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PCR 분석법을 이용한 참조기,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의 신속한 종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plex PCR Assay for Rapid Identification of Larimichthys polyactis, L. crocea, Atrobucca nibe, and Pseudotolithus elonga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7 = no.207, 2017년, pp.746 - 753  

노은수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이미난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김은미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박중연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노재구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안철민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강정하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조기는 민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 어종 중 하나이다. 최근 과도한 남획과 해양 환경의 변화로 참조기의 어획량이 줄어들자 일부 유통과정에서 유사어종인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를 참조기로 둔갑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 특이 primer를 사용하여 참조기,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약 1,400 bp의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종간 특이성을 나타내는 단일염기다형성 유전자를 탐색하였으며, PCR 증폭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4개의 종특이적 정방향 primer를 제작하였다. 단일 PCR을 이용한 종간 교차반응을 통하여 최적의 PCR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후 제작된 4개의 정방향 primer를 혼합하여 4종에 대한 다중 PCR 반응을 진행하였다. 증폭된 산물은 전기영동을 통해 크기에 따라 1,540 bp, 1,013 bp, 470 bp 그리고 182 bp로 분리되었으며, 각각 참조기, 흑조기, 부세, 긴가이석태로 명확하게 판별이 가능하였다. PCR 민감도 측정에서도 모든 종에서 $0.1ng/{\mu}l$의 농도까지 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참조기와 유사어종에 대한 종특이 다중 PCR 분석법은 정확도와 민감도가 우수하여, 불법 유통가능성이 있는 제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로 식품안전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apidly identify four drums species, Larimichthys polyactis, L. crocea, Atrobucca nibe, and Pseudotolithus elongates, a highly efficient and quick method has been developed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s. Around 1.4 kbp of the mitochondr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짜 식품 유통 근절을 위해 형태학적으로 구별이 어려운 참조기(L. polyactis) 와 형태학적 유사 어종인 부세, 흑조기, 긴가이석태의 정확한 분류 기술의 확립하고자, 국제생물바코드컨소시엄(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에서 제안된 종 판별 바코드 영역인 미토콘드리아 DNA염기서열의 cytochrome coxidase I (COI) 유전자 영역에서종 특이 primer를 설계하여 한번의 PCR 반응으로 4종에 대한 다중 판별이 가능한 MSS-PCR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27].
  • 본 연구에서는 참조기와 유사 어종인 부세, 흑조기, 그리고 긴가이석태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영역을 분석하였고, 종 특이적 primer를 제작하여 참조기류의 종판별을 위한 MSS-PCR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primer는 각 종별 PCR 산물의 크기를 최대한 고려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으로 명확하게 판별이 가능하며, 차후 종판별 문제를 야기시키는 유사 어종에 대한 추가적인 적용에 용이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입되는 민어과 어류의 수입명과 유전학적으로 동정된 종명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typus), 민어 (Miichthys miiuy), 홍민어(Sciaenops ocellatus) 등이 주로 수입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입되는 민어과 어류는 형태학적 분류가 어렵기 때문에 수입명과 유전학적으로 동정된 종명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이러한 수입수산물의 형태학적 판별이 어려운 점을 악용하여 부세, 흑조기 그리고 긴가 이석태를 참조기로 둔갑시켜 유통하는 가짜 식품(EMA, Economically Motivated Adulteration)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2].
참조기의 생태학적으로 어떤 어종인가? 특히,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는 우리나라의 서남해안, 동중국해 그리고, 일본 남부 지역 등의 수심 40~200 m의 바닥이 모래나 펄인 해역에 서식 하며[27], 영양학적으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여 원기 회복 및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생선으로 수요가 많아 상업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이다. 또한, 생태학적으로도 동중국해에 서식하다 산란기에 우리나라 연안으로 올라오는 회유성 어종으로 수산자원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17, 28].
MSS-PCR 분석법의 장점은? MSS-PCR (multiplex species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법은 제한효소의 처리 없이 PCR 증폭만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RFLP 분석법에 비하여 간편하며, 서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종내 다형성을 분석하여 primer를 제작하고, 그에 따라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후천적인 유전자 변이에 의한 오차로 위양성 및 위음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AFLP 분석법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다[3].MSS-PCR 분석법은 최소 하나의 염기서열 차이에 의한 결과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종의 지리적 격리에 따른 유전자 변이를 바탕으로 하는 원산지 분석 연구에도 활용 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kasaki, T., Yanagimoto, T., Yamakani, K., Tomonaga, H. and Sato, S. 2006. Sepceis identification and PCR-RFLP analysis of cytochrome b gene in Cod Fish (Order Gadiformes) products. J. Food Sci. 71, 190-195. 

