연재해 경고 시스템은 풍속과 강우를 구분하여 위험을 감지토록 설계되어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태풍의 위험을 경고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코플라모형은 확률변수들 사이의 복잡한 의존성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분포의 집합을 다변량분포로 연결하는 모형으로 강우, 홍수, 가뭄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태풍에 가장 많이 노출된 도시인 부산과 제주도의 기상 관측소 (ASOS)에서 수집된 1904년 4월 9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일강수량 (precipitation), 일최대풍속 (maximum wind speed) 자료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T. W. and Darling, D. A. (1952). Asymptotic theory of certain "Goodness of Fit" criteria based on stochastic processe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23, 193-212. 

  2. Cherubini, U., Luciano, E. and Vecchiato, W. (2004). Copula methods in finance, John Wiley & Sons. 

  3. Choi, C. H., Lee, H. S. and Ju, H. C. (2013). Analyzing rainfall patterns and pricing rainfall insurance using copul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603-623. 

  4. Durante, F. and Salvadori, G. (2010). On the construction of multivariate extreme value models via copulas. Environmetrics, 21, 143-161. 

  5. Favre, A. C., Adlouni, S. E., Perreault, L., Thiemonge, N. and Bobee, B. (2004). Multivariate hydrological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s. Water Resources Research, 40, W01101, doi:10.1029/2003WR002456. 

  6. Genest, C. and Favre, A. C. (2007). Everything you always wanted to know about copula but afraid to ask. Journal of Hydrology, 12, 347-368. 

  7. Genest, C., Ghoudi, K. and Rivest, L. P. (1995). A semiparametric estimation procedure of dependence parameters in multivariate families of distributions. Printed in Great Britain, 82, 543-552. 

  8. Hofert, M., Kojadinovic, I., Maechler, M. and Yan, J. (2015). Copula: multivariate dependence with copulas, R package version 0.999-14, http:CRAN.R-project.org/packagecopula. 

  9. Joe, H. and Xu, J. J. (1996). The estimation method of inference functions for margins for multivariate models,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0. Joo, K. W., Shin, J. Y. and Heo, J. H. (2012).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using copula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 827-837. 

  11. Kao, S. C. and Govindaraju, R. S. (2007). A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with implications for desig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D13119, doi:10.1029/2007JD008522. 

  12. Kim, S.D., Ryu, J. S., Oh, K. R. and Jeong, S. M. (2012). An application of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for determining comprehensive drought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 223-230. 

  13. Kwak, J. W., Kim, D. G., Lee, J. S. and Kim, H. S. (2012).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 161-168. 

  14. Kwak, M. J. (2016). Estimation of the joint conditional distribution for repeatedly measured bivariate cholesterol data using nonparametric copul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689-700. 

  15. Nelsen, R. B. (2006). An introduction to copulas, Springer, New York. 

  16. Park, J. B., Kal, B. S. and Heo, J. R. (2015). The study to estimate the fitness of bivariat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rainfall and wind spe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 103-110. 

  17. Renard, B. and Lang, M. (2007). Use of gaussian copula for multivariate extreme value analysis: some case studies in hydrology.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0, 897-912. 

  18. Requena, A. L., Mediero, L. and Garrote, L. (2013). A bivariate return period based on copula for hydrologic dam design: accounting for reservoir routing in risk estimation. Hydrologic Earth System Sciences, 17, 3023-3038. 

  19. Salvadori, G. and Friederichs, P. (2010). Multivariate multiparameter extreme value models and return peiods: a copula approach. Water Resources Research, 46, W10501, doi:10.1029/2009WR009040. 

  20. Schoelzel, C. and Friederichs, P. (2008). Multivariate non-normally distributed random variables in climateresearch introduction to the copula approach. Nonlinear processes in Geophysics, 15, 761-772. 

  21. Shih, J. H. and Louis, T. A. (1995). Inferences on the association parameter in copula models for bivariate survival data. Biometrics, 51, 1384-1399. 

  22. Shin, H. J., Sung, L. M. and Heo, J. H. (2010). Derivation of modified anderson-darling test statistics and power test for the gumbel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 813-822. 

  23. Sklar, A. (1959). Fonctions de reparation rma n dimensions et leurs marges. Publication de l'institute de statistique de l'universite de Paris, 8, 229-231. 

  24. Smirnov, N. V. (1939). On the estimation of the discrepancy between empirical curves of distribution for two independent samples. Bulletin of Mathematical University of Moscow, 2, 3-16. 

  25. So, J. M., Sohn, K. H. and Bae, D. H. (2014).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ased on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 171-182. 

  26. Thompson, R. (1966). Bias of the one-sample cramer-von mises tes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1, 246-247. 

  27. Yoo, J. Y., Shin, J. Y., Kim, D. K. and Kim, T. W. (2013). Drought risk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and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 425-437. 

  28. Zhang, L. and Singh, W. P. (2006). Bivariate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copula method.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1, 150-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