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o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7 = no.207, 2017년, pp.834 - 839  

양가람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윤경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오현호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김민성 (부산대학교 해양생물기술연구소) ,  황태호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  안원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olis는 꿀벌들이 나무로부터 수집한 천연물로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은 여러 가지 유용성분들이 혼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난소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들은 초기에 수술적 기법과 항암요법에 우수하게 반응하지만, 항암제 내성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게 되면 항암요법제에 의한 반응률이 매우 저조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따라서, 난소암의 높은 치사율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항암보조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를 이용하여 Austalian propolis의 항암 효과와 활성기전을 조사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난소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며. Flow cytometric 분석을 통해 G0/G1기에서 세포 주기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ustalian propolis의 인간 난소암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olis is a natural product collected from plants by honey bees product used extensively in traditional medicine for 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effects. Propolis exhibits a broad spectrum of biological activities because it is a complex mixture of nat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체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 세포를 대상으로 세포증식 억제 효과,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의 유도를 분석하여 propolis에 의한 암세포 증식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난소암의 예방, 재발 억제 및 항암화학요법 치료의 보조제로서 근거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소암이란? 난소암은 우리나라의 여성에서 자궁 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으며, 난소암의 90% 이상이 난소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부인암 중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30]. 상피성 난소암은 복부 내의 원격 부위로 광범위하게 전이가 일어날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75% 이상이 진행된 병기에서 진단이 된다[6, 18, 27].
난소암의 주된 치료법은? 상피성 난소암은 복부 내의 원격 부위로 광범위하게 전이가 일어날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75% 이상이 진행된 병기에서 진단이 된다[6, 18, 27]. 난소암의 주된 치료법은 종양 감축술과 더불어 파클리탁셀(paclitaxel), 플래티늄(platinum)의 복합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것이다[2, 20]. 최근 수술기법과 항암요법제의 발전으로 초기반응률은 80-90%로 양호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항암제 내성에 의한 재발이 일어나 5년 생존율은 30% 정도로 낮다[16].
천연물에는 다양한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데 그 중 Propolis란 무엇인가? 천연물은 항암 및 항균활성을 포함하여 생리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다[36]. Propolis는 꿀벌들이 나무에서 분비되는 resin을 수집하여 체내에서 대사하여 생성한 물질로서, 플라보노이드(flavones, flavanones, flavonols, dihydroflavonols, chalcones), phenolic acid, esters와 같은 150여 가지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13, 28]. Propolis는 수집원이 되는 지역적 특성에 의해 포함된 화합물이 다르며, 브라질의 red propolis의 경우 새롭게 발견된 3가지를 포함하여 43종의 활성 물질이 분리된 바 있다[1, 4,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encar, S. M., Oldoni, T. L., Castro, M. L., Cabral, I. S., Costa-Neto, C. M., Cury, J. A., Rosalen, P. L. and Ikegaki, M. 2007.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a new type of Brazilian propolis: red propolis. J. Ethnoph. 113, 278-283. 

  2. Aletti, G. D., Gallenberg, M. M., Cliby, W. A., Jatoi, A. and Hartmann, L. C. 2007. Current management strategies for ovarian cancer. Mayo Clin. Proc. 82, 751-770. 

  3. Ashkenazi, A. 2008. Targeting the extrinsic apoptosis pathway in cancer. Cytokine Growth Factor Rev. 19, 325-331. 

  4. Awale, S., Li, F., Onozuka, H., Esumi, H., Tezuka, Y. and Kadota, S. 2008. Constituents of Brazilian red propolis and their preferential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pancreatic PANC-1 cancer cell line in nutrient-deprived condition. Bioorg. Med. Chem. 16, 181-189. 

  5. Banskota, A. H., Tezuka, Y. and Kadota, S. 2001. Recent progress in pharmacological research of propolis. Phytother. Res. 15, 561-571. 

  6. Bast, R. C. 2003. Status of tumor markers in ovarian cancer screening. J. Clin. Oncol. 21, 200-205. 

  7. Chen, L., Willis, S. N., Wei, A., Smith, B. J., Fletcher, J. I., Hinds, M. G., Colman, P. M., Day, C. L., Adams, J. M. and Huang, D. C. 2005. Differential targeting of prosurvival Bcl-2 proteins by their BH3-only ligands allows complementary apoptotic function. Mol. Cell. 17, 393-403. 

  8. Choi, Y. M., Noh, D. O., Cho, S. Y., Suh, H. J., Kim, K. M. and Kim, J. M.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Korea. LWT-Food Sci. Technol. 39, 756-761. 

  9. Clarke, P. G. and Clarke, S. 1995. Historic apoptosis. Nature 16, 230. 

  10. Ferlini, C., Raspaglio, G., Mozzetti, S., Distefano, M., Filippetti, F., Martinelli, E., Ferrandina, G., Gallo, D., Ranelletti, F. O. and Scambia, G. 2003. Bcl-2 down-regulation is a novel mechanism of paclitaxel resistance. Mol. Pharmacol. 64, 51-58. 

  11. Fulda, S., Gorman, A. M., Hori, O. and Samali, A. 2010. Cellular stress responses: cell survival and cell death. Int. J. Cell Biol. 2010, 214074. 

  12. Gottesman, M. M. 2002. Mechanisms of cancer drug resistance. Annu. Rev. Med. 53, 615-627. 

  13. Greenaway, W., May, J., Scaysbrook, T. and Whatley, F. R. 1991. Identificati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of 150 compounds in propolis. Z. Naturforsch. C 46, 111-121. 