  2. Axayacatl, R. O. 1998. Multiplex haplotype-specific PCR: a new approach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the early life stages of rockfishes of the species-rich genus Sebastes Cuvier. J. Exp. Mar. Biol. Ecol. 231, 279-290 

  3. Axayacatl, R. O. and Juan, P. C. G. 2008. Molecular identification of dolphinfish species (genus Coryphaena) using multiplex haplotype-specific PCR of mitochondrial DNA. Ichthyol. Res. 55, 389-393. 

  4. Civera, T. 2003. Species identification and safety of fish products. Vet. Res. Commun. 27, 481-489. 

  5. Cui, Z., Liu, Y., Li, C. P., You, F. and Chu, K. H. 2009.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Perchiformes, Sciaenidae): Unusual features of its control region and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ciaenidae. Gene 432, 33-43. 

  6. Durand, J. D., Diatta, M. A., Diop, K. and Trape, S. 2010. Multiplex 16s rRNA haplotype-specific PCR, a rapid and convenient method for fish species identification: an application to West African Clupeiform larvae. Mol. Ecol. Res. 10, 568-572. 

  7. Fabrice, T.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methods of fish species: reassessment and possible applications. Rev. Fish. Biol. Fisheries 19, 265-293. 

  8. Georgina, L. H., Valerie, J. R., Susan, E. P., Hartmut, R., Javier, Q., Rodrego, V., Manuel, R. M., Carmen, G. S., Ricardo, I. P. M., Ana, T. S. and Carla, R. 2001. Development of a DNA-based method aimed at identifying the fish species present in food products. J. Agric. Food Chem. 49, 1175-1179. 

  9. Han, K. and Ely, B. 2002. Use of AFLP analyses to assess genetic variation in Morone and Thunnus species. Mar. Biotech. 4. 141-145. 

  10. Kang, D. Y., Jo, K. C., Lee, J. H., Kang, H. W., Kim, H. C. and Kim, G. H. 2006.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wild femal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J. Aquacul. 19, 188-196. 

  11. Kang, J. H., Noh, E. S., Park, J. Y., An, C. M., Choi, J. H. and Kim, J. K. 2015. Rapid origin determination of the northern mauxia shrimp (Actetes chinensis) based on allele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partial mitochondrial 16S rRNA gene. Asian-Australas. J. Anim. Sci. 28, 568-572. 

  12. Kim, H. Y., Hong, K. H., Hong, J. H., Kim, D. S., Han, S. B., Lee, E. J., Lee, J. S., Kang, K. J., Chung, H. W., Song, K. H., Park, H. K., Park, J. S., Kwon, W. K., Jang, Y. M., Shin, I. S., Lee, C. K., Park H. Y., Ha, S. C. and Jo, J. S. 2002. Studies on the separation and discrimination of the natural yellow pigment on croaker. Kor. J. Food Sci. Technol. 34, 762-769. 

  13. Kim, K, H., Lee, H. Y., Kim, Y. S., Kim, M. R., Jung, Y. K., Lee, J. H., Cho, T. Y., Lee, H. J., Lee, S. J. and Han, S. B. 2014.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CR to determine the animal row material. J. Food Hyg. Saf. 29, 347-355. 

  14. Knuutinen, J. and Harjula, P. 1998.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array detection. J. Chromatogr. 705, 11-21. 

  15.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Statistical year book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6. Lahiff, S., Glennon, M. O. B. L., Lyng, J., Smith, T., Maher, M. and Shilton, N. 2001. Species-specific PCR for the identification of, ovine, porcine and chicken species in meat and bone meal (MBM). Mol. Cell. Probe. 15, 27-35. 

  17. Lee, J. H., Seo, Y. I., Oh, T. Y. and Lee, D. W. 2013. Estimations on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y the drift gillnet fishery in Korean waters. J. Korea Soc. Fish Tech. 49, 440-448. 

  18. Li, Y., Han, Z., Song, N. and Gao, T. X. 2013. New evidence to genetic analysis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with continuous distribution in China. Biochem. Syst. Eco. 50, 331-338. 

  19. Liu, B. J., Zhang, B. D., Xue, D. X., Gao, T. X. and Liu, J. X. 2016. Population structure and adaptive divergence in a high gene flow marine fish: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PloS One 11, e0154020. 

  20. Mackie, I., Craig, A., Etienne, M., Jerome, M., Fleurence, J., Jessen, F., Smelt, A., Kruijt, A., Yman, I. M., Ferm, M., Martinez, I., Martin, R. P., Pineiro, C., Rehbein, H. and Kundiger, R. 2000. Species identification of smoked and gravid fish products by sodium dodecyl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urea isoelectric focusing and native isoelectric focusing: a collaborative study. Food Chem. 71, 1-7. 

  21. Moretti, V. M., Truchini, G. M., Bellagamba, F. and Caprino, F. 2003. Traceability issues in fishery and aquaculture products. Vet. Res. Commun. 27, 497-505. 

  22. Nam, J. O., Sim, S. H. and Oh, M. K. 2015. Estimating optimal harvesting production of yellow croaker caught by multiple fisheries using hamiltonian method. J. Fish. Bus. Adm. 46, 59-74. 

  23. Noh, E. S., Kang, H. S., An, C. M., Park, J. Y., Kim, E. M. and Kang, J. H. 2016. Rapid and specific identification of genus Cynoglossus by multiplex PCR assay using speciesspecific derived from the COI region. J. Life Sci. 26, 1007-1014. 

  24. Sezaki, K., Itoi, S. and Watabe, S. 2005. A simple method to distinguish two commercially valuable eel species in Japan Anguilla japonica and A. Anguill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strategy with a species-specific primer. Fisheries Sci. 71, 414-421. 

  25. Shoko, M., Kouji, N., Yoshiaki, K. and Yoh, Y. 2012. Genetic divergence among three morphs of Acentrogobius pflaumii (Gobiidae) around Japan and their identification using multiplex haplotype-specific PCR of mitochondrial DNA. Ichthyol. Res. 59, 216-222. 

  26. Sim, S. H. and Nam, J. O. 2015. A stock assessment of yellow croaker using bioeconomic model: a case of single species and multiple fisheries. Ocean Polar Res. 37, 161-177. 

  27. Ward, R. D., Hanner, R. and Hebert, P. D. N. 2009. The campaign to DNA barcode all fishes, FISH-BOL. J. Fish Biol. 74, 329-356. 

  28. Xiao, Y., Zhang, Y., Gao, T., Yanagimoto, T., Yabe, M. and Sakurai, Y. 2009. Genetic diversity in the mtDNA control region and population structure in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Environ. Biol. Fish. 85, 303-314. 

  29. Yeon, I. J., Lee, D. W., Lee, J. B., Choi, K. H., Hong, B. K., Kim, J. I. and Kim, Y. S. 2010. Long-term changes in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population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Kor. Soc. Fish. Tech. 46, 392-4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