  14. Hunter, T. and Pines, J. 1994. Cyclins and cancer II: cyclin D and CDK inhibitors come of age. Cell 79, 573-582. 

  15. Jasprica, I., Bojic, M., Mornar, A., Besic, E., Bucan, K. and Medic-Saric, M. 2007.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croatian propolis samples using DPPH. and ABTS.+ stable free radical assays. Molecules 12, 1006-1021. 

  16. Jemal, A., Siegel, R., Ward, E., Hao, Y., Xu, J., Murray, T. and Thun, M. J. 2008. Cancer statistics, 2008. CA Cancer J. Clin. 58, 71-96. 

  17. Jung, B. I., Kim, M. S., Kim, H. A., Kim, D., Yang, J., Her, S. and Song, Y. S. 2010.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 component of beehive propolis, is a novel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Phytother. Res. 24, 295-300. 

  18. Kalil, N. G. and McGuire, W. P. 2002. Chemotherapy for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16, 553-571. 

  19. Vermeulen, K., Van Bockstaele, D. R. and Berneman, Z. N. 2004. The cell cycle: A review of regulation, deregulation and therapeutic targets in cancer. Cell Prolif. 36, 131-149. 

  20. Kim, A., Ueda, Y., Naka, T. and Enomoto, T. 2012. Therapeutic strategie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J. Exp. Clin. Cancer Res. 31, 14. 

  21. Lee, H. S., Lee, J. Y., Kim, D. C., In, M. J. and Hwang, W. I. 2000. The inhibitory effects of propolis on in vitro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Kor. J. Nutr. 33, 80-85. 

  22. Li, F., Awale, S., Tezuka, Y. and Kadota, S. 2010. Cytotoxicity of constituents from Mexican propolis against a panel of six different cancer cell lines. Nat. Prod. Commun. 5, 1601-1606. 

  23. Liu, Z., Zhu, G., Getzenberg, R. H. and Veltri, R. W. 2015. The upregulation of PI3K/Akt and MAP kinase pathways is associated with resistance of microtubule­targeting drugs in prostate cancer. J. Cell Biochem. 116, 1341-1349. 

  24. Meher, P. K. and Mishra, K. P. 2017. Radiation oxidative stress in cancer induction and prevention. J. Radiat. Cancer Res. 8, 44-52. 

  25. Mozzetti, S., Ferlini, C., Concolino, P., Filippetti, F., Raspaglio, G., Prislei, S., Gallo, D., Martinelli, E., Ranelletti, F. O., Ferrandina, G. and Scambia, G. 2005. Class III ${\beta}$ -tubulin overexpression is a prominent mechanism of paclitaxel resistance in ovarian cancer patients. Clin. Cancer Res. 11, 298-305. 

  26. Pichichero, E., Cicconi, R., Mattel, M., Muzi, M. G. and Canini, A. 2010. Acacia honey and chrysin reduce proliferation of melanoma cells through alterations in cell cycle progression. Int. J. Oncol. 37, 973-981. 

  27. Piver, M. S. 2005. 16,090: the 2004 estimated US mortality from ovarian cancer. Gyneco. Oncol. 97, 301-302. 

  28. Sabatier, S., Amiot, M. J., Tacchini, M. and Aubert, S. 1992.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in sunflower honey. J. Food Sci. 57, 773-774. 

  29. Sawicka, D., Car, H., Borawska, M. H. and Niklinski, J. 2012. The anticancer activity of propolis. Folia Histochem. Cytobiol. 50, 25-37. 

  30. Seidman, J. D., Cho, K. R., Ronnett, B. M. and Kurman, R. J. 2011. Surface epithelial tumors of the ovary. In Blaustein's pathology of the female genital tract, pp. 679-784, 6th ed., Springer US. 

  31. Sforcin, J. M. 2007. Propolis and the immune system: a review. J. Ethnopharmacol. 113, 1-14. 

  32. Song, Y. H., Huh, H. Y., Kim, C. S. and Kim, K. J. 1997. Effects of propolis and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on tumorigenesis, pulmonary metastases, and activities of splenocytes and macrophages in mice. Kor. J. Immunol. 19, 617-628. 

  33. Szliszka, E., Czuba, Z. P., Bronikowska, J., Mertas, A., Paradysz, A. and Krol, W. 2011. Ethanolic extract of propolis augments TRAIL-induced apoptotic death in prostate cancer cel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1, 535172. 

  34. Willis, S. N., Fletcher, J. I., Kaufmann, T., van Delft, M. F., Chen, L., Czabotar, P. E., Ierino, H., Lee, E. F., Fairlie, W. D., Bouillet, P., Strasser, A., Kluck, R. M., Adams, J. M. and Strasser, A. 2007. Apoptosis initiated when BH3 ligands engage multiple Bcl-2 homologs, not Bax or Bak. Science 315, 856-859. 

  35. Zhuang, Y. and Miskimins, W. 2008. Cell cycle arrest in Metformin treated breast cancer cells involves activation of AMPK, downregulation of cyclin D1, and requires p27 Kip1 or p21 Cip1. J. Mol. Signal. 3, 18. 

  36. Zhang, L., An, R., Wang, J., Sun, N., Zhang, S., Hu, J. and Kuai, J. 2005. Exploring novel bioactive compounds from marine microbes. Curr. Opin. Microbiol. 8, 276-